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관련 매체 감상 후 분석 및 평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건강 관련 매체 감상 후 분석 및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신을 건강하게 유지하고 증진시키고자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아이들의 정신 건강을 챙기는 사람이나 정신 건강이 좋은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조금씩 서로가 노력하고 이해하려고 했다면, 수미가 다중인격으로 미치게 되는 일은 없었을 수도 있다.
‘아이덴티티’나 ‘내 머릿속의 지우개’등으로 다중인격, 해리성 장애를 주제로 하여 영화를 훌륭하게 만들어냈지만, 보는 사람들이 얼마나 그 증상에 대해 공감을 하는지는 모른다. 그리고 내 머릿속의 지우개처럼 그렇게 예쁘게 해리성 장애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들었다. 이렇게 우리나라에서도 정신적 장애에 대한 소재로 영화를 만든 것은 멋진 일이지만, 그 소재를 너무 왜곡하고 편협화하는 경향이 영화적 재미에 충실하기 위해 벌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또한 같이 사는 사회에 대한 모토가 높아질수록 소외된 사람들을 조명하는 프로그램이 더 많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그들의 병적인 징후와 증상만이 아닌 하나의 인간으로 다가갈 때‘정신병리적 해리장애’가 학문적, 흥밋거리가 아닌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 할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해리장애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판단의 부재로 인해, 환자들이 체계적인 치료를 놓치거나 환자 가족들 또한 힘든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해리성 장애에 대해 좀 더 바른 이해가 선행되어 매체를 통해 단편적인 이미지만을 가지고 정신적 질환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없어야 하고, 이런 정신병은 나뿐만이 아니라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 누구나 걸릴 위험이 있고 신체적 병리처럼 올 수 있다는 것도 인지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9.21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