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경과 기간별 회복 진도
II. 장애 극복의 실마리
1. 변비 치료법
2. 고혈압 치료법
3. 한방 침 맞는 법
4. 불면 치료법
5. 굳은 근육 푸는 요령
6. 인내력 터득 요령
7. 계단 통행 요령
8. 약 먹는 법
9. 잦은 소변과 요실금 치료법
10. 짝 다리 현상 교정법
11 눈의 편측 무시현상 치료법
12. 마비된 발의 무좀 치료법
13. 발 돌림 현상 교정하기
14. 중풍 환자와 가족의 주의사항
II. 장애 극복의 실마리
1. 변비 치료법
2. 고혈압 치료법
3. 한방 침 맞는 법
4. 불면 치료법
5. 굳은 근육 푸는 요령
6. 인내력 터득 요령
7. 계단 통행 요령
8. 약 먹는 법
9. 잦은 소변과 요실금 치료법
10. 짝 다리 현상 교정법
11 눈의 편측 무시현상 치료법
12. 마비된 발의 무좀 치료법
13. 발 돌림 현상 교정하기
14. 중풍 환자와 가족의 주의사항
본문내용
지하철에는 장애인 보호석이 마련되어 있고, 평소에 비워 두도록 표시되어 있으나 젊은 비장애인이 앉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앉아 있는 젊은이에게 다가가서 몸이 불편하지 않으면 자리를 양보해 주도록 요청한다.
k. 중풍환자는 혀와 입의 감각도 마비되어 생선의 가시나 돌을 입 속에서 가려내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가족의 세심한 배려가 요구되며 통조림과 어묵을 이용하면 생선 가시의 단점을 피할 수 있다.
l. 머리를 감거나 샤워 후에는 귓속의 물을 면봉으로 닦아 내게 된다. 그러나 이 때 마비된 쪽의 귀는 감각이 없기 때문에 면봉을 깊이 찔러 귀를 다치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면봉의 적당한 길이를 손으로 잡고 귀를 닦아 내면 귀의 상해우려를 줄일 수 있다.
m. 중풍 환자는 혈액 순환이 원만하지 못한 곳에 자극을 주거나 운동으로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될 때마다 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또한 변비가 있으면 그 냄새까지 지독하다.
한편 환자와 모든 행동을 함께 하며 간병을 담당하는 가족은 이러한 가스의 방출 행위가 지극히 자연스러운 대사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우연히 환자의 뒤에 있을 때 또는 환자의 엉덩이 쪽에 가족의 머리가 있을 때 가스가 방출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가 반복되면 환자가 가족을 미워하여 의도적으로 때를 맞춰 가스를 방출한 것으로 오해하게 된다. 이러한 오해가 시작되면 가족은 환자의 가스 방출시마다 짜증을 내게 되어 갈등으로 발전되기 쉽다. 그러므로 가족은 그 가스 방출행위가 자연스럽고 또한 몸에 좋은 현상의 표시라는 사실가 환자는 가스 배출의 제어능력이 부족한 상태임으로 바르게 인식하여 오해하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중요하다.
n. 중풍 환자는 몸뿐 아니라 기억력과 판단력도 완전하지 못하므로 가정의 소득활동, 대소사와 경제권을 환자의 배우자가 모두 장악하게 된다. 그러면 그 자녀들은 환자의 배우자에 대하여는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무소불위의 고마운 존재로 인식하는 반면, 환자에 대하여는 무능력하고 많은 심부름만 시키면서도 질책만 하는 귀찮은 존재로 인식하게 되어, 환자의 배우자가 한 말은 아주 잘 들으나 환자의 말은 듣지도 않으려 하고 오히려 짜증 섞인 대답을 하기 일쑤고 점차 성격이 빗나가게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자녀들이 환자를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녀에 관한 중요사항을 결정하거나 자녀가 필요한 고가의 제품 등을 살 때의 결정 권한을 환자가 행사하도록 위양하는 등의 적극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
- 그런데 평소에 환자의 배우자가 경제권조차도 없었던 여자의 경우에는 그 앙갚음이라도 하듯 모두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사례도 있으며, 이는 자녀교육과 부부 서로에게 도움이 안 됨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o. 뇌출혈 환자의 경우 수술 직후 마비된 다리에는 몸을 지지할 힘이 없는 상태이므로 그 힘을 기르고, 발바닥에 감각회복의 기회를 주기 위해 몸을 치료기구에 묶어 세워 서 있게 한다. 그러나 그 치료행위의 목적과 초기의 운동효과가 지대함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면 그 치료기구에 묶인 상태에서 팔로 버텨서 정작 다리에는 전혀 힘을 받지 않은 상태로 서 있거나 그 자세로 서 있는 것을 큰 고통으로만 느끼게 되어 그 운동이 목적에 전혀 도움이 안되게 된다. 그러므로 환자의 가족은 환자가 그 운동의 목적을 확실히 인식하여 올바른 운동을 하도록 설명하여 줌으로써 귀중한 운동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
p. 방안에서 맨발로 걸으면 경직으로 오그라진 발가락과 방바닥과의 마찰로 발가락의 아프게 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취침시에도 마비된 발은 양말을 신도록 한다.
q. 남자인 중풍 환자의 상당수는 발병 전보다 오히려 더 잦은 부부관계를 요구한다고 한다. 그러나 잦은 부부관계에 의한 실정은 환자의 건강에 도움이 안되며 경직을 유발할 뿐 아니라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주 1회 이내로 절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r. 특히 뇌출혈 환자는 뇌수술에 의하여 두뇌 활동이 원만하지 못하여 물리치료나 운동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환자는 힘이 들고 고통스런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등을 기피하고 그 시간을 줄이려고 생떼를 쓰기도 하므로 보호자는 환자에게 운동의 필요성과 올바른 운동법을 지속적으로 설명하여 고통을 감내하는 방향으로 적극 유도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s. 병원에 입원 중이나 가택 요양 중에 단방약이나 용한 병원 등을 소개하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그러나 그 정보의 많은 부분은 뜬소문에 불과하므로 치료에의 실제 적용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중풍을 빠르게 그리고 쉽게 낫게 하는 방법과 의사는 아직은 없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여야 하며, 귀가 얇으면 남의 말에 넘어가서 돈과 시간을 허비하는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
t. 중풍의 초기에 반신마지에 의한 스트레스는 가려움증을 유발시켜 고통을 받게 된다. 이때는 피부 건조에 기인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목욕 후에는 바디크림을 발라 주고 물파스를 비치하여 수시로 가려운 부위에 발라주면 가려움증을 예방하고 고통을 덜 수 있다.
u. 운동을 하다보면 과격한 운동으로 인하여 어깨, 턱 등을 통증이 오는 경우가 많다. 운동에서 몸의 이상은 운동으로 풀어야 한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여 통증이 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운동을 계속하면 해소된다.
v. 한방 침을 맞을 때는 자기 신체상 이상이 있는 부위, 즉 어깨의 통증, 감기, 변을 못 본 일수 등을 침 맞기 전에 침사에게 미리 알려 그 질환을 치료하는 침도 병행하여 놓도록 하면 치료에 도움을 준다.
w. 공부를 하는 데에 왕도가 없듯이 중풍의 치료에도 빠르고 쉽게 치료하는 왕도는 없다. 뇌출혈은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므로“더 악화되지 않는 것이 낫는 것이다.” 는 마음가짐으로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운동을 지속한다.
뇌출혈은 주의하면 재발을 피할 수 있으나, 뇌경색은 2회까지도 재발하여 10년 이상 투병하는 환자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따라서 뇌경색 환자는 재발에 특히 유의하여야 하며 한방 병원에서 레이저 치료를 3개월 마다 1cycle (10회)씩 정기적으로 받되 특히 겨울이 오기 전인 늦가을에 이 치료를 받으면 재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k. 중풍환자는 혀와 입의 감각도 마비되어 생선의 가시나 돌을 입 속에서 가려내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가족의 세심한 배려가 요구되며 통조림과 어묵을 이용하면 생선 가시의 단점을 피할 수 있다.
l. 머리를 감거나 샤워 후에는 귓속의 물을 면봉으로 닦아 내게 된다. 그러나 이 때 마비된 쪽의 귀는 감각이 없기 때문에 면봉을 깊이 찔러 귀를 다치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면봉의 적당한 길이를 손으로 잡고 귀를 닦아 내면 귀의 상해우려를 줄일 수 있다.
m. 중풍 환자는 혈액 순환이 원만하지 못한 곳에 자극을 주거나 운동으로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될 때마다 가스를 방출하게 된다. 또한 변비가 있으면 그 냄새까지 지독하다.
한편 환자와 모든 행동을 함께 하며 간병을 담당하는 가족은 이러한 가스의 방출 행위가 지극히 자연스러운 대사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우연히 환자의 뒤에 있을 때 또는 환자의 엉덩이 쪽에 가족의 머리가 있을 때 가스가 방출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가 반복되면 환자가 가족을 미워하여 의도적으로 때를 맞춰 가스를 방출한 것으로 오해하게 된다. 이러한 오해가 시작되면 가족은 환자의 가스 방출시마다 짜증을 내게 되어 갈등으로 발전되기 쉽다. 그러므로 가족은 그 가스 방출행위가 자연스럽고 또한 몸에 좋은 현상의 표시라는 사실가 환자는 가스 배출의 제어능력이 부족한 상태임으로 바르게 인식하여 오해하지 않도록 하는 배려가 중요하다.
n. 중풍 환자는 몸뿐 아니라 기억력과 판단력도 완전하지 못하므로 가정의 소득활동, 대소사와 경제권을 환자의 배우자가 모두 장악하게 된다. 그러면 그 자녀들은 환자의 배우자에 대하여는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무소불위의 고마운 존재로 인식하는 반면, 환자에 대하여는 무능력하고 많은 심부름만 시키면서도 질책만 하는 귀찮은 존재로 인식하게 되어, 환자의 배우자가 한 말은 아주 잘 들으나 환자의 말은 듣지도 않으려 하고 오히려 짜증 섞인 대답을 하기 일쑤고 점차 성격이 빗나가게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자녀들이 환자를 올바르게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자녀에 관한 중요사항을 결정하거나 자녀가 필요한 고가의 제품 등을 살 때의 결정 권한을 환자가 행사하도록 위양하는 등의 적극적인 배려가 있어야 한다.
- 그런데 평소에 환자의 배우자가 경제권조차도 없었던 여자의 경우에는 그 앙갚음이라도 하듯 모두 독단적으로 처리하는 사례도 있으며, 이는 자녀교육과 부부 서로에게 도움이 안 됨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o. 뇌출혈 환자의 경우 수술 직후 마비된 다리에는 몸을 지지할 힘이 없는 상태이므로 그 힘을 기르고, 발바닥에 감각회복의 기회를 주기 위해 몸을 치료기구에 묶어 세워 서 있게 한다. 그러나 그 치료행위의 목적과 초기의 운동효과가 지대함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면 그 치료기구에 묶인 상태에서 팔로 버텨서 정작 다리에는 전혀 힘을 받지 않은 상태로 서 있거나 그 자세로 서 있는 것을 큰 고통으로만 느끼게 되어 그 운동이 목적에 전혀 도움이 안되게 된다. 그러므로 환자의 가족은 환자가 그 운동의 목적을 확실히 인식하여 올바른 운동을 하도록 설명하여 줌으로써 귀중한 운동기회를 놓쳐서는 안된다.
p. 방안에서 맨발로 걸으면 경직으로 오그라진 발가락과 방바닥과의 마찰로 발가락의 아프게 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취침시에도 마비된 발은 양말을 신도록 한다.
q. 남자인 중풍 환자의 상당수는 발병 전보다 오히려 더 잦은 부부관계를 요구한다고 한다. 그러나 잦은 부부관계에 의한 실정은 환자의 건강에 도움이 안되며 경직을 유발할 뿐 아니라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주 1회 이내로 절제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r. 특히 뇌출혈 환자는 뇌수술에 의하여 두뇌 활동이 원만하지 못하여 물리치료나 운동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환자는 힘이 들고 고통스런 운동기구를 이용한 운동 등을 기피하고 그 시간을 줄이려고 생떼를 쓰기도 하므로 보호자는 환자에게 운동의 필요성과 올바른 운동법을 지속적으로 설명하여 고통을 감내하는 방향으로 적극 유도하는 배려가 필요하다.
s. 병원에 입원 중이나 가택 요양 중에 단방약이나 용한 병원 등을 소개하는 말을 자주 듣게 된다. 그러나 그 정보의 많은 부분은 뜬소문에 불과하므로 치료에의 실제 적용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중풍을 빠르게 그리고 쉽게 낫게 하는 방법과 의사는 아직은 없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여야 하며, 귀가 얇으면 남의 말에 넘어가서 돈과 시간을 허비하는 시행착오를 겪게 된다.
t. 중풍의 초기에 반신마지에 의한 스트레스는 가려움증을 유발시켜 고통을 받게 된다. 이때는 피부 건조에 기인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목욕 후에는 바디크림을 발라 주고 물파스를 비치하여 수시로 가려운 부위에 발라주면 가려움증을 예방하고 고통을 덜 수 있다.
u. 운동을 하다보면 과격한 운동으로 인하여 어깨, 턱 등을 통증이 오는 경우가 많다. 운동에서 몸의 이상은 운동으로 풀어야 한다는 것을 깊이 인식하여 통증이 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운동을 계속하면 해소된다.
v. 한방 침을 맞을 때는 자기 신체상 이상이 있는 부위, 즉 어깨의 통증, 감기, 변을 못 본 일수 등을 침 맞기 전에 침사에게 미리 알려 그 질환을 치료하는 침도 병행하여 놓도록 하면 치료에 도움을 준다.
w. 공부를 하는 데에 왕도가 없듯이 중풍의 치료에도 빠르고 쉽게 치료하는 왕도는 없다. 뇌출혈은 시간이 지나면 회복되므로“더 악화되지 않는 것이 낫는 것이다.” 는 마음가짐으로 서두르지 않고 차분하게 운동을 지속한다.
뇌출혈은 주의하면 재발을 피할 수 있으나, 뇌경색은 2회까지도 재발하여 10년 이상 투병하는 환자를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따라서 뇌경색 환자는 재발에 특히 유의하여야 하며 한방 병원에서 레이저 치료를 3개월 마다 1cycle (10회)씩 정기적으로 받되 특히 겨울이 오기 전인 늦가을에 이 치료를 받으면 재발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랑의 심리 발표자료(사례를 통해본 사랑의 심리)
사랑과 철학의 관계(남성과여성의차이, 사랑과중독, 결혼, 감정의 문제)
사랑이 서툰 엄마 사랑이 고픈 아이를 읽고
[사랑][에로스][에로티시즘][사랑 의미][에로스 개념][에로티시즘 개념][에로스 역사][현대사...
[사랑의 기술, 사랑의기술] 사랑의 기술 독후감
★사랑의 의의, 종류 및 시작과 종결, 사랑을 위한 성공적인 방법★.
★사랑의 의미와 사랑의 중요성 및 이상적인 사랑과 사랑의 성공법★
[사랑이란] 사랑의 정의, 사랑의 증상, 포옹의 장점.ppt자료
[목회학] 영혼 사랑 - 사랑의 위대성, 용서하는 사랑, 연합을 통해 세워주는 사랑(타인의 삶...
[기독교교육]바람직한 교사상(敎師像) 가르침에 대한 사랑(敎育愛) - 주님께 대한 사랑, 가르...
스턴버그(Robert Sternberg)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Triangular Theory Of Love) {스턴버그의 ...
[사랑의 형태와 종류] 사랑의 유형 - 사랑의 개념과 형태 및 사랑의 유형 분석, 사랑 개념, ...
[부모父母교육] 사랑과 친밀감 형성 - 사랑의 개념, 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 리의 사...
사랑과 성행동(사랑의 유형, 사랑의 삼각형, 이성애와 동성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