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온중
인삼
인삼
본문내용
소문에서 말하길 양이 없으면 음이 생길 수 없고, 음이 없으면 양이 변화할 수 없으므로 기를 보함에 인삼을 사용하며, 혈허에도 또한 인삼 사용이 마땅하다.
非若黃耆 性稟純陽, 陰氣少, 而於火盛血燥不宜。
인삼은 황기가 성품이 순양을 받아서 음기가 절대로 적고 화가 치성하며 혈이 건조하여 의당치 않음과 같지 않다.
沙參 甘淡性寒, 功專瀉肺, 而補少。
사삼은 감미 담미로 한성이며 공로가 오로지 폐를 사하니 보능력이 절대 적다.
玄參 苦鹹寒滑, 色黑入腎, 止治腎經無根之火攻於咽喉, 不能於氣有益。
현삼은 고미, 함미로, 한기로 윤활하여 흑색은 신에 들어가니 단지 신경락의 뿌리 없는 화가 인후를 공격함을 치료하며, 기에 유익할 수 없다.
甘平, 雖能補中益氣, 而質潤味淡, 止能潤肺止嗽, 兼治風濕, 仍非肺分氣藥耳。
위유는 감미와 평기로, 비록 중초를 보하며 기를 더하나 바탕이 윤택하며 담미로 단지 폐를 윤택하여 기침을 멎게 하며 풍습사를 치료하나 폐분의 기약이 아니다.
故書載參益土生金, 明目開心, 益智添精, 助神定驚止悸。
그래서 책에는 인삼은 비토를 더하여 폐금을 생성하며 눈을 밝게 하며 심을 열고, 지혜를 더하여 정을 더하며 신을 도와서 놀람을 안정하며 경계를 멎게 한다고 했다.
(正氣得補, 邪火自退。)
정기가 보함을 얻으면 사화가 스스로 물러난다.
解渴除煩。
인삼은 갈증을 풀고 심번을 제거한다.
(氣補則火不浮而煩自除; 氣補則津上升而渴自止。)
기가 보하면 화는 뜨지 않아도 심번이 스스로 제거된다. 기가 보하면 진액이 상승하나 갈증이 스스로 멎는다.
通經生脈。
인삼은 월경을 통하며 맥을 생성한다.
(氣補則血隨氣以行, 而脈自至。)
기가 보충되면 혈이 기를 따라서 다니니 경맥이 스스로 이른다.
破積消痰。
인삼은 적을 깨며 담을 소멸한다.
(氣運則食自化, 而積可破; 氣旺則水可利, 而痰自消。)
기가 운행하면 음식이 스스로 소화되며, 적이 깨질 수 있다. 기가 왕성하면 수가 잘 나갈 수 있으니 담이 스스로 소멸한다.
發熱自汗。
인삼은 발열, 자한을 치료한다.
(氣補而陽得固。)
기가 보충되면 양이 견고함을 얻는다.
多夢紛。
인삼은 꿈이 많고 어지러움을 치료한다.
(氣補而神克聚。)
기가 보충되면 신이 다스려 모인다.
嘔反胃, 虛咳喘促。
인삼은 구토, 딸꾹질, 반위, 허증 기침과 숨차고 촉급함을 치료한다.
(氣補而肺與胃克安。)
기가 보충되면 폐와 위가 다스려 편안하다.
久病滑泄。
인삼은 오래된 활설병을 치료한다.
(氣補而得上升。)
기가 보충되면 청양이 상승함을 얻는다.
淋瀝脹滿。
인삼은 소변이 임력하며 창만함을 치료한다.
(氣補而濁得下降。)
기가 보하면 탁함이 하강할 수 있다.
中暑, 中風。
인삼은 중서(더위먹은병), 중풍을 치료한다.
(氣補而邪得外解。)
기가 보충되면 사기가 밖으로 풀리게 된다.
一切氣虛血損之症。
인삼은 일체 기허와 혈이 손상된 증상을 치료한다.
(氣補而血得內固。)
기가 보충이 되면 혈이 안에서 견고해진다.
皆所必用。
모두 반드시 인삼을 사용한다.
至云 參畏靈脂, 而亦有參同用以治月閉, 是畏而不畏也。
인삼이 오령지와 상외하나 또한 인삼을 함께 하여 무월경을 치료하니 상외하나 두려워하지 않음이다.
參惡莢, 而亦有參同用以名交泰丸, 是惡而不惡也。
인삼은 조협과 상오하나 또한 인삼과 같이 사용함을 교태환이라고 이름하니 상오하나 싫어하지 않음이다.
參反藜蘆, 而亦有參同用以取湧越。
인삼은 여로와 상반하나 또한 인삼과 함께 사용하여 용솟음치며 넘어감을 취한다.
是蓋借此以激其怒, 雖反而不反也。
이는 이를 빌려서 분노를 격동케 하나 비록 상반하지만 반대하지 않는다.
然非深於醫者, 不能以知其奧耳。
그래서 의학에 심오하지 못하면 오묘함을 알 수 없다.
(出言聞氏)
말이 문씨에서 나옴
但參本溫, 積溫亦能成熱, 故陰虛火亢, 咳嗽喘逆者爲切忌焉。
단지 인삼은 본래 온난하니 온난함이 쌓이면 또한 열을 생성하므로 음허로 화가 항진한 기침과 숨참과 상역이 인삼이 절대 금기가 된다.
參以黃潤緊實似人者佳。
인삼은 황색으로 윤택하며 단단하고 실하며 사람과 유사한 것이 좋다.
上黨雖爲參道地, 然民久置不采。
상당군이 비록 인삼의 산출되는 땅이나 백성이 오래 방치하여 채집하지 않았다.
(時珍曰:上黨今潞 潞(강 이름 로{노}; -총15획; lu)
州也。民以人參爲地方害, 不復采取, 今所用者, 皆是遼參。)
이시진이 말하길 상당은 지금의 노주이다. 백성이 인삼을 지방의 피해로 여기며 다시 채취하지 않아서 지금 사용치 않으니 모두 요삼이다.
今有所云黨參者, 皆是假物。
지금 당삼을 말함은 모두 가짜 약물이다.
(時珍曰: 僞者皆以沙參, 薺, 桔梗, 采根造作亂之。)
이시진이 말하길 가짜인삼은 모두 사삼, 제니, 길경의 뿌리를 채집해 조작해서 혼란케 한다.
(沙參體虛無心而味淡; 薺 體虛無心; 桔梗體堅有心而味苦; 人參體實而味甘, 微帶苦。)
사삼은 몸이 비고 심지가 없고 담미이다. 제니는 몸이 비고 심지가 없다. 길경은 몸이 단단하여 심지가 있으며 고미이다. 인삼은 몸이 실하며 감미이니 약간 고미를 띤다.
其次百濟所出, 力薄上黨。
그 다음은 백제에서 산출된 인삼인데 힘이 상당보다 박하다.
又其次高麗遼東所出, 力薄百濟。
또한 다음에 고려요동에서 산출됨이니 힘이 백제보다 박하다.
用皆忌鐵。
인삼 사용에 모두 철을 금기한다.
久留經年, 須用淋過灰乾, 及或炒米同參納入瓷器收藏。
인삼이 오랜 해 묵으면서 물방울로 아궁이 재를 경과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볶은 쌀에 인삼을 함께 자기에 넣고 거두어 저장한다.
參須性主下泄, 與紫, 當歸之尾破血意義相同, 滑脫則忌。
인삼은 약성이 아래로 발설을 주치하니 자완, 당귀미가 어혈을 깨는 뜻과 서로 같으니 활탈에는 금기한다.
參蘆功主上湧, 氣虛火炎亦忌。
인삼노두는 공로가 주로 위로 용솟음치니 기허로 화가 불타면 또한 금기한다.
但體虛痰壅, 用之可代瓜。
단지 노두는 몸이 가벼워 담이 막힘에 과체를 대신해 사용한다.
山西太行新出黨參, 其性止能肺, 無補益, 與於久經封禁正之黨參, 不相同。
산서성 태행산에 새로 당삼이 나나 약성이 단지 폐열만 맑게 하며 보익이 없으니 오래 봉금의 진정한 당삼과 절대로 서로 같지 않다.
有義詳黨參論內, 所當考參觀。
따로 뜻은 당삼논의 안에 자세하니 응당 고찰하여 참고하여 보아라.
非若黃耆 性稟純陽, 陰氣少, 而於火盛血燥不宜。
인삼은 황기가 성품이 순양을 받아서 음기가 절대로 적고 화가 치성하며 혈이 건조하여 의당치 않음과 같지 않다.
沙參 甘淡性寒, 功專瀉肺, 而補少。
사삼은 감미 담미로 한성이며 공로가 오로지 폐를 사하니 보능력이 절대 적다.
玄參 苦鹹寒滑, 色黑入腎, 止治腎經無根之火攻於咽喉, 不能於氣有益。
현삼은 고미, 함미로, 한기로 윤활하여 흑색은 신에 들어가니 단지 신경락의 뿌리 없는 화가 인후를 공격함을 치료하며, 기에 유익할 수 없다.
甘平, 雖能補中益氣, 而質潤味淡, 止能潤肺止嗽, 兼治風濕, 仍非肺分氣藥耳。
위유는 감미와 평기로, 비록 중초를 보하며 기를 더하나 바탕이 윤택하며 담미로 단지 폐를 윤택하여 기침을 멎게 하며 풍습사를 치료하나 폐분의 기약이 아니다.
故書載參益土生金, 明目開心, 益智添精, 助神定驚止悸。
그래서 책에는 인삼은 비토를 더하여 폐금을 생성하며 눈을 밝게 하며 심을 열고, 지혜를 더하여 정을 더하며 신을 도와서 놀람을 안정하며 경계를 멎게 한다고 했다.
(正氣得補, 邪火自退。)
정기가 보함을 얻으면 사화가 스스로 물러난다.
解渴除煩。
인삼은 갈증을 풀고 심번을 제거한다.
(氣補則火不浮而煩自除; 氣補則津上升而渴自止。)
기가 보하면 화는 뜨지 않아도 심번이 스스로 제거된다. 기가 보하면 진액이 상승하나 갈증이 스스로 멎는다.
通經生脈。
인삼은 월경을 통하며 맥을 생성한다.
(氣補則血隨氣以行, 而脈自至。)
기가 보충되면 혈이 기를 따라서 다니니 경맥이 스스로 이른다.
破積消痰。
인삼은 적을 깨며 담을 소멸한다.
(氣運則食自化, 而積可破; 氣旺則水可利, 而痰自消。)
기가 운행하면 음식이 스스로 소화되며, 적이 깨질 수 있다. 기가 왕성하면 수가 잘 나갈 수 있으니 담이 스스로 소멸한다.
發熱自汗。
인삼은 발열, 자한을 치료한다.
(氣補而陽得固。)
기가 보충되면 양이 견고함을 얻는다.
多夢紛。
인삼은 꿈이 많고 어지러움을 치료한다.
(氣補而神克聚。)
기가 보충되면 신이 다스려 모인다.
嘔反胃, 虛咳喘促。
인삼은 구토, 딸꾹질, 반위, 허증 기침과 숨차고 촉급함을 치료한다.
(氣補而肺與胃克安。)
기가 보충되면 폐와 위가 다스려 편안하다.
久病滑泄。
인삼은 오래된 활설병을 치료한다.
(氣補而得上升。)
기가 보충되면 청양이 상승함을 얻는다.
淋瀝脹滿。
인삼은 소변이 임력하며 창만함을 치료한다.
(氣補而濁得下降。)
기가 보하면 탁함이 하강할 수 있다.
中暑, 中風。
인삼은 중서(더위먹은병), 중풍을 치료한다.
(氣補而邪得外解。)
기가 보충되면 사기가 밖으로 풀리게 된다.
一切氣虛血損之症。
인삼은 일체 기허와 혈이 손상된 증상을 치료한다.
(氣補而血得內固。)
기가 보충이 되면 혈이 안에서 견고해진다.
皆所必用。
모두 반드시 인삼을 사용한다.
至云 參畏靈脂, 而亦有參同用以治月閉, 是畏而不畏也。
인삼이 오령지와 상외하나 또한 인삼을 함께 하여 무월경을 치료하니 상외하나 두려워하지 않음이다.
參惡莢, 而亦有參同用以名交泰丸, 是惡而不惡也。
인삼은 조협과 상오하나 또한 인삼과 같이 사용함을 교태환이라고 이름하니 상오하나 싫어하지 않음이다.
參反藜蘆, 而亦有參同用以取湧越。
인삼은 여로와 상반하나 또한 인삼과 함께 사용하여 용솟음치며 넘어감을 취한다.
是蓋借此以激其怒, 雖反而不反也。
이는 이를 빌려서 분노를 격동케 하나 비록 상반하지만 반대하지 않는다.
然非深於醫者, 不能以知其奧耳。
그래서 의학에 심오하지 못하면 오묘함을 알 수 없다.
(出言聞氏)
말이 문씨에서 나옴
但參本溫, 積溫亦能成熱, 故陰虛火亢, 咳嗽喘逆者爲切忌焉。
단지 인삼은 본래 온난하니 온난함이 쌓이면 또한 열을 생성하므로 음허로 화가 항진한 기침과 숨참과 상역이 인삼이 절대 금기가 된다.
參以黃潤緊實似人者佳。
인삼은 황색으로 윤택하며 단단하고 실하며 사람과 유사한 것이 좋다.
上黨雖爲參道地, 然民久置不采。
상당군이 비록 인삼의 산출되는 땅이나 백성이 오래 방치하여 채집하지 않았다.
(時珍曰:上黨今潞 潞(강 이름 로{노}; -총15획; lu)
州也。民以人參爲地方害, 不復采取, 今所用者, 皆是遼參。)
이시진이 말하길 상당은 지금의 노주이다. 백성이 인삼을 지방의 피해로 여기며 다시 채취하지 않아서 지금 사용치 않으니 모두 요삼이다.
今有所云黨參者, 皆是假物。
지금 당삼을 말함은 모두 가짜 약물이다.
(時珍曰: 僞者皆以沙參, 薺, 桔梗, 采根造作亂之。)
이시진이 말하길 가짜인삼은 모두 사삼, 제니, 길경의 뿌리를 채집해 조작해서 혼란케 한다.
(沙參體虛無心而味淡; 薺 體虛無心; 桔梗體堅有心而味苦; 人參體實而味甘, 微帶苦。)
사삼은 몸이 비고 심지가 없고 담미이다. 제니는 몸이 비고 심지가 없다. 길경은 몸이 단단하여 심지가 있으며 고미이다. 인삼은 몸이 실하며 감미이니 약간 고미를 띤다.
其次百濟所出, 力薄上黨。
그 다음은 백제에서 산출된 인삼인데 힘이 상당보다 박하다.
又其次高麗遼東所出, 力薄百濟。
또한 다음에 고려요동에서 산출됨이니 힘이 백제보다 박하다.
用皆忌鐵。
인삼 사용에 모두 철을 금기한다.
久留經年, 須用淋過灰乾, 及或炒米同參納入瓷器收藏。
인삼이 오랜 해 묵으면서 물방울로 아궁이 재를 경과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볶은 쌀에 인삼을 함께 자기에 넣고 거두어 저장한다.
參須性主下泄, 與紫, 當歸之尾破血意義相同, 滑脫則忌。
인삼은 약성이 아래로 발설을 주치하니 자완, 당귀미가 어혈을 깨는 뜻과 서로 같으니 활탈에는 금기한다.
參蘆功主上湧, 氣虛火炎亦忌。
인삼노두는 공로가 주로 위로 용솟음치니 기허로 화가 불타면 또한 금기한다.
但體虛痰壅, 用之可代瓜。
단지 노두는 몸이 가벼워 담이 막힘에 과체를 대신해 사용한다.
山西太行新出黨參, 其性止能肺, 無補益, 與於久經封禁正之黨參, 不相同。
산서성 태행산에 새로 당삼이 나나 약성이 단지 폐열만 맑게 하며 보익이 없으니 오래 봉금의 진정한 당삼과 절대로 서로 같지 않다.
有義詳黨參論內, 所當考參觀。
따로 뜻은 당삼논의 안에 자세하니 응당 고찰하여 참고하여 보아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