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요약(Abstract)
Ⅱ.서론(Introduction)
Ⅲ. 원리 및 방법
Ⅳ. 결과(Result)
Ⅴ. 토의(Discussion)
Ⅵ.참고(Reference)
Ⅱ.서론(Introduction)
Ⅲ. 원리 및 방법
Ⅳ. 결과(Result)
Ⅴ. 토의(Discussion)
Ⅵ.참고(Reference)
본문내용
)의 표정에서는 종말점이 pH=7 정도에서 생성된다. 그래서 이 때 사용한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은 적당하지 못하다. 이 지시약을 사용하여 무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였을 때는 이미 그전부터 과량의 NaOH가 첨가되었으므로 표정을 통해 NaOH의 정확한 농도를 구할 수 없다.
그래서 변색범위가 pH=7 근처인 Bromothymol blue(pH 6.2-7.6)나 Phenol red(pH 6.8-8.4)를 사용해 주어야 할 것 같다.
※ 몇 가지 중요한 산/염기 지시약
관용명
변색범위(pH)
pKa
색깔 변화
Thymol blue
1.2-2.8
1.65
R-Y
8.0-9.6
8.90
Y-B
Methyl yellow
2.9-4.0
R-Y
Methyl orange
3.1-4.4
3.46
R-O
Bromocresol green
3.8-5.4
4.66
Y-B
Methyl red
4.2-6.3
5.00
R-Y
Bromocresol purple
5.2-6.8
6.12
Y-P
Bromothymol blue
6.2-7.6
7.10
Y-B
Phenol red
6.8-8.4
7.81
Y-R
Cresol purple
7.6-9.2
Y-P
Phenolphthalein
8.3-10.0
C-R
Thymolphthalein
9.3-10.5
C-B
Alizarin yellow GG
10-12
C-Y
(B-blue, C-coloress, O-orange, P-purple, R-red, Y-yellow)
이론에서 본 것과 같이 속도 상수(k)는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실험 결과에서도 25℃에서보다 35℃에서 속도상수(k)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온도가 큰 값을 가질수록 상수값은 큰 값을 갖고 이런 속도상수는 온도가 높다는 것은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가진 분자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Methyl acetate와 HCl을 5ml 씩 flask에 넣고 일정시간후에 그 시료를 채취해서 ice-bath에 담가서 계속 진행되고 있는 methyl acetate의 가수분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거나 늦춰서 종말점을 찾기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것을 quenching이라 한다. 그리고 flask를 오랫동안 ice-bath에 담가 두었던 것이 그 온도에서 적정한 NaOH 양의 원래보다 감소하는 쪽으로 변화를 가져왔을 것이다. 또 시간에 따른 반응의 진척도를 통해서 반응속도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일정시간 후 반복적으로 sample을 채취하여야만 정확한 rate를 구할 수 있다.
항온조에 sample들 담가서 열적 평형 상태를 유지시켜서 실험을 해야만 그 온도에서의 속도변화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계산 과정 중에서 Vs 값은 105ml이지만 104.6ml이다. 왜냐하면 이상용액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많은 온도 범위에서 하고 싶었지만 methyl acetate의 각 온도에 따른 밀도 값을 알 수 없어서 25℃와 35℃에서만 하였다.
Ⅵ.참고(Reference)
1. 물리화학실험, 대한화학회, 청문각
2. 물리화학, 서교택외, 자유아카데미
3. 물리화학, 박병각외, 탐구당
그래서 변색범위가 pH=7 근처인 Bromothymol blue(pH 6.2-7.6)나 Phenol red(pH 6.8-8.4)를 사용해 주어야 할 것 같다.
※ 몇 가지 중요한 산/염기 지시약
관용명
변색범위(pH)
pKa
색깔 변화
Thymol blue
1.2-2.8
1.65
R-Y
8.0-9.6
8.90
Y-B
Methyl yellow
2.9-4.0
R-Y
Methyl orange
3.1-4.4
3.46
R-O
Bromocresol green
3.8-5.4
4.66
Y-B
Methyl red
4.2-6.3
5.00
R-Y
Bromocresol purple
5.2-6.8
6.12
Y-P
Bromothymol blue
6.2-7.6
7.10
Y-B
Phenol red
6.8-8.4
7.81
Y-R
Cresol purple
7.6-9.2
Y-P
Phenolphthalein
8.3-10.0
C-R
Thymolphthalein
9.3-10.5
C-B
Alizarin yellow GG
10-12
C-Y
(B-blue, C-coloress, O-orange, P-purple, R-red, Y-yellow)
이론에서 본 것과 같이 속도 상수(k)는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실험 결과에서도 25℃에서보다 35℃에서 속도상수(k)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즉, 온도가 큰 값을 가질수록 상수값은 큰 값을 갖고 이런 속도상수는 온도가 높다는 것은 높은 활성화 에너지를 가진 분자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Methyl acetate와 HCl을 5ml 씩 flask에 넣고 일정시간후에 그 시료를 채취해서 ice-bath에 담가서 계속 진행되고 있는 methyl acetate의 가수분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거나 늦춰서 종말점을 찾기 용이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것을 quenching이라 한다. 그리고 flask를 오랫동안 ice-bath에 담가 두었던 것이 그 온도에서 적정한 NaOH 양의 원래보다 감소하는 쪽으로 변화를 가져왔을 것이다. 또 시간에 따른 반응의 진척도를 통해서 반응속도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일정시간 후 반복적으로 sample을 채취하여야만 정확한 rate를 구할 수 있다.
항온조에 sample들 담가서 열적 평형 상태를 유지시켜서 실험을 해야만 그 온도에서의 속도변화를 알 수 있을 것이다.
계산 과정 중에서 Vs 값은 105ml이지만 104.6ml이다. 왜냐하면 이상용액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많은 온도 범위에서 하고 싶었지만 methyl acetate의 각 온도에 따른 밀도 값을 알 수 없어서 25℃와 35℃에서만 하였다.
Ⅵ.참고(Reference)
1. 물리화학실험, 대한화학회, 청문각
2. 물리화학, 서교택외, 자유아카데미
3. 물리화학, 박병각외, 탐구당
키워드
추천자료
아스피린 합성실험
지베렐린에 의한 보리종자 amylase 생성 유도
[환경공학실험] 총인(아르코르빈산 환원법) 실험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처리 공정기술(메탄발효)
2009년 1학기 세척과염색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1학기 세척과염색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세탁과염색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호흡][호흡 계통][호흡 조절][호흡 가스교환][호흡과 뇌호흡][호흡과 단전호흡][호흡과 동물...
2012년 1학기 세탁과염색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세탁과염색 기말시험 핵심체크
단백질
2013년 1학기 세탁과염색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세탁과염색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Ex6_Specific_ activity_and_enzyme_kinetics_of_alkaline_phosphat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