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면도기의 위험성 분석 PHA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기 면도기의 위험성 분석 PH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품선정

2. 크레임표 작성

3. 제품 오사용 분석

4. 사용환경 조사표

5. 기술수준 조사표

6. 안전관련법규

7. PHA

8. PS QFD

9. FMEA

10. 결어

본문내용


/










































기술적 요구조건
제품명 :
방수 전기
면도기
재 질








3
전 원 부






21
제 품 형 상







3
미끄럼 방지책






3
헤 드








42
방 수








36
동 력 장 치







2
기술수준
299
245
179
399
117
384
384
36
273
79
167
234
2796
9. FMEA
Design FMEA
FMEA 번호 : 1-1
부품 : 전 원 부
Page : 1
모덜년도/차종 2003/HS 5005
설계책임 : 연구2
작성자 : 최XX
핵심팀 : 설계/연구 1,2
완료예정일 : 2004. 6.20
FMEA 최초작성일 2004. 5. 20
부품명 & 부품의 기능
잠재적
고장형태
고장의
잠재적 영향
심각도
분류
고장의 잠재적
원인/Mechanism
발생도
현 설계 관리
검출도
위험
우선
순위
권고조치사항
책임 및 목표 완료 예정일
조치결과
조치
내용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위험우선순위
트랜스
전기단락
작동불능/
작동저하
8
C
내부 기판 및
배선부분의 산화 및 손상으로 인한 문제
5
검사 및 전압시험/
신뢰성시험
4
160
안정적인
기판 및 배선설계
설계 1
2004.6.20
설계변경
5
4
3
60
FMEA 번호 : 2-1
부품 : 방 수 부
Page : 2
모덜년도/차종 2003/HS 5005
설계책임 : 연구2
작성자 : 최XX
핵심팀 : 설계/연구 1,2
완료예정일 : 2004. 6.20
FMEA 최초작성일 2004. 5. 20
부품명 & 부품의 기능
잠재적
고장형태
고장의
잠재적 영향
심각도
분류
고장의 잠재적
원인/Mechanism
발생도
현 설계 관리
검출도
위험
우선
순위
권고조치사항
책임 및 목표 완료 예정일
조치결과
조치
내용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위험우선순위
방수 실링
산화
/파손
누수로 인한
작동불능 및
누전 발생원인
제품파손
9
C
오랜사용 및
산화작용으로
인한 방수실링 변형 및 파손
6
방수실링 성분검사 및
신뢰성 시험
5
270
방수실링의
품질관리

공정관리
품질 1
2004. 6. 20
방수실링
표준화
및 점검
4
3
2
36
FMEA 번호 : 3-1
부품 : 헤 드
Page : 3
모덜년도/차종 2003/HS 5005
설계책임 : 연구 2
작성자 : 최XX
핵심팀 : 설계/연구 1,2
완료예정일 : 2004. 6.20
FMEA 최초작성일 2004. 5. 20
부품명 & 부품의 기능
잠재적
고장형태
고장의
잠재적 영향
심각도
분류
고장의 잠재적
원인/Mechanism
발생도
현 설계 관리
검출도
위험
우선
순위
권고조치사항
책임 및 목표 완료 예정일
조치결과
조치
내용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위험우선순위
면도망
파손
산화 및 부식으로
인한
면도망 파손
9
C
면도망 자재의
표면처리 약화로 인한
산화 및 물리적
마찰로 면도망
파손
8
면도망
구조 검사 및
재질검사
표면처리검사
신뢰성 검사 실시
3
216
재질 표면처리에관한
품질 및 생산관리
생산 1
2004. 6. 20
자재표준화
표면처리과정표준화
6
5
3
90
FMEA 번호 : 3-2
부품 : 면도날
Page : 4
모덜년도/차종 2003/HS 5005
설계책임 : 연구2
작성자 : 최XX
핵심팀 : 설계/연구 1,2
완료예정일 : 2004. 6.20
FMEA 최초작성일 2004. 5. 20
부품명 & 부품의 기능
잠재적
고장형태
고장의
잠재적 영향
심각도
분류
고장의 잠재적
원인/Mechanism
발생도
현 설계 관리
검출도
위험
우선
순위
권고조치사항
책임 및 목표 완료 예정일
조치결과
조치
내용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위험우선순위
면도날
파손
마찰 및 산화로 인한 날의 마모
8
C
오랜사용으로
인하 날의 마모
7
면도날 재질 검사
신뢰성 시험
5
280
설계변경
기술계발
설계 1
2004. 6. 20
연구의뢰
기술계발
품질관리
6
5
3
90
FMEA 번호 : 5-1
부품 : 충전베터리
Page :5
모덜년도/차종 2003/HS 5005
설계책임 : 연구2
작성자 : 최XX
핵심팀 : 설계/연구 1,2
완료예정일 : 2004. 6.20
FMEA 최초작성일 2004. 5. 20
부품명 & 부품의 기능
잠재적
고장형태
고장의
잠재적 영향
심각도
분류
고장의 잠재적
원인/Mechanism
발생도
현 설계 관리
검출도
위험
우선
순위
권고조치사항
책임 및 목표 완료 예정일
조치결과
조치
내용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위험우선순위
충전베터리
파손
열화 및
산화로
인한 파손 및 폭발
9
C
누수 및 전압이상
내부 손상 및 외부손상으로
인한 파손
7
베터리
전압 검사및
신뢰성 시험
4
252
연구및
기술계발
연구 1
2004. 6. 20
연구의뢰
기술계발
품질관리
6
5
3
90
10. 결어
방수 전기면도기의 위험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제품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결여로 수준 높은 분석을 할 수 없었던 점이 아쉽다
면도기의 경우 위험요소는 전기적 부분과 헤드부의 면도망과 면도날이 주원인 인데 전기적 부분은 사용자 부주의 및 제품품질 불량으로 인한 감전사고이고 기타 베터리 채용제품에서 발생되는 베터리 폭발문제가 내재되어있다 또한 베터리의 경우 베터리 액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가 있으며 현재 기술개발로 많은 부분이 개선되고 있다.
면도망과 면도날은 각 브랜드별로 일정 사용기간이 지나면 교체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번 조아스 제품도 마찬가지이다. 면도기의 생명은 잘 깎이는 것인데 면도망과 면도날이 핵심기술이며 모든 회사들이 기술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밖의 부수적인 사항으로 피부보호 방법과 면도기 사용 후 세척 방법 등을 진보시켜 경쟁력을 향상 시키고 있다. 이번 제품에서도 이런 부분이 주요조사 대상이었고 면도기외장(케이스)의 경우는 외장 디자인 쪽에 가깝다고 판단하여 FMEA에서 제외 하였다. 또한 공정 FMEA는 전문적인 가공방법을 찾지 못해 실시치 못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9.09.15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