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다음은 change 함수가 다양한 자료형에 대해서 교환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함수를 오버라이딩한 것이다.
다양한 자료형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hange 함수를 템플릿 함수로 정의하라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change(int &, int &b);
void change(double &a, double &b);
void main()
{
int a=10, b=20;
change(a,b)
cout< double c=10.5, d=20.7;
change(c,d);
cout<
}
void change(int &a, int &b)
{
int t;
t=a;
a=b;
b=t;
}
void change(double &a, double &b)
{
double t;
t=a;
a=b;
b=t;
}
함수정의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void change(DATATYPE &a, DATATYPE &b)
{
DATATYPE t;
t=a;
a=b;
b=t;
}
void main( )
{
int a=10, b=20;
change(a, b);
cout< double c=10.5,d=20.7;
change(c, d);
cout<
}
2. 다음 예제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수정하라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class Add{
T a;
T b;
public :
Add(T a, T b);
T sum();
};
Add::Add(T a, T b)
{
this->a=a;
this->b=b;
}
T Add::sum()
{
return a+b;
}
void main()
{
Add obj(10,20);
cout<
}
수정한 프로그램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class Add{
T a;
T b;
public :
Add(T a, T b);
T Sum();
};
template
Add::Add(T a, T b);
{
this->a = a;
this->b = b;
}
template
T Add::Sum()
{
return a+b;
}
void main()
{
Add obj(10, 20);
cout<
}
3. 다음 설명이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지 기술하라
1. 예외 발생에 대한 검사 범위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즉 이 블록으로 쌓인 범위는 예외 상황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검사 대상의 범위가 된다
답 : try
2. 예외를 처리하는 코드 블록을 선언할 때 사용한다
try 블록 내에서 발생한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코드가 존재한는 영역이다
답 : catch
3. 예외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때 사용된다.
이는 발생한 예외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답 : throw
다양한 자료형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hange 함수를 템플릿 함수로 정의하라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change(int &, int &b);
void change(double &a, double &b);
void main()
{
int a=10, b=20;
change(a,b)
cout< double c=10.5, d=20.7;
change(c,d);
cout<
void change(int &a, int &b)
{
int t;
t=a;
a=b;
b=t;
}
void change(double &a, double &b)
{
double t;
t=a;
a=b;
b=t;
}
함수정의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void change(DATATYPE &a, DATATYPE &b)
{
DATATYPE t;
t=a;
a=b;
b=t;
}
void main( )
{
int a=10, b=20;
change(a, b);
cout< double c=10.5,d=20.7;
change(c, d);
cout<
2. 다음 예제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수정하라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class Add{
T a;
T b;
public :
Add(T a, T b);
T sum();
};
Add::Add(T a, T b)
{
this->a=a;
this->b=b;
}
T Add::sum()
{
return a+b;
}
void main()
{
Add obj(10,20);
cout<
수정한 프로그램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class Add{
T a;
T b;
public :
Add(T a, T b);
T Sum();
};
template
Add
{
this->a = a;
this->b = b;
}
template
T Add
{
return a+b;
}
void main()
{
Add
cout<
3. 다음 설명이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지 기술하라
1. 예외 발생에 대한 검사 범위를 설정할 때 사용한다.
즉 이 블록으로 쌓인 범위는 예외 상황이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검사 대상의 범위가 된다
답 : try
2. 예외를 처리하는 코드 블록을 선언할 때 사용한다
try 블록 내에서 발생한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코드가 존재한는 영역이다
답 : catch
3. 예외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때 사용된다.
이는 발생한 예외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답 : throw
키워드
추천자료
무선 모바일 자바 프로그래밍을 통한 logbook의 구현
머시닝 센터 프로그래밍(G-code, M-code)
Runge Kutta Method를 이용한 비행동역학 풀이 및 프로그래밍
일반계고등학교(인문계고등학교) 효교육지도와 웹기반교육(WBI)교육지도, 일반계고등학교(인...
C프로그래밍
로고프로그래밍의 안내적교수전략, 자폐아의 사회성발달교수전략, 자폐아의 행동연쇄방해교수...
오브젝티브 프로그래밍 3,4장연습문제
xml을 이용한 웹프로그래밍(주류쇼핑몰)
AVR ATmega 128 기본 프로그래밍 [마컴 예비레포트]
[Verilog프로그래밍]D래치, 플리플롭, shift register
2014년 2학기 C++프로그래밍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C++프로그래밍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C++프로그래밍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C++프로그래밍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