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단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가래 때문에 자꾸
기침이 나요"
"가래가 잘 나오지
않아요"
Objective data
호흡수 : 34회
양상 : 얕고 빠른 호 흡, 흡기시 쇄 골의 상승
기침을 발작적으로 자주한다.
청진시 호흡할 때 그르렁거리는 소리
진단명 : 농흉
과도한
분비물
생성으로
인한
기도개방
유지불능
기침과 가래가 없어져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1. 환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 호흡 상태를 사정하고 앞으로 중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
2. 환자의 호흡곤란을 감소시키는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 흡인 방지, 폐확장 도모 )
3. 환자가 힘들어 하면 suction이나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4.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나 거담제를 투여한다.
(기관지 확장제나 거담제는 환자가 효과적으로 객담을 배출해내지 못할 때 객담을 묽게해 배출을 용이하게함)
5.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6. 적절한 수화공급을 한다.
( 분비물을 묽게해 배출용이)
7. 환자의 호흡양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교육을 한다.
1. 양상 : 흡기시 쇄골상승, 얕음
수 : 30회
음 : rale (3/24 2PM)
2. 환자의 침상머리를 올려 평상시 에는 반좌위나 좌위로 있도록 한다.
3. 주무시다 깬 환자분이 기침을 심하게 하셔서 흉부타진을 한다.
4. SALBUTAMOL 2.5mg을 네뷸라 이져로 흡인
erdostein 300mg을 식후 30분 후 복용
5. nasal cannula로 O2 2L (3/24)
6. 하루에 2~3L의 물 섭취를 권장하고 가습기를 적용해 드림 (3/25)
7. 느리고 이완된 호흡 양상을 이용해 하부 늑간 횡격막과 복식호흡을 하도록 알려드림 (3/21)
호흡수
10
시
5시
10
시
24
일
28
30
26
25
일
24
26
20
26
일
28
22
22
27
일
24
20
22
호흡수는 이전에 비해 많이 감소 하였고 대상자가 기침과 가래가 호전되었다고 표현하는 것으로 보아 목표는 부분달성 되었다.
(1) 과도한 분비물 생성으로 인한 기도개방 유지불능
(2) 염증반응 증가로 인한 고체온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입술이 자꾸 말라요"
"몸이 으슬으슬 춥고 열이 나요 "
Objective data
BT :38.6℃ (3/19)
37.6℃ (3/20)
WBC : 34900 (3/19)
27400 (3/20)
(정상4000 - 10000)
청진시 그르렁소리
염증반응 증가로 인한
고체온
대상자는 염증반응 없이 정상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1. 필요시 icebag이나 담요를
apply한다.
2. 미온수로 마사지 한다.
(열의 증발로 체온 하강)
3. 2시간마다 BT를 측정한다.
4. 의사에게 보고하고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5.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6. 침상안정을 시킨다. (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열발생을 감소)
1. 대상자가 오한을 호소하셔서 담요로 덮고 계시라고 하고 warm bag을 대줌.
(오한시 신체노출은 떨림을 증가시켜 열발생을 증가시킴)
2. 오한이 사라지면 보호자에게 미온수로 닦아주라고 한다.
AM 6
36.8
8
27.5
10
38.0
PM MD
37.5
2
37.3
4
36.8
6
37.6
8
37.7
10
36.8
MN
36.8
3.
4. ibuprofen 385mg을 po로 투약함 (3/25)
5. 물을 많이 드시라고 격려한다.
6. 침대에서 안정을 하라고 한다.
27일
AM 4
36.8
8
36.4
PM12
36.5
4
36.8
8
36.6
12
36.4
대상자의 체온은 정상치로 측정되었다.
22일
32300
23일
29500
24일
20700
27일
13000
대상자의 WBC수치가 아직 높긴 하지만 점차낮아지고 있으므로 염증반응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인다.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기침하면 여기가 (chest tube site) 아파서 못하겠어요"
"진통제좀 달라고 하세요"
Objective data
기침하시면 아프다는 표정으로 얼굴을 찡그리심 (통증척도 9)
chest tube 꽂고계심 (3/19)
될 수 있으면 움직이지 않으려 하심이 관찰됨
침습적 절차로 인한 급성통증
대상자는 통증 횟수가 감소할 것이다.
1. chest tube insertion site를 사정한다.
2. 배액이 원활히 되는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3. 유해자극을 감소시킨다.
4.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
5. 걷기정도의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게 격려한다.
1. 삽입부위의 발적이나 다른 이상 증상이 없었다.
2. 침상머리를 올려 좌위나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중력으로 dranage가 원활히 되기 위해)
3-1. 심호흡과 기침시 튜브삽입 부위를 지지하도록 한다.
3-2. 배액관이 꼬이거나 줄이 당기지 않았는지,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3-3. 오른쪽에 IV line이 있으셔서 오른쪽 팔에 BP를 잴 때 삽입부위를 자극하지 않게 조심스럽게 다룸
4. 처방된 tramadol 50mg을 IV함 (3/25)
5. 걷기 정도의 운동을 하셔야 배액도 잘 되고 빨리 회복됨을 말하고 격려한다.
대상자는 처음보다 통증호소 없으시고 평상시 표정도 밝아지심.
통증척도 6
목표 달성됨.
(3) 침습적 절차로 인한 급성통증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가래 때문에 자꾸
기침이 나요"
"가래가 잘 나오지
않아요"
Objective data
호흡수 : 34회
양상 : 얕고 빠른 호 흡, 흡기시 쇄 골의 상승
기침을 발작적으로 자주한다.
청진시 호흡할 때 그르렁거리는 소리
진단명 : 농흉
과도한
분비물
생성으로
인한
기도개방
유지불능
기침과 가래가 없어져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할 것이다.
1. 환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 호흡 상태를 사정하고 앞으로 중재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
2. 환자의 호흡곤란을 감소시키는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 흡인 방지, 폐확장 도모 )
3. 환자가 힘들어 하면 suction이나
흉부물리요법을 시행한다.
4. 필요시 기관지 확장제나 거담제를 투여한다.
(기관지 확장제나 거담제는 환자가 효과적으로 객담을 배출해내지 못할 때 객담을 묽게해 배출을 용이하게함)
5. 필요시 산소를 공급한다.
6. 적절한 수화공급을 한다.
( 분비물을 묽게해 배출용이)
7. 환자의 호흡양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교육을 한다.
1. 양상 : 흡기시 쇄골상승, 얕음
수 : 30회
음 : rale (3/24 2PM)
2. 환자의 침상머리를 올려 평상시 에는 반좌위나 좌위로 있도록 한다.
3. 주무시다 깬 환자분이 기침을 심하게 하셔서 흉부타진을 한다.
4. SALBUTAMOL 2.5mg을 네뷸라 이져로 흡인
erdostein 300mg을 식후 30분 후 복용
5. nasal cannula로 O2 2L (3/24)
6. 하루에 2~3L의 물 섭취를 권장하고 가습기를 적용해 드림 (3/25)
7. 느리고 이완된 호흡 양상을 이용해 하부 늑간 횡격막과 복식호흡을 하도록 알려드림 (3/21)
호흡수
10
시
5시
10
시
24
일
28
30
26
25
일
24
26
20
26
일
28
22
22
27
일
24
20
22
호흡수는 이전에 비해 많이 감소 하였고 대상자가 기침과 가래가 호전되었다고 표현하는 것으로 보아 목표는 부분달성 되었다.
(1) 과도한 분비물 생성으로 인한 기도개방 유지불능
(2) 염증반응 증가로 인한 고체온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입술이 자꾸 말라요"
"몸이 으슬으슬 춥고 열이 나요 "
Objective data
BT :38.6℃ (3/19)
37.6℃ (3/20)
WBC : 34900 (3/19)
27400 (3/20)
(정상4000 - 10000)
청진시 그르렁소리
염증반응 증가로 인한
고체온
대상자는 염증반응 없이 정상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1. 필요시 icebag이나 담요를
apply한다.
2. 미온수로 마사지 한다.
(열의 증발로 체온 하강)
3. 2시간마다 BT를 측정한다.
4. 의사에게 보고하고 필요시 해열제를 투여한다.
5.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6. 침상안정을 시킨다. (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열발생을 감소)
1. 대상자가 오한을 호소하셔서 담요로 덮고 계시라고 하고 warm bag을 대줌.
(오한시 신체노출은 떨림을 증가시켜 열발생을 증가시킴)
2. 오한이 사라지면 보호자에게 미온수로 닦아주라고 한다.
AM 6
36.8
8
27.5
10
38.0
PM MD
37.5
2
37.3
4
36.8
6
37.6
8
37.7
10
36.8
MN
36.8
3.
4. ibuprofen 385mg을 po로 투약함 (3/25)
5. 물을 많이 드시라고 격려한다.
6. 침대에서 안정을 하라고 한다.
27일
AM 4
36.8
8
36.4
PM12
36.5
4
36.8
8
36.6
12
36.4
대상자의 체온은 정상치로 측정되었다.
22일
32300
23일
29500
24일
20700
27일
13000
대상자의 WBC수치가 아직 높긴 하지만 점차낮아지고 있으므로 염증반응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인다.
Sign and symptom (Subjective and Objective Data)
Nursing Diagnosis
Expected Outcome
(Client Goal)
Planning
(scientific rational)
Implementation
Evaluation
Subjective data
"기침하면 여기가 (chest tube site) 아파서 못하겠어요"
"진통제좀 달라고 하세요"
Objective data
기침하시면 아프다는 표정으로 얼굴을 찡그리심 (통증척도 9)
chest tube 꽂고계심 (3/19)
될 수 있으면 움직이지 않으려 하심이 관찰됨
침습적 절차로 인한 급성통증
대상자는 통증 횟수가 감소할 것이다.
1. chest tube insertion site를 사정한다.
2. 배액이 원활히 되는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3. 유해자극을 감소시킨다.
4. 필요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
5. 걷기정도의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게 격려한다.
1. 삽입부위의 발적이나 다른 이상 증상이 없었다.
2. 침상머리를 올려 좌위나 반좌위를 취하게 한다. (중력으로 dranage가 원활히 되기 위해)
3-1. 심호흡과 기침시 튜브삽입 부위를 지지하도록 한다.
3-2. 배액관이 꼬이거나 줄이 당기지 않았는지, 정확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한다.
3-3. 오른쪽에 IV line이 있으셔서 오른쪽 팔에 BP를 잴 때 삽입부위를 자극하지 않게 조심스럽게 다룸
4. 처방된 tramadol 50mg을 IV함 (3/25)
5. 걷기 정도의 운동을 하셔야 배액도 잘 되고 빨리 회복됨을 말하고 격려한다.
대상자는 처음보다 통증호소 없으시고 평상시 표정도 밝아지심.
통증척도 6
목표 달성됨.
(3) 침습적 절차로 인한 급성통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