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딴지일보][패러디신문]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개념,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내용과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문제점 극복 방안 및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시사점 그리고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평가 분석(딴지일보, 패러디신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딴지일보][패러디신문]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개념,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내용과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문제점 극복 방안 및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시사점 그리고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평가 분석(딴지일보, 패러디신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개념

Ⅲ.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내용
1. 딴지일보의 언어
2. 딴지일보의 대상과 시각

Ⅳ.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문제점 극복 방안

Ⅴ.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시사점

Ⅵ. 딴지일보(패러디신문)의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겠다는 것이다. 긁으려면 제대로 긁으라는 말이다. 일반 \'진지한\' 언론들이 미처 꼬집지 못하는 사회 문제가 있다면 그것을 패러디 신문이 꼬집어 주면 좋겠다. 어떻게 해서든지 재미있게 하려고 구차스런 발버둥까지 치진 말고, 저속하더라도 알멩이가 있는 기사들이 되면 좋겠다. 그래서 이번 넷째 마당의 첫번째 주장은 패러디 신문의 독자들이 패러디 신문에서 \'알멩이\', 즉 마땅히 꼬집어야 할 곳을 제대로 꼬집을 줄 아는 기사를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진정한 풍자\' 가 무엇인지를 독자들이 늘 자각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패러디 신문 기사는 패러디 신문이 단지 \'그저 재미\' 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알멩이 있는 재미\'를 위한 것임을 확실히 보여 준다. 저런 비판 의식이 계속 살아 있을 때에 패러디 신문 또한 비로소 진정한 풍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 주장을 통하여 셋째 마당에서 제기했던 세 가지 단점들 중 세 번째 단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그렇다면 나머지 두 가지의 단점, 감정의 직접적 분출과 과도하게 직설적이고 비속어가 많이 들어간 언어 사용에 대하여는 독자가 어떤 태도를 보여야 할까? 패러디 신문의 특성상, 신문이 그러한 태도를 바꿀 수는 없다. 감정 분출과 비속어 등은 패러디 신문에서의 풍자를 더욱 효과적으로 해 준다. 오히려, 비속어나 저속한 내용 등이 문제가 되는 곳은 독자들이 참여하는 곳, 바로 독자투고란이다. 독자투고란에서 문제가 되는 글들은 패러디 신문의 단점을 더욱 부각시킨다. 그러나 이를 제재하는 다른 독자들의 글도 많다. \'말을 곱게 씁시다\' 라는 식의 제목의 글들 또한 독자투고란에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을 보이는 독자가 많아져야 한다. 동시에 독자들은 패러디 신문이 제안하는 내용들에 대해 감정에 휩쓸리지 말고 냉철하고 객관적인 반응을 보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패러디 신문\' 이라는 하나의 창으로만 세상을 바라보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기타 여러 매체에도 관심을 갖고, 독자 나름대로의 사상을 지녀서 이에 따른 판단을 할 줄 알아야 한다.
참고문헌
- 김학웅, 패러디의 법적 논란: 강제적 제재보다 수용자 판단에 맡겨야, 신문과 방송, 2004
- 린다허천 저, 김상구·윤여복 역, 패러디이론, 서울:문예출판사
- 정형원, 인터넷신문데 대한 인식이 보도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 AD TOPIC,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확장하는 패러디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9.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0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