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베게너 대륙이동설의 정립, 정의, 근거
1. 대륙이동설의 정립
2. 대륙이동설의 정의
3. 대륙이동설의 근거
1) 해저 확장설
2) 맨틀대류설
Ⅱ. 베게너 대륙이동설의 증거
1. 열점
2. 맨틀대류
3. 표류하는 대륙 : 과거, 현재, 미래
Ⅲ. 대륙의 성장
Ⅳ. 대륙의 융기, 침강, 침식, 퇴적
Ⅴ. 대륙붕괴설
1. 국내 대륙붕 개발 현황
2. 외국유전 개발 및 생산 현황
참고문헌
1. 대륙이동설의 정립
2. 대륙이동설의 정의
3. 대륙이동설의 근거
1) 해저 확장설
2) 맨틀대류설
Ⅱ. 베게너 대륙이동설의 증거
1. 열점
2. 맨틀대류
3. 표류하는 대륙 : 과거, 현재, 미래
Ⅲ. 대륙의 성장
Ⅳ. 대륙의 융기, 침강, 침식, 퇴적
Ⅴ. 대륙붕괴설
1. 국내 대륙붕 개발 현황
2. 외국유전 개발 및 생산 현황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력에 의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달이나 태양으로부터의 인력은 바닷물뿐만 아니라 지구에도 역시 작용하고 있다. 대규모의 대륙이동을 주장한 미국의 테일러 학자는 대륙이동은 대륙이 배처럼 움직인 것이 아니라, 뭍이 바다로 질질 미끄러지듯 진행한다고 하였다. 이 〈미끄러짐〉은 대륙의 높은 부분이 중력 때문에 가장자리에서 밖으로 밀려난 때문이라고 하였다. 색다른 듀 토이트의 이론이란 먼저 대륙을 하나의 덩어리로 보았다. 이 덩어리의 가장자리는 심한 침식, 퇴적이 일어나, 이른바 지향사를 만든다.
Ⅴ. 대륙붕괴설
1. 국내 대륙붕 개발 현황
국내 대륙붕에서 석유자원 부존 가능성이 거론된 것은 1970년대의 일이지만 본격적인 석유탐사 활동은 1983년부터 시작되었다. 1972년부터 1982년까지는 걸프, 쉘, 텍사코 등 외국 기업이 주도하여 51,437 L-Km의 물리탐사와 1, 2개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하였으나 유전의 확인에는 실패했다.
1983년 이후에는 우리 공사가 주도적으로 석유탐사 활동을 전개하여 60,355의 물리탐사와 18개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중 87년에는 제6-1광구 돌고래 지역에서, 93년에는 고래지역에서 각각 상당한 규모의 가스층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확인된 매장량은 생산하기 위한 경제규모에는 미흡함으로 매장량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하여 6-1 광구를 포함한 국내 대륙붕 전반에 대한 종합기술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공사는 산유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대륙붕 중장기 탐사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체계적인 탐사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특히, 탐사단계의 자금조달과 위험의 분산을 위해 외국합작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등 대륙붕 개발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 외국유전 개발 및 생산 현황
우리 나라는 세계 11개국 14개 해외석유개발사업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 이중 예멘 마리브를 포함한 5개 광구에서는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페루 79광구를 포함한 9개광구에서는 탐사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11-2광구 및 알제리 부라레 광구는 한국석유개발공사 운영권자로서 개발중에 있다.
최근에는 영국 캡틴유전과 페루 8광구를 매입, 약 6천만 배럴의 원유 매장량을 확보하였으며 가채 매장량 3억 배럴 확보를 목표로 해외석유탐사 및 개발사업은 물론 생산 유전의 매입 등 적극적인 전략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 민간기업의 해외석유개발사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해외 유망광구에 대한 정보 및 기술, 자금을 지원하는 등 원유의 안정적인 공급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혁재, 지형학, 법문사, 1984
김경렬 외, 지구시스템의 이해, 박학사, 2004
왈레스 브뢰커, 원종관 역, 지구환경의 변천, 전파과학사, 1996
좌용주, 베게너가 들려주는 대륙이동 이야기, 자음과 모음, 2005
좌용주, 윌슨이 들려주는 판구조론 이야기, 자음과 모음
프랜시스 P. 셰퍼드, 해양 지질학,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1
한국지구과학회,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2003
Ⅴ. 대륙붕괴설
1. 국내 대륙붕 개발 현황
국내 대륙붕에서 석유자원 부존 가능성이 거론된 것은 1970년대의 일이지만 본격적인 석유탐사 활동은 1983년부터 시작되었다. 1972년부터 1982년까지는 걸프, 쉘, 텍사코 등 외국 기업이 주도하여 51,437 L-Km의 물리탐사와 1, 2개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하였으나 유전의 확인에는 실패했다.
1983년 이후에는 우리 공사가 주도적으로 석유탐사 활동을 전개하여 60,355의 물리탐사와 18개공의 탐사시추를 실시하였으며, 이 기간중 87년에는 제6-1광구 돌고래 지역에서, 93년에는 고래지역에서 각각 상당한 규모의 가스층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확인된 매장량은 생산하기 위한 경제규모에는 미흡함으로 매장량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하여 6-1 광구를 포함한 국내 대륙붕 전반에 대한 종합기술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공사는 산유국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국내대륙붕 중장기 탐사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체계적인 탐사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특히, 탐사단계의 자금조달과 위험의 분산을 위해 외국합작선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등 대륙붕 개발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 외국유전 개발 및 생산 현황
우리 나라는 세계 11개국 14개 해외석유개발사업에 직접 참여하고 있다. 이중 예멘 마리브를 포함한 5개 광구에서는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페루 79광구를 포함한 9개광구에서는 탐사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11-2광구 및 알제리 부라레 광구는 한국석유개발공사 운영권자로서 개발중에 있다.
최근에는 영국 캡틴유전과 페루 8광구를 매입, 약 6천만 배럴의 원유 매장량을 확보하였으며 가채 매장량 3억 배럴 확보를 목표로 해외석유탐사 및 개발사업은 물론 생산 유전의 매입 등 적극적인 전략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 민간기업의 해외석유개발사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해외 유망광구에 대한 정보 및 기술, 자금을 지원하는 등 원유의 안정적인 공급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혁재, 지형학, 법문사, 1984
김경렬 외, 지구시스템의 이해, 박학사, 2004
왈레스 브뢰커, 원종관 역, 지구환경의 변천, 전파과학사, 1996
좌용주, 베게너가 들려주는 대륙이동 이야기, 자음과 모음, 2005
좌용주, 윌슨이 들려주는 판구조론 이야기, 자음과 모음
프랜시스 P. 셰퍼드, 해양 지질학,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1
한국지구과학회,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