목차
Ⅰ. 서론
Ⅱ. 전투기의 역사
Ⅲ. 전투기의 기종선정
1. 통일한국 대비, 주변국과 대등한 성능 갖춘 전투기 절실
2. 기술확보, 국가경제, 제작국의 대외정책 등 분석 필수
3. 전투기 발전추세에 따른 기술 활용되어야
Ⅳ. F-22A RAPTOR 전투기
Ⅴ. EF2000 전투기
Ⅵ. 라팔(Rafale) 전투기
1. 라팔 전투기란
2. 라팔의 첨단기술
1) 카나드와 삼각날개의 조화
2) 공대공/ 공대지 무장능력
3) 각종 전자 장비
4) 인간공학적인 조종석
Ⅶ. F-2 전투기
Ⅷ. F-16 전투기
1. F-16의 출현
2. F-16의 성능
Ⅸ. T-50 전투기
1. 준비단계
2. 탐색개발단계(`92~`95년)
3. 체계개발 전환단계(Bridge Program: 단계이전,`96~`97년)
4. 체계개발(`97-`05넌)
5. 출고식(Roll Out)
Ⅹ. 결론
참고문헌
Ⅱ. 전투기의 역사
Ⅲ. 전투기의 기종선정
1. 통일한국 대비, 주변국과 대등한 성능 갖춘 전투기 절실
2. 기술확보, 국가경제, 제작국의 대외정책 등 분석 필수
3. 전투기 발전추세에 따른 기술 활용되어야
Ⅳ. F-22A RAPTOR 전투기
Ⅴ. EF2000 전투기
Ⅵ. 라팔(Rafale) 전투기
1. 라팔 전투기란
2. 라팔의 첨단기술
1) 카나드와 삼각날개의 조화
2) 공대공/ 공대지 무장능력
3) 각종 전자 장비
4) 인간공학적인 조종석
Ⅶ. F-2 전투기
Ⅷ. F-16 전투기
1. F-16의 출현
2. F-16의 성능
Ⅸ. T-50 전투기
1. 준비단계
2. 탐색개발단계(`92~`95년)
3. 체계개발 전환단계(Bridge Program: 단계이전,`96~`97년)
4. 체계개발(`97-`05넌)
5. 출고식(Roll Out)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windscreen을 일체화한다. 전체적으로 동체는 F-16보다 약 3ft 증가하였다. F-2의 전체 가동형 수평꼬리날개도 F-16보다 크고 drag chute 장착을 위해 외부로 돌출된 pod를 장착하였다. 또한 F-2 레이돔은 길이가 길고 미쓰비시전기의 고유 개발품인 능동형 위상배열 레이더(active phased-array radar)가 장착되었다. 또한 이 항공기는 integrated electronic warfare suite, 임무 컴퓨터와 관성기준장치를 포함하여 일본이 독자로 개발한 많은 서브시스템을 사용한다. 이 항공기에는 발전형 화력제어계통이 있으며 투하가 가능한 대전자전 장비를 계획하고 있다.
큰 날개는 해상초계 임무를 위한 선회시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본의 몇몇 제한된 길이의 활주로에서 이착륙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F-2의 엔진은 성능이 증가된 추력 29,000 lb급의 GE F110-129이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이시가와지마-하리마중공업의 면허생산에 의한 60%정도가 조립될 예정이다. 또한 일본방위청에 의하면 F-2는 레이다 전파흡수재료를 포함한 고유의 동체 저피탐지 기술을 통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항공기는 미국에서 생산된 것뿐 아니라 일본에서 개발된 F-16과 유사한 공대공 미사일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 항공기는 F-16과 유사한 20mm gatling 기총을 장착하고 미쓰비시가 개발한 ASM-2 대잠 미사일과 운용개념을 조화시켰다.
전체적으로 F-2는 길이 약 50.9 ft, 날개폭 36.5 ft이며, 48,620 lb의 최대이륙중량을 갖는다. 이것은 동체길이 49.3 ft, 날개폭 31ft, 최대이륙중량 42,300 lb인 F-16C/D와 직접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최대속도는 마하 2.0으로 추정되며 작전반경은 약 450 nm이다. 지금까지 일본은 기후기지에서 4기의 XF-2 시제기에 대하여 약 600회의 비행을 기록하였으며, 전체 약 900회의 비행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Ⅷ. F-16 전투기
1. F-16의 출현
F-15 Eagle 출현 이후 미 공군 전투기로서, 미 해군의 F-14 Tomcat 과 함께 미국의 최신예 전투기로서 자리매김 해 왔으며 성능 면에서 볼 때 최고의 전투기임에 틀림이 없지만, 그 가격이 너무 비싸, 아무리 돈 많은 미국이라 할지라도 충분한 수량을 구입할 수 없게 되자 미 공군은 값싸고 성능 좋은 경량급 전투기를 개발하여 수적인 열세를 보강하면 어떨까 하는 구상에서 개발된 전투기가 바로 F-16이다. 미 공군은 1972년 2월에 경량전투기 개발 계획을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미국의 저명한 5개 항공사가 각기의 계획을 제출하였다. 미 공군은 심사결과 제너럴 다이내믹스 와 노즈롭 항공사의 2개안을 선정하고 원형기를 제작케 하여 전자를 YF-16, 후자를 YF-17이라고 각각 명칭 하였다.
1974년 1년 동안 YF-16과 Y-17의 치열한 경쟁 비행시험을 거친 후 1975년 1월 드디어 미 공군은 YF-16의 승리를 인정하였고, 그 후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어 1976년 12월에 첫 비행에 성공한 후, 당초의 설계 계획대로 성능대비 저렴한 가격의 F-16은, 여러 가지 면에서 미 공군의 주력기인 F-15와 비교되며 전투기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2. F-16의 성능
공중 전투에서 F-16의 기동성과 전투행동반경은 모든 잠재적 젖 전투기이 그것을 능가한다. F-16은 전천후전투기이며, 레이더를 교란키 위해 저고도 비행하는 적기를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전투임무 수행능력에 있어서는 F-16은 860km 이상 떨어진 곳의 공격 목표지점까지 도달하여, 뛰어난 고 정밀무기 시스템을 동원하여 목표물을 격파하고, 적 요격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무사히 발진기지로 돌아 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F-16은 설계적인 측면에서는 첨단의 항공공학적 시스템과 기존의 F-15나 F-111 전투기에서 채용되어 입증된 믿을 수 있는 시스템 들을 채택하였다. 이런 것들이 F-16을 단순화하는데 기여했으며, 이 전투기의 크기, 구입비요, 유지비용, 중량 등을 줄이는데 기여했다. 조종석과 이전투기의 버블(Bubble) 캐노피는 조종사에게 장애물이 전혀 없는 전방 및 상방시야를 제공하며 또한 대단히 개선된 양쪽 옆과 뒤쪽 시야를 제공한다. 또한 고 정밀 관성 항법 장치를 포함하는 항공전자장비는 조종 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한다. F-16의 세부적 사항들에 대해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에이비오닉스 & 시스템의 경우, F-16 전투기의 에이비오닉스는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에이비오닉스 베이에 장착된다. 전방 에이비오닉스 베이는 칵핏의 바로 앞부분에 위치하며, 레이더/공중 데이터 장비/ 델코(Delco)社의 사통컴퓨터/INS/비행관제 컴퓨터/레이더 고도계 등이 장착되고, 후방 에이비오닉스 베이에는 콜린스(Collins)社의 AN/ARN-108 ILS, TACAN/IFF이 장착되며 기타 장래의 부가적인 시스템 장착을 위한 여분의 공간이 준비되어 있다.
조종석에는 맥도넬더글라스社의 ACES Ⅱ zero/zero 사출좌석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니웰社의 다기능 디스플레이가 장치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4각의 천연색 평면 액정화면이며 이박에 디지털 지형 시스템, 모듈식 임무 컴퓨터, 조종사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비춰진 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컬러 비디오카메라, 컬러 삼중 데크 비디오 레코더, 다른 기종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LINK 16 데이터 링크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첨단의 디스플레이 재생기를 장치 할 수 있다. 통신장비로서는, 마그나복스社의 UHF AN/ARC-164 U로 송수신기와 피아식별장치와 결합된 콜린스社의 VHF AM/FM AN/ARC-186을 장착하며 이밖에 마그나복스社의 KY-58 음성비밀통신 장비와 콜린스 社의 AN/ARC-168 폴 AM/FM 수신기, AN/AIC-18/25 내부통신 장비 등의 장착이 가능하다.
레이더는 애초 웨스팅하우스社의 AN/APG-66 펄스도플러 거리탐지-각도 추적 레이더가 노우즈의 평면 배열 안테나와 함께 장착되어 있었으나, C/D Block 25기종에 이르러 AN/
큰 날개는 해상초계 임무를 위한 선회시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일본의 몇몇 제한된 길이의 활주로에서 이착륙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F-2의 엔진은 성능이 증가된 추력 29,000 lb급의 GE F110-129이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이시가와지마-하리마중공업의 면허생산에 의한 60%정도가 조립될 예정이다. 또한 일본방위청에 의하면 F-2는 레이다 전파흡수재료를 포함한 고유의 동체 저피탐지 기술을 통합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 항공기는 미국에서 생산된 것뿐 아니라 일본에서 개발된 F-16과 유사한 공대공 미사일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 항공기는 F-16과 유사한 20mm gatling 기총을 장착하고 미쓰비시가 개발한 ASM-2 대잠 미사일과 운용개념을 조화시켰다.
전체적으로 F-2는 길이 약 50.9 ft, 날개폭 36.5 ft이며, 48,620 lb의 최대이륙중량을 갖는다. 이것은 동체길이 49.3 ft, 날개폭 31ft, 최대이륙중량 42,300 lb인 F-16C/D와 직접적인 비교가 가능하다. 최대속도는 마하 2.0으로 추정되며 작전반경은 약 450 nm이다. 지금까지 일본은 기후기지에서 4기의 XF-2 시제기에 대하여 약 600회의 비행을 기록하였으며, 전체 약 900회의 비행시험을 계획하고 있다.
Ⅷ. F-16 전투기
1. F-16의 출현
F-15 Eagle 출현 이후 미 공군 전투기로서, 미 해군의 F-14 Tomcat 과 함께 미국의 최신예 전투기로서 자리매김 해 왔으며 성능 면에서 볼 때 최고의 전투기임에 틀림이 없지만, 그 가격이 너무 비싸, 아무리 돈 많은 미국이라 할지라도 충분한 수량을 구입할 수 없게 되자 미 공군은 값싸고 성능 좋은 경량급 전투기를 개발하여 수적인 열세를 보강하면 어떨까 하는 구상에서 개발된 전투기가 바로 F-16이다. 미 공군은 1972년 2월에 경량전투기 개발 계획을 발표하였고 이에 따라 미국의 저명한 5개 항공사가 각기의 계획을 제출하였다. 미 공군은 심사결과 제너럴 다이내믹스 와 노즈롭 항공사의 2개안을 선정하고 원형기를 제작케 하여 전자를 YF-16, 후자를 YF-17이라고 각각 명칭 하였다.
1974년 1년 동안 YF-16과 Y-17의 치열한 경쟁 비행시험을 거친 후 1975년 1월 드디어 미 공군은 YF-16의 승리를 인정하였고, 그 후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어 1976년 12월에 첫 비행에 성공한 후, 당초의 설계 계획대로 성능대비 저렴한 가격의 F-16은, 여러 가지 면에서 미 공군의 주력기인 F-15와 비교되며 전투기 시장을 점령하고 있다.
2. F-16의 성능
공중 전투에서 F-16의 기동성과 전투행동반경은 모든 잠재적 젖 전투기이 그것을 능가한다. F-16은 전천후전투기이며, 레이더를 교란키 위해 저고도 비행하는 적기를 탐지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전투임무 수행능력에 있어서는 F-16은 860km 이상 떨어진 곳의 공격 목표지점까지 도달하여, 뛰어난 고 정밀무기 시스템을 동원하여 목표물을 격파하고, 적 요격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 무사히 발진기지로 돌아 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F-16은 설계적인 측면에서는 첨단의 항공공학적 시스템과 기존의 F-15나 F-111 전투기에서 채용되어 입증된 믿을 수 있는 시스템 들을 채택하였다. 이런 것들이 F-16을 단순화하는데 기여했으며, 이 전투기의 크기, 구입비요, 유지비용, 중량 등을 줄이는데 기여했다. 조종석과 이전투기의 버블(Bubble) 캐노피는 조종사에게 장애물이 전혀 없는 전방 및 상방시야를 제공하며 또한 대단히 개선된 양쪽 옆과 뒤쪽 시야를 제공한다. 또한 고 정밀 관성 항법 장치를 포함하는 항공전자장비는 조종 정보를 조종사에게 제공한다. F-16의 세부적 사항들에 대해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에이비오닉스 & 시스템의 경우, F-16 전투기의 에이비오닉스는 전방과 후방에 위치한 에이비오닉스 베이에 장착된다. 전방 에이비오닉스 베이는 칵핏의 바로 앞부분에 위치하며, 레이더/공중 데이터 장비/ 델코(Delco)社의 사통컴퓨터/INS/비행관제 컴퓨터/레이더 고도계 등이 장착되고, 후방 에이비오닉스 베이에는 콜린스(Collins)社의 AN/ARN-108 ILS, TACAN/IFF이 장착되며 기타 장래의 부가적인 시스템 장착을 위한 여분의 공간이 준비되어 있다.
조종석에는 맥도넬더글라스社의 ACES Ⅱ zero/zero 사출좌석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하니웰社의 다기능 디스플레이가 장치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는 4각의 천연색 평면 액정화면이며 이박에 디지털 지형 시스템, 모듈식 임무 컴퓨터, 조종사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비춰진 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컬러 비디오카메라, 컬러 삼중 데크 비디오 레코더, 다른 기종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LINK 16 데이터 링크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첨단의 디스플레이 재생기를 장치 할 수 있다. 통신장비로서는, 마그나복스社의 UHF AN/ARC-164 U로 송수신기와 피아식별장치와 결합된 콜린스社의 VHF AM/FM AN/ARC-186을 장착하며 이밖에 마그나복스社의 KY-58 음성비밀통신 장비와 콜린스 社의 AN/ARC-168 폴 AM/FM 수신기, AN/AIC-18/25 내부통신 장비 등의 장착이 가능하다.
레이더는 애초 웨스팅하우스社의 AN/APG-66 펄스도플러 거리탐지-각도 추적 레이더가 노우즈의 평면 배열 안테나와 함께 장착되어 있었으나, C/D Block 25기종에 이르러 A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