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흉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흉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기간
3. 연구 방법

II. 문헌 고찰
◀ 농흉 ▶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
[6] 치료
[7] 간호중재

Ⅲ. 사례 연구
1. 기초자료 수집
2. 의미있는 자료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련된 잠재적 감염(O1)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1. 입원과 관련된 불안 (S1)
㉠ 간호목표
병동 내 생활에 잘 적응하여 불안감 없이 편안히 지낸다.
㉡ 간호계획
환자에게 병실 내와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간호수행
우선 병실을 안내하고, 병원 환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여 환경과 친숙하게 한다.
적절한 의사소통을 통해 신뢰감과 친밀한 관계를 형성한다.
㉣ 평가
병원 환경에 잘 적응하셔서 생활하고 계시다. 나중에 병원에 입원하셔서 불편한 점은 없냐고 질문 드렸을 때 전혀 불편하지 않다고 말씀하셨다.
#2. 수술과 관련된 통증 (S4, O2. O4)
㉠ 간호목표
통증은 견딜 만 하게 줄었다고 말한다.
㉡ 간호계획
통증의 정도 및 특성을 사정한다.
환자의 불편감을 주의 깊게 경청하여 환자의 호흡 상태를 사정한다.
명상이나 호흡조절 같은 이완 요법 등의 비약물적 통증 경감 요법을 적용한다.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 간호수행
통증의 정도와 특성을 사정하였다.
이완 요법의 하나로 심호흡을 시켰다.
㉣ 평가
수술 당일은 수술 후 몹시 고통스러워했으나 시간이 지나며 통증을 견딜 수 있겠다고 하셨다.
#3. 흉부밀봉배액법에 대한 지식 부족 (S2, S6)
㉠ 간호목표
흉부밀봉배액법에 대해 이해하고 흉부밀봉배액법 관리에 관련된 행동 수행능력을 배운대로 보여준다.
㉡ 간호계획
환자의 질병과 수술에 대하여 설명하여 흉부밀봉배액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와 배액시스템의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환자가 알고 있는 내용을 확인한다.
㉢ 간호수행
농흉과 박피술에 대해 설명하여 이해를 돕고, Drain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해주었다.
Bubbling이 일어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고, 활동 시 배액병은 항상 흉부보다 낮은 곳에 둘 것 등의 배액시스템의 관리에 대하여 교육했다.
흉관의 꼬임이나 눌림이 없도록 교육하고 환부가 있는 부위의 팔은 규칙적으로 ROM운동을 하도록 교육한다.
㉣ 평가
환자가 본인의 질병과 흉부밀봉배액법에 대해 이해하고, 궁금하게 여기던 것들에 대해 지식을 습득했다.
#4.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 청결의 비효율성 (S3, O3. O5)
㉠ 간호목표
효율적으로 기침을 하고 객담배출이 용이해져 깨끗한 기도 상태를 유지한다.
㉡ 간호계획
① 호흡 및 분비물 양상과 기침, 객담 배출 능력을 사정한다.
② 효과적으로 기침을 하도록 돕는다.
③ 적절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④ 기침을 격려하여 분비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 간호수행
심호흡 후 효과적인 기침을 유도하고, 높은 반좌위를 취하도록 돕는다. 물을 자주 드시라고 말씀드리고 기침을 하실 때 객담도 같이 뱉으라고 말씀드렸다.
㉣ 평가
시간이 지날수록 진한 농도의 객담에서 점점 묽은 객담을 효과적인 기침으로 배출하게 되었고, 그 양도 점점 줄어들었다고 하셨다.
#5. 배액관삽입과 관련된 활동 내구성 장애(S5, O6, O7)
㉠ 간호목표
배액시스템 관리방법을 습득하여 일상 활동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를 요구하는 모든 활동을 수행한다.
㉡ 간호계획
활동내구성 감소요인을 확인하고, 현재보다 자유롭게 활동도록 돕는다.
배액시스템의 필요성을 설명하여 배액시스템관리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삽관한 쪽으로 어깨를 기울이지 말 것을 교육한다.
㉢ 간호수행
배액 시스템의 필요성을 설명해주고, 활동 시 배액병의 관리에 대해서 설명해주었다.
삽관한 쪽으로 어깨를 기울이지 말 것을 교육했다.
환부가 있는 부위의 팔은 규칙적으로 ROM운동을 하도록 교육하고, 침상에서만 있지 말고 가벼운 활동을 하도록 권해드렸다.
가족에게 환자의 활동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 평가
배액관 삽입의 이유와 배액병 관리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활동이 늘어가셨다.
Ⅳ. 결론
본 환자는 54세의 남자 결핵성 농흉 환자로 2003년 2월 14일 결핵 진단을 받고 medication 복용 중 Lt. Chest pain 있어서 입원하신분이다.
수술 직후에는 피부색이나 표정 등 힘든 기색이 역력하셨고, 그 후로도 일주일 정도는 chest pain이 있다고 complain하시고 기침을 자주 하시는 등 고통스러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활동하기 불편해 하시고 인터뷰하는 동안 말씀하시기도 힘들어하셨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굴 표정도 좋아지시고, pain complain이 줄어드는 등 컨디션이 점점 회복되어 가는 모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환자분에게 입원과 관련된 불안, 수술과 관련된 통증, 흉부밀봉배액법에 대한 지식 부족,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 청결의 비효율성, 배액관삽입과 관련된 활동 장애라는 진단을 내리고 care했으며 OP와 medication한 결과 점차 나아지셔서 3월 20일 퇴원하셨다.
이번 병동 실습은 폐에 관해 배우고 와서 책과 많은 비교를 해 볼 수 있었다. 호흡기 질환자들은 전신 쇠약, 발열, 권태감, 객혈, 호흡곤란 등의 증세를 보인다고 했는데 이것도 수시로 기침을 하고 가래를 뱉으며 쇠약한 모습으로 힘들어하던 환자들의 모습과 같다고 느꼈다.
이번 사례 연구를 통해서는 농흉에 대하여 자세히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고 이에 대한 간호 중재를 익힐 수 있었다. 폐질환에 대해 조사하면서 금연의 중요성을 느꼈고 담배는 절대 피지 말고 사람들 많은 곳도 조심해야 하며 감기도 가능한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
흉부외과병동 실습을 통하여 심장과 폐질환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었고, Surgery part여서 수술 환자 간호 등 외과적인 부분에 대해서 공부를 할 수 있었다. 이번 실습은 처음이라 미흡한 점이 많아서 아쉽고, 실무적인 간호를 익히는 첫 발걸음이 되었다.
※ 참고문헌
1. 서문자 外. 성인간호학 (上 Ⅱ). 수문사. 1999
2. 이광옥 外. 최신 임상 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7
3. 김원곤. 흉부외과학. 고려의학. 1994
4. 국립의료원 의약품집. 국립의료원 . 2001
5. 서울대학병원 편. 간호 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6. 이은옥 外. 간호 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7. 김조자 外. 성인간호학 (상 2). 현문사. 2000
8. 의학 사전. 고문사. 1998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2.07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2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