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조현상(일반 보고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장 적조현상의 정의
제1절 적조현상
제2절 적조현상의 역사적 기록

2장 적조현상의 실태

3장 적조현상의 이론과 원리
제1절 적조현상의 이론
1.부영양화
2.플랑크톤
제2절 적조의 발생원인
1. 특정 플랑크톤의 증식
2.증식한 플랑크톤의 집적
3. 영양염류와 성장촉진 원소
4. 강우와 바람
5. 적조 생물

4장 적조현상의 피해
제1절 어패류의 폐사나 인명 피해
1. 유독성 적조생물 경우
2. 무독성 적조생물 경우
제2절 관광산업피해
1. 해수욕장패쇄
2. 심미적피해
제3절 적조의 독성
1. saxitoxin 계열의 마비성 패독
2. Okadaic acid 계열의 하리성 패독

5장 해결 방안
제1절 부영양화 현상을 막아야 함
제2절 어장환경 개선
제3절 퇴치용 천적들의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법
제4절 황토의 이용
제5절 초음파 처리
제6절 항 적조물질
제7절 예방 조치
제8절 피해방제

6장 적조의 좋은 점
제1절 유기물 생산
제2절 생태계 구조개선
제3절 기 타

7장 결 론

8장 참고문헌

*조류 목록

본문내용

e Studies on the Cause of the Fish Kill due to Red Tide Organisms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 to Avoid the Damage' in Recent Approaches on Red Tides, Korea.
9. 홈페이지
해양수산연구정보원 http://portal.nfrdi.re.kr/external/environment/redtide/index.jsp
적조의 역사 http://pj8333.hihome.com/red-kill.htm
부영양화 http://home.sunchon.ac.kr/~bioenvlab/data2/ham4/4-9-2.htm
http://www.aak.or.kr/technote/read.cgi?board=report&y_number=6
* 부록
- 조류 목록 -
세균문
Chromatium: 광합성을 하는 홍색유황세균
남조식물문
남조강
Trichodesmium: 홍색, 묶음상과 볼상의 군체를 만들고, 해수면이 톱밥을 띄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일이 있다.
Microcystics: 담수산,푸른김가루 괴상의 군체를 만듬, 유독종이 있다.
Oscillatoria: 담수산,
Aphanizomenon: 담수산,
Anabaenopsis: 담수산,
Anabaina: 담수산,
Chroomonas: 적조는 황갈색 내지 적색
와편모식물문
와편모조강
Procentrum: 내만역에서 많이 보임. 포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Dinophysis: 설사성패독을 생산하는 유독종이 있다. 포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Entomosigma: 횡구절이 없다.
Oxyrrhis: 광합성색소가 없다.
Amphidinium: 소형종이 많다. 횡구가 세포전단 가깝게 있다.
Cochlodinium: 어류폐사를 일으키는 종이 있다.
Gymnodinium
yrodinium: 포자를 형성하는 종이 있다.
Katodinium: 횡구가 세포저단 가깝게 있다.
Phepolykrikos: 2세포군체를 만든다. 광합성색소가 있다. 포자를 형성하는 종이 있다.
Polykrikos: 4 또는 8세포로 군체를 형성한다. 광합성색소가 부족하다. 포자를 형성하는 종이 있다.
Noctiluca:야광충. 가장 일반적인 적조원인종. 광합성색소가 부족하다.
Ceratium: 세포에 긴각상돌기가 있는 대형종이 많다.
Gonyaulax: 적조원인종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포자 형성종이 있다.
Protoceratium: 발생은 희소함.
Alexandrium: 발생은 희소함.
Protogonyaulax: 연쇄군체형성종이 있고, 마비성독성생산종이 포함되어있다. 포자를 형성하는 종이 있다.
Pyrodinium: 난해산종. 마비성독생산종이 있다. 포자를 형성하는 종이 있다.
Coolia: 난해산종. 유독종이 포함되다.
Cachonina: 내만역에 많이 발생하는 소형종.
Heterocapsa: 내만역에 많이 발생하는 소형종.
Scrippsiella
Peridinium: 담수산. 유독종이 있다.
황색식물문
황금색조강
Dictyocha: 세포내에 규질의 골격이 있음.
Dinobryon: 담수산. 군체성.
Uroglena: 담수산. 호수에서 자주 발생함.
규조강
Cyclotella:세 포는 단원통형. 기수역에 많은 소형종.
Skeletonema: 연안역에서 편재하고, 적조발생예도 극히 많다.
Thalassiosira: 점액계에서 연결되어진 군체를 만든다.
Coscinodiscus: 세포는 단원통형. 대형종. 점액을 분비해서 어망과 고기의 등에 부착하고, 피해를 주는 일이 있다.
Leptocylindrus: 연안역에 편재한다. 세포는 원통형. 가늘고 긴 봉상의 군체를 만든다.
Rhizosolenia: 각의 선단이 자상으로 돌출한다.
Eucampia: 난해에 많다. 세포는 편평 군체를 만듬.
Bacteriastrum: 세포는 원통형, 곡개의 주위에 긴 다수의 털이 있다. 연쇄상 군체를 만든다.
Chaetoceros: 연안역에 편재한다. 종류수가 많다. 세포는 원통형, 곡개면에 2자루의 긴자모가 있다. 연쇄상군체를 만든다.
Asterionella: 세포는 한단으로 서로 접해 있고, 군체를 만든다. 저수온기에 많이 발생한다.
Fragilaria: 세포는 개곡면에서 밀하게 접하고, 대상균체를 만든다.
Nitzschia: 세포는 피침형으로, 긴연쇄군체를 만드는 일이 있다.
Chattonella: 편모는 세포전단부터 나옴. 대형종, 적조시에 어류폐사를 일으키는일이 있다.
Fibrocapsa: 편모는 세포전단부터 나옴. 후단에는 刺胞례가 있음. 어류페사를 일으키기도 함
Heterosigma: 편모는 세포 측면부터 나옴. 어류 폐사를 일으키는 일이 있음.
Emiliania:세계각지에 분포하는 가장 보통의 원석조이다. 편모가 없다.
Pleurochrysis: 문석조.
Chrysochromulina: 저수온기에 적조를 형성하는 일이 있다.
Prymnesium: 어류페사를 일으키는 종이 있다.
Phaeocystics: 군체를 만들고, 세포는 구형의 한천질에 매장된다.
유글레나식물문
유글레나조강
Euglena: 2자루의 편모중 1자루가 극히 짧기 때문에, 편모를 1개만 가지도록 보인다. 담수, 기수역에서 적조를 형성한다.
Entreptia: 2자루의 같은 길이의 편모가 있다. 연안의 기수역에서 적조를 형성한다
Eutreptiella: 2자루의 다른 길이의 편모가 있다. 연안역에서 적조를 형성한다.
Trachelomonas: 담수산.
녹조식물문
Phramimonas: 세포는 피라밋형으로, 방사상칭. 편모는 4 혹은 8자루.
Tetraselmis: 세포는 주로 원형이고, 죄우상칭. 편모는 4자루.
녹조강
Dunaliella: 주로 담수, 기수산. 세포벽이 없다. 단세포성.
Oltomansiellopsis: 세포벽이 없다. 군체성. 내만역에 분포한다.
Chlamydomonas: 주로 담수, 기수산으로, 단세포성으로, 난형 혹은 원형이다.
Chlorella: 담수산. 편모가 없다.
원생동물
섬모충
Mesodinium: 세포내에 공생조류가 있음. 적조는 갈색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9.09.1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