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이 론
1.1.나이트로화합물
1.1.1.지방족 나이트로화합물
1.1.2.방향족 나이트로화합물
1.2.나이트로화 반응
1.3.친핵성 반응
1.4.Nitrobenzene
1.5.Nitration of Methyl Benzene
1.6.증류 (Distillation)
1.7.분액여두 (Sepuratory funel)
1.8.수득률
2.실 험
2.1.실험방법
2.1.1.실험기구
2.1.2.시약
2.2.실험방법
2.3.주의사항
2.4.물리상수
3.결 과
3.1.Raw data
4.고 찰
5.참고문헌
1.1.나이트로화합물
1.1.1.지방족 나이트로화합물
1.1.2.방향족 나이트로화합물
1.2.나이트로화 반응
1.3.친핵성 반응
1.4.Nitrobenzene
1.5.Nitration of Methyl Benzene
1.6.증류 (Distillation)
1.7.분액여두 (Sepuratory funel)
1.8.수득률
2.실 험
2.1.실험방법
2.1.1.실험기구
2.1.2.시약
2.2.실험방법
2.3.주의사항
2.4.물리상수
3.결 과
3.1.Raw data
4.고 찰
5.참고문헌
본문내용
때기 사용시, CO2 가 발생하므로 반드시 분액깔때끼를 거꾸로 하여 코크를 열고 내압을 제거하는 조작을 잊어서는 안된다.
가열하는 동안 반응액을 잘 흔들어야 한다.
벤젠 증기가 발생하는 곳에 화기를 가까이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니트로벤젠은 독성이 강하고 피부에 흡수되기 쉬우므로 취급할 때조심해야 한다.
2.4. 물리상수
Table 3. 물리상수
밀도(g/㎤)
분자량(g/㏖)
비중
Conc-H2SO4
1.39
63
0.6
Conc-HNO3
1.84
98
0.96
Benzene
0.88
78
0.995
Na2CO3
105.98
2.5
-
CaCl2
111
2.15
-
3. 결과 (RESULT)
3.1. Raw data
우선 Conc-HNO3 와 Conc-H2SO4 를 가해주는 것은 NO2+ 를 얻기 위함이다.
Figure 5. Conc-HNO3 와 Conc-H2SO4 의 반응
이후에 Benzene 을 가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 Nitrobenzene 이 생성 되어진다.
Figure 6. Nitrobenzene 생성반응
반응이 무조건 되는 것은 아니고 dropping funnel 에서 온도를 60℃ 정도를 유지하면서 40분간 반응을 완결시켰다. 플라스크 내의 반응물 중에서 위 층의 액 소량을 물과 섞으면 두개의 층으로 분리가 된다. 두개의 층으로 분리가 되었다면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 반응물에 200mL의 찬물을 붓고 분액여두를 사용하여 윗층의 Nitrobenzene를 분리하였다. Nitrobenzen e이 윗층에 있었던 이유는 황산보다 Nitrobenzene의 밀도가 작기 때문이다. 분리한 nitrobenzene은 75~100ml 물로 세척하면서 산성층과 분리를 시켰다. 이때는 nitro benzene 의 밀도가 물보다 더 크기 때문에 아래쪽에 nitrobenzene이 위치했었다.
이후 5~10% Na2CO3 용액으로 세척하여 유리산분을 중화한 후 다시 물로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마른 elenmeyer flask에 옮겨 무수 CaCl2 5~10g을 가하여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면 하얀 반응물이 생기는데 이것이 Nitrobenzene이다.
마지막으로 건조한 Nitrobenzene을 중량하고 증류하여 200~206℃에서 나오는 증류 액을 모아 평량하여 갈색병에 보관해야 하지만 이때 생기는 추가생성물로 인해서 이 과정은 생략하였다.
Figure 7. m-Dinitrobenzene 생성반응
추가 생성물로 생성되는 m-Dinitrobenzene은 반응성이 크고 폭발할 위험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더 이상의 실험은 너무 위험하여 생략하였다.
4. 고찰 및 토론 (DISCUSSION)
이번 실험의 목적은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반응의 하나인 Nitration(니트로화)를 알고 Benzene을 HNO3를 혼합하여 H2SO4를 촉매로 하여 적절한 반응조건과 절차를 거쳐 Nitrobenzene을 합성하는 것이었다.
삼구 플라스크에 HNO3과 H2SO4의 적절량을 혼합한 후 Benzene을 Dropping funnel을 이용하여 소량 씩 첨가하고 준비해놓은 가열기에 반응물을 놓고 환류냉각기에 찬물을 통하면서 60℃에서 약 40분간 가열하여 반응을 시켰다. Nitrobenzene이 합성되었는지는 물과 섞어 두층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합성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었다. 합성된 Nitrobenzene을 물로 세척하고 Na2CO3 으로 세척하여 불순물 및 수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무수 CaCl2 을 이용하여 Nitrobenzene에 있을 수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Nitrobenzene 을 건조시켜다.
실험을 끝까지 완료하고 싶지만 반응물을 건조제로 수분을 제거한 후에 200~206℃에서 나오는 증류액을 모을 때 여기서 추가생성물로 생성되는 m-Dinitrobenzen e이 반응성이 크고 폭발할 위험성이 매우 커서 그 이후 실험은 생략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이번 실험은 Nitrobenzene의 합성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주목적을 두었다.
5. 참고문헌 (REPERENCE)
1. http://orgchem.colorado.edu/equipment/glassware/sepfun.html
2. http://100.naver.com/100.nhn?docid=156499
3. http://www.chonnam-sh.hs.kr/~chemistry/고등과학자료
4. 유기화학 제7판, 사이플러스, John McMurry, 501~543, 2008
가열하는 동안 반응액을 잘 흔들어야 한다.
벤젠 증기가 발생하는 곳에 화기를 가까이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니트로벤젠은 독성이 강하고 피부에 흡수되기 쉬우므로 취급할 때조심해야 한다.
2.4. 물리상수
Table 3. 물리상수
밀도(g/㎤)
분자량(g/㏖)
비중
Conc-H2SO4
1.39
63
0.6
Conc-HNO3
1.84
98
0.96
Benzene
0.88
78
0.995
Na2CO3
105.98
2.5
-
CaCl2
111
2.15
-
3. 결과 (RESULT)
3.1. Raw data
우선 Conc-HNO3 와 Conc-H2SO4 를 가해주는 것은 NO2+ 를 얻기 위함이다.
Figure 5. Conc-HNO3 와 Conc-H2SO4 의 반응
이후에 Benzene 을 가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반응이 일어나 Nitrobenzene 이 생성 되어진다.
Figure 6. Nitrobenzene 생성반응
반응이 무조건 되는 것은 아니고 dropping funnel 에서 온도를 60℃ 정도를 유지하면서 40분간 반응을 완결시켰다. 플라스크 내의 반응물 중에서 위 층의 액 소량을 물과 섞으면 두개의 층으로 분리가 된다. 두개의 층으로 분리가 되었다면 반응이 일어났다는 것이다. 이 반응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 반응물에 200mL의 찬물을 붓고 분액여두를 사용하여 윗층의 Nitrobenzene를 분리하였다. Nitrobenzen e이 윗층에 있었던 이유는 황산보다 Nitrobenzene의 밀도가 작기 때문이다. 분리한 nitrobenzene은 75~100ml 물로 세척하면서 산성층과 분리를 시켰다. 이때는 nitro benzene 의 밀도가 물보다 더 크기 때문에 아래쪽에 nitrobenzene이 위치했었다.
이후 5~10% Na2CO3 용액으로 세척하여 유리산분을 중화한 후 다시 물로 세척하였다. 마지막으로 마른 elenmeyer flask에 옮겨 무수 CaCl2 5~10g을 가하여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면 하얀 반응물이 생기는데 이것이 Nitrobenzene이다.
마지막으로 건조한 Nitrobenzene을 중량하고 증류하여 200~206℃에서 나오는 증류 액을 모아 평량하여 갈색병에 보관해야 하지만 이때 생기는 추가생성물로 인해서 이 과정은 생략하였다.
Figure 7. m-Dinitrobenzene 생성반응
추가 생성물로 생성되는 m-Dinitrobenzene은 반응성이 크고 폭발할 위험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더 이상의 실험은 너무 위험하여 생략하였다.
4. 고찰 및 토론 (DISCUSSION)
이번 실험의 목적은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반응의 하나인 Nitration(니트로화)를 알고 Benzene을 HNO3를 혼합하여 H2SO4를 촉매로 하여 적절한 반응조건과 절차를 거쳐 Nitrobenzene을 합성하는 것이었다.
삼구 플라스크에 HNO3과 H2SO4의 적절량을 혼합한 후 Benzene을 Dropping funnel을 이용하여 소량 씩 첨가하고 준비해놓은 가열기에 반응물을 놓고 환류냉각기에 찬물을 통하면서 60℃에서 약 40분간 가열하여 반응을 시켰다. Nitrobenzene이 합성되었는지는 물과 섞어 두층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합성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었다. 합성된 Nitrobenzene을 물로 세척하고 Na2CO3 으로 세척하여 불순물 및 수분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무수 CaCl2 을 이용하여 Nitrobenzene에 있을 수 있는 수분을 제거하여 Nitrobenzene 을 건조시켜다.
실험을 끝까지 완료하고 싶지만 반응물을 건조제로 수분을 제거한 후에 200~206℃에서 나오는 증류액을 모을 때 여기서 추가생성물로 생성되는 m-Dinitrobenzen e이 반응성이 크고 폭발할 위험성이 매우 커서 그 이후 실험은 생략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이번 실험은 Nitrobenzene의 합성과정을 이해하는데 그 주목적을 두었다.
5. 참고문헌 (REPERENCE)
1. http://orgchem.colorado.edu/equipment/glassware/sepfun.html
2. http://100.naver.com/100.nhn?docid=156499
3. http://www.chonnam-sh.hs.kr/~chemistry/고등과학자료
4. 유기화학 제7판, 사이플러스, John McMurry, 501~543, 2008
키워드
추천자료
친전자성 치환 나이트로벤젠 합성 (Nitration of Methyl benzoate)
DNA 메틸화(DNA methylation)
UNIT PROCESS FOR NITRATION
Hydrolysis of Methyl Acetate 매틸아세테이트 가수분해
Hydrolysis of Methyl acetate 메틸아세테이트의 가수분해
Methyl-m-nitrobenzoate합성 결과레포트
1) Determination of PVA's htdrolization degree 2) PVA's synthesis
Suspension polymerization of poly(methyl methacrylate)
Nitration of Methyl benzoate 결과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