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립선 비대에 의한 뇨폐색 및 배뇨장애
1일 1회 4mg
기립성 저혈압, 어지러움, 두통, 부종, 무력증, 소화장애, 호흡곤란 등
mago
위십이지장 궤양, 위염, 위산과다, 변비증
위십이지장 궤양, 위염, 위산과다: 1일 0.5-1g 분복, 변비증: 1일 2g을 2회 분복
설사, 고마그네슘혈증
antacin
위산과다, 속쓰림, 위부불쾌감, 위부팽만감, 식체, 구역, 구토, 위통, 신트림
1회 2정을 1일 3회 식후에 복용
변비, 설사
somalge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1회 1정을 1일 3회 경구투여, 중증인 경우 1회 2정 투여
구역, 구토, 위장출혈, 소화성 궤양 및 천공
aprovel
안지오텐신Ⅱ수용체 길항제-
본태성 고혈압
1일 1회 150mg을 식사와 관련없이 투여
상기도 감염, 부비동 이상, 인플루엔자, 인두염, 비염, 근골격통, 근육통, 두통, 현기증, 피로, 오심/구토, 설사, 발진, 빈맥 등
amikacin
패혈증,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화농증, 골 및 관절감염증, 중추신경계 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의 중증감염증, 복막염, 화상 및 수술후 감염증, 심한 복합감염 및 재발성 요로감염증
15mg/kg/day,
2-3회 분할투여, IM, IV
제 8뇌신경장애(이명, 난청,현기), 신장독성, 신경독성, 과민증상, 일과성의 두통, shock등
valium
수면진정제 및 신경안정제
성인 1회 2-10mg, 1일 2-4회
졸음, 현기, 운동실조, 피로, 두통, 진전, 언어장애, 백혈구/호중구 감소, 빈맥, 서맥, 순환성 쇽, 호흡억제, 위장장애, 발진, 부종, 황달, 뇨저류, 딸꾹질 등
진단
사정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요정체로 인한 배뇨양상의 변화
S: "하루에 소변을 너무 자주 봐요."
“소변을 봐도 본 것 같지 않아요.”
O: 방광이 가득차 배가 불러 있다.
배뇨근의 기능이 적절하게 돌아온다.
요도 폐쇄가 완화된다.
- 배뇨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매일 2-3시간에 한번씩 소변을 보러 화장실을 들락날락 거렸다고 함.)
- 방광팽대가 있는지 치골상부를 관찰한다.
- 하루 3000cc 이상의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 잔뇨감이 있는지 확인하고 소변검사와 배양검사를 한다.
수술과 간호후 요도 폐쇄가 완화되었고, 퇴원전 잔뇨량 check에서도 3cc, 5cc가량으로 정상범위안에 들었고 배뇨기능도 정상으로 돌아왔다.
수술과 관련된 통증
S: “수술한 부위가 너무 아파요.”
O: 환자는 찡그린 표정을 하고 있다.
환자의 통증정도는 10점 만점에 9점이라고 답하였다.
환자의 통증이 조절된다.
- 통증에 대하여 사정한다.
-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통증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심호흡, 복식호흡, 평화로운 상상과 같은 이완을 가져오는 행동을 유도한다.
- 수술부위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무거운 담요보다는 얇은 시트를 덮어주도록 한다.
환자는 통증정도가 9점에서 4점으로 낮아졌다고 느꼈으며, 입원중 큰 통증 호소가 없었다.
외과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O: 환자는 경요도절제술, 유치도뇨 등에 의한 감염위험을 갖고 있다.
환자는 감염의 증상이 없다.
-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하도록 한다.
(특히 체온은 4시간에 한번씩 측정)
- 도뇨관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 필요시 도뇨관을 세척한다.
-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고 도뇨관 주위(시술부위)에 항생제 연고를 바른다. :G-M 연고 도포
- 소변주머니는 항상 방광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수술 후 2일간 열이 있었지만(7/22 37.5, 7/23 37.6 ) 곧 조절되었고, 더 이상의 열, WBC 상승 등의 감염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5. 간호
1일 1회 4mg
기립성 저혈압, 어지러움, 두통, 부종, 무력증, 소화장애, 호흡곤란 등
mago
위십이지장 궤양, 위염, 위산과다, 변비증
위십이지장 궤양, 위염, 위산과다: 1일 0.5-1g 분복, 변비증: 1일 2g을 2회 분복
설사, 고마그네슘혈증
antacin
위산과다, 속쓰림, 위부불쾌감, 위부팽만감, 식체, 구역, 구토, 위통, 신트림
1회 2정을 1일 3회 식후에 복용
변비, 설사
somalge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1회 1정을 1일 3회 경구투여, 중증인 경우 1회 2정 투여
구역, 구토, 위장출혈, 소화성 궤양 및 천공
aprovel
안지오텐신Ⅱ수용체 길항제-
본태성 고혈압
1일 1회 150mg을 식사와 관련없이 투여
상기도 감염, 부비동 이상, 인플루엔자, 인두염, 비염, 근골격통, 근육통, 두통, 현기증, 피로, 오심/구토, 설사, 발진, 빈맥 등
amikacin
패혈증,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화농증, 골 및 관절감염증, 중추신경계 감염증, 피부 및 연조직의 중증감염증, 복막염, 화상 및 수술후 감염증, 심한 복합감염 및 재발성 요로감염증
15mg/kg/day,
2-3회 분할투여, IM, IV
제 8뇌신경장애(이명, 난청,현기), 신장독성, 신경독성, 과민증상, 일과성의 두통, shock등
valium
수면진정제 및 신경안정제
성인 1회 2-10mg, 1일 2-4회
졸음, 현기, 운동실조, 피로, 두통, 진전, 언어장애, 백혈구/호중구 감소, 빈맥, 서맥, 순환성 쇽, 호흡억제, 위장장애, 발진, 부종, 황달, 뇨저류, 딸꾹질 등
진단
사정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요정체로 인한 배뇨양상의 변화
S: "하루에 소변을 너무 자주 봐요."
“소변을 봐도 본 것 같지 않아요.”
O: 방광이 가득차 배가 불러 있다.
배뇨근의 기능이 적절하게 돌아온다.
요도 폐쇄가 완화된다.
- 배뇨상태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매일 2-3시간에 한번씩 소변을 보러 화장실을 들락날락 거렸다고 함.)
- 방광팽대가 있는지 치골상부를 관찰한다.
- 하루 3000cc 이상의 수분섭취를 권장하고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 잔뇨감이 있는지 확인하고 소변검사와 배양검사를 한다.
수술과 간호후 요도 폐쇄가 완화되었고, 퇴원전 잔뇨량 check에서도 3cc, 5cc가량으로 정상범위안에 들었고 배뇨기능도 정상으로 돌아왔다.
수술과 관련된 통증
S: “수술한 부위가 너무 아파요.”
O: 환자는 찡그린 표정을 하고 있다.
환자의 통증정도는 10점 만점에 9점이라고 답하였다.
환자의 통증이 조절된다.
- 통증에 대하여 사정한다.
-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통증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심호흡, 복식호흡, 평화로운 상상과 같은 이완을 가져오는 행동을 유도한다.
- 수술부위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무거운 담요보다는 얇은 시트를 덮어주도록 한다.
환자는 통증정도가 9점에서 4점으로 낮아졌다고 느꼈으며, 입원중 큰 통증 호소가 없었다.
외과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O: 환자는 경요도절제술, 유치도뇨 등에 의한 감염위험을 갖고 있다.
환자는 감염의 증상이 없다.
-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하도록 한다.
(특히 체온은 4시간에 한번씩 측정)
- 도뇨관의 개방성을 유지한다.
- 필요시 도뇨관을 세척한다.
- 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하고 도뇨관 주위(시술부위)에 항생제 연고를 바른다. :G-M 연고 도포
- 소변주머니는 항상 방광아래에 위치하도록 한다.
수술 후 2일간 열이 있었지만(7/22 37.5, 7/23 37.6 ) 곧 조절되었고, 더 이상의 열, WBC 상승 등의 감염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5. 간호
추천자료
임부 간호- 레오폴드 복부촉진법,태아 건강 사정-초음파 촬영
[성인간호학] 외과적수술과 회장루술을 시행한 김씨에게 수행해야 할 간호 사정 - 장루 사정 ...
[간호이론 D형] 핸더슨의 이론을 적용하여 작성하시오. 1.주요 개념 정리 & 2.만성질환자...
[성인간호2] 신장·요로계 기능사정
뇌졸중 환자간호(뇌졸중의 위험요인, 뇌졸중의 종류, 뇌졸중 위치에 따른 증상, 뇌졸중의 임...
[간호이론] 로이의 4개 적응유형 적용 - 1)주어진 이론에 대해 정리 2)대상자(만성질환자)를 ...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성인간호학) 귀의 건강사정
[간호학] 신생아의 신체사정
[간호학] 신생아 신체사정
[간호학] 혈액계 건강사정(노화에 따른 혈액계 변화)
[간호학] 호흡기계 사정
[간호학] 혈관계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
[간호학] 호흡기계 사정 (성인&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