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작성이유
II. 작성방법
III. 연구 대상 및 일시
IV. 설문지
V.내용 및 분석
1. 가장 친하게 지내는 친구
1) 학생들의 답변
2)설문의 취지
3)분석
2. 메신저 등 사이월드에서 친하게 지내는 친구
1)학생들의 답변
2)설문의 취지
3)분석
3. 학교 밖 만나는 친구
1) 학생들의 답변
2) 설문의 취지
3) 분석
4. 마음이 가장 잘 통하는 친구
1) 학생들의 답변
2) 설문의 취지
3) 분석
5. 인간성이 좋은 학생
6. 성실한 학생
7. 친구에게 도움을 주는 학생
8. 약속을 가장 잘 지키는 학생
9. 고민을 들어 주는 친구
10. 현재의 고민
11. 우리 반의 분위기(11~14)
VI. 연구학생
VII. 결론
II. 작성방법
III. 연구 대상 및 일시
IV. 설문지
V.내용 및 분석
1. 가장 친하게 지내는 친구
1) 학생들의 답변
2)설문의 취지
3)분석
2. 메신저 등 사이월드에서 친하게 지내는 친구
1)학생들의 답변
2)설문의 취지
3)분석
3. 학교 밖 만나는 친구
1) 학생들의 답변
2) 설문의 취지
3) 분석
4. 마음이 가장 잘 통하는 친구
1) 학생들의 답변
2) 설문의 취지
3) 분석
5. 인간성이 좋은 학생
6. 성실한 학생
7. 친구에게 도움을 주는 학생
8. 약속을 가장 잘 지키는 학생
9. 고민을 들어 주는 친구
10. 현재의 고민
11. 우리 반의 분위기(11~14)
VI. 연구학생
VII. 결론
본문내용
36
37
계
1
2
0
1
0
0
0
1
1
3
1
0
0
1
0
1
1
0
0
1
0
0
1
1
1
1
1
0
1
3
1
1
0
1
2
1
1) 학생들의 답변
2) 설문의 취지
어려운 일이 있거나 고민이 있을 때는 주로 누구와 상의하는지를 알아 보기 위한 질문이다.
3) 분석
전국진, 김진경 학생이라고 대답한 학생이 3명이었다. 그 이유로는 고민을 잘 들어 줄 것 같아서라는 대답이 많이 있었다. 학생들은 고민이 있을 때 친한 친구와 상담하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또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민을 잘 들어줄 것 같은데 아직 고민을 이야기 한 적이 없다는 이유가 많이 있었는데, 학생은 고민을 친구와 상담하기 보다는 혼자 해결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다고 생각된다.
10. 현재의 고민
1) 학생들의 답변
2) 설문의 취지
지금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누구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으로 보기로는 이성문제, 진로문제, 성적문제, 교우문제, 기타를 두었다. 이성문제는 요즘 학생들은 대부분 이성친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성문제를 얼마나 고민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함이고, 진로문제는 우리 반이 3학년으로 고등학교 진로를 고민 할 때이고, 성적문제는 어떤 학생이나 가지고 있는 고민이고, 얼마나 친구관계를 고민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우관계를 보기에 넣었다.
3) 분석
3학년 학생이라 그런지 가장 고민하고 있는 부분은 진로 문제였다. 18명이나 있었고, 그 이후로는 성적문제가 13명, 이성문제가 3명, 교우문제가 1명, 기타가 1명이었다. 진로문제나 성적문제에 비해 이선문제나 교우문제가 고민인 학생 적었다. 요즘 학생들은 사람과의 관계보다는 자신의 진로나 성적이 더 고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1. 우리 반의 분위기(11~14)
1) 학급의 만족도
학급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만족하고 있었다. 불만족하다는 학생은 단 2명뿐이고 이유로는 소란스럽다는 것을 들었다. 그리고 만족한다는 이유로는 반 아이들이 짱이라서, 재미있어서, 담임선생님이 착해서라는 이유를 들었다.
2) 우리 반의 자랑거리
우리 반의 자랑거리로는 목소리, 활발하고 쾌활하다, 체육대회 2등, 모두 친하게 지내는 것을 들었다. 아이들은 모두 친하게 지내며, 활기차고, 쾌활한 우리 반을 좋아하는 것 같았다. 그리고 반 분위기 활발하고, 쾌활하다고 느꼈다.
3) 고쳐야 할 점
떠드는 것, 청소시간에 청소를 하지 않는 것, 성적을 올리는 것이라는 답변이 전부였다. 아이들은 자신들이 떠든다고 생각하고 그 문제를 인식하고 있는 것 같았다.
VI. 연구학생
1. 강원정
강원정 학생은 급장으로 학급의 일을 도맡아 하는 것 같았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급장을 의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강원정 학생은 매사에 긍정적이고 예의도 바른데, 학급의 일을 맡아서 하는 것이 조금은 힘들어 보였다. 아직은 열심히 하고 있지만 학생들이 계속 소란스럽게 하거나 청소시간에 청소를 하지 않으면 급장이 지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이런 면에서 담임선생님이 도움을 주면 좋은 학급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 같다.
2. 이수경, 김미화
이수경, 김미화 학생은 학급의 부급장이다. 반장에 비해서는 하는 일이 별로 없었고, 청소를 하는데 있어서도 아이들을 지도하는 모습을 거의 볼 수가 없었다. 이수경, 김미화 학생에게 반장의 일을 조금 시켜 반장을 도울 수 있도록 한다면 부급장으로 책임감도 커지고 반장도 지금 보다는 덜 힘들 것 같다.
3. 김유림, 전세리
김유림 학생은 우리 반에서 분위기를 주도 하는 것 같았다. 매우 착하고 말도 잘 듣는 편이지만 친한 친구들이 유림 학생의 주변에서 주로 노는 것 같아 보였다. 또 급식도우미를 하는 것을 보면 봉사하는 마음이 있어 보이는데, 잘 지도하면 학급을 조용히 만들 수 있는 학생인 것 같다. 전세리 학생 역시 반분위기를 주도하는 학생인데, 이 학생은 말도 논리적으로 하고 아는 것도 많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학생이 조금 의젓해 진다면 우리 반 분위기는 좋아 질 것이다.
4. 김은영
김은영 학생은 방송부원으로 자신의 일을 잘하고 다른 사람이 필요할 때 자신이 필요한 일은 나서서 하는 것 같았다. 자신의 공부를 위해 일본어를 배우고 있으며 컴퓨터를 하는 능력도 다른 사람에 비해 잘 하는 것 같았다. 이 학생을 잘 지도하여 미래로 잘 나아갈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
5. 박지현
언제나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는 학생이다. 청소시간에도 다른 사람이 청소하지 않고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청소구역만은 꼭 청소를 하는 학생인데, 이런 학생에게 칭찬이 꼭 필요 한 것 같다. 조용히 자신이 일을 하는 학생들은 칭찬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 학생을 유심히 보고 잘 하는 일이 있으면 칭찬을 해줌으로 자신이 하는 일과 성실함이 인정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계속 성실할 수 있기를 바란다.
6. 정혜영
정혜영 학생은 우리 반 제일 뒷자리에 짝도 없이 혼자 앉아 있는 학생이다. 우리반분위기는 아이들을 따돌리거나 괴롭히지 않는데, 이 학생은 언제나 조용히 앉아있었다. 내성적인 성격을 가진 것으로 보였는데, 우리 반에서는 이아정 학생과 주로 함께 다녔다. 이 학생이 조금은 다른 사람에게 다가갈 수 있고, 다른 학생과 조금 친하게 지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
VII. 결론
우리 반은 아주 활기찬 반이고, 다른 학생을 시기하거나 질투하는 학생도 눈에 보이지 않았고, 어떤 반에나 있는 왕따를 당하는 학생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소란스럽고, 전교에서 꼴등인 반이지만 그 아이들의 성격만은 다른 어떤 반 보다 좋아 보인다. 담임선생님도 학생들에게 어느 정도의 자유를 주며 학급의 분위기가 좋아지도록 만드는 것 같았다. 언제나 활기차고 재미있는 3학년 8반은 참 좋은 반인 것 같다.
추천자료
[심리학]인간관계에서의 매력3가지.언어적의사소통방법,사랑의유형,부부생활,이성관계
[일본사회의 인간관계] 일본사회의 인관관계
국내기업의CRM고객관계관리성공요인에관한연구
인간관계의 심리학 - 본문요약(1장 ~ 7장과 13장)
대인관계 능력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영어문법][영어][명사][관계대명사][동사][형용사][관사][부정사][접속사]영어 문법 명사, ...
교육행정-과학적관리론과인간관계론
인간관계의 개념과 직업관계
(인간관계론)인간관계기술의 중요성, 자아정체감형성과정, 동기부여의 6가지과정, 인간의 사...
“내가 갈께. 친구야” 사업계획서 - 왕따로 인해 또래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의 ...
[퍼지이론][퍼지전문가시스템][퍼지집합][퍼지관계]퍼지이론의 의미, 퍼지이론의 역사와 목적...
정도전(鄭道傳)과 태종 이방원 (太宗 李芳遠) : 신권과 왕권 관계에 대한 연구 보고 - 정도전...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제6장~제10장 요약
[교실아동의 사회적 관계] 교실 아동의 사회적 관계의 역동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