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3. 18세기 복음주의 운동-조나단 에드워즈
4. 18세기 복음주의 운동-조지 휫필드
5. 19세기 복음주의 운동-찰스피니
2, 복음주의란 무엇인가?
3. 18세기 복음주의 운동-조나단 에드워즈
4. 18세기 복음주의 운동-조지 휫필드
5. 19세기 복음주의 운동-찰스피니
본문내용
는 안 될 것이며, 모이기에 힘써야 하는 것이 맞는 이야기이지만, 회심의 영역에서는 교회를 통해 하나님과 일대일 교제가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개인과 하나님이 직접적으로 통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회의 겉으로 드러나는 형식적인 구조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하나님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는 휫필드의 생각에 전적인 동의를 한다.
5.19세기 복음주의 운동-찰스피니
19세기의 미국은 영국에서 갓 독립된 나라였고, 민주주의가 막 정착되려는 시대였으며, 서부 개척시대였다. 이런 복잡한 사회적 배경에서 찰스피니는 어떻게 복음을 새로운 방법으로 전한 것일까?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전하였기에 근대 부흥운동의 아버지라는 수식어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일까? 피니는 단지 전통적인 사상과 방법을 반복하는 것으로 복음을 전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적인 요청에 복음을 새롭게 해석하고 새로운 방법을 전한 사람이다. 그는 수많은 개혁운동에 앞장섰다. 그저 새로운 시대를 개혁하고자 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전통적 신학의 틀을 버리고 성서로 돌아가서 성서적인 원리로 기존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 때 미국의 기독교는 정통칼빈주의 사상이 움직였다. 정통칼빈주의는 인간의 부패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인간의 무능력을 강조하여 새로운 사회에서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갖지 못하게 하였다. 원래 칼빈이 인간의 무능력을 강조한 것은 하나님의 은총을 강조하기 위해서였지만, 이것이 잘못 해석되어 결국은 모든 것이 하나님의 예정이라는 절대예정론에 빠져 버렸고, 이것은 많은 경우에 운명주의로 오해되었다. 이런 잘못된 칼빈주의는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없었다.
피니는 펠라기안으로 오해를 받기도 하였지만, 분명 피니는 펠라기안으로 평가 받는 것은 너무 지나친 것이다. 피니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그리스도가 우리를 위해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시고, 우리의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의지함으로 얻어진다고 확신하였다. 피니는 하나님의 은총을 무시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인간이 하나님의 은총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복음의 명령을 소홀히 한 것을 비판 한 것이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원한다고 할지라도 인간이 그 은총을 받아들이기로 결단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의미 없는 일이 될 것이다. 하지만 펠라기안은 전통적인 기독교가 이단으로 정죄한 집단으로서 그리스도의 은총을 무시하고 인간의 능력을 강조한다.
5.19세기 복음주의 운동-찰스피니
19세기의 미국은 영국에서 갓 독립된 나라였고, 민주주의가 막 정착되려는 시대였으며, 서부 개척시대였다. 이런 복잡한 사회적 배경에서 찰스피니는 어떻게 복음을 새로운 방법으로 전한 것일까?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전하였기에 근대 부흥운동의 아버지라는 수식어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일까? 피니는 단지 전통적인 사상과 방법을 반복하는 것으로 복음을 전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대적인 요청에 복음을 새롭게 해석하고 새로운 방법을 전한 사람이다. 그는 수많은 개혁운동에 앞장섰다. 그저 새로운 시대를 개혁하고자 해서 그런 것이 아니라, 전통적 신학의 틀을 버리고 성서로 돌아가서 성서적인 원리로 기존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 때 미국의 기독교는 정통칼빈주의 사상이 움직였다. 정통칼빈주의는 인간의 부패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인간의 무능력을 강조하여 새로운 사회에서 적극적인 삶의 자세를 갖지 못하게 하였다. 원래 칼빈이 인간의 무능력을 강조한 것은 하나님의 은총을 강조하기 위해서였지만, 이것이 잘못 해석되어 결국은 모든 것이 하나님의 예정이라는 절대예정론에 빠져 버렸고, 이것은 많은 경우에 운명주의로 오해되었다. 이런 잘못된 칼빈주의는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없었다.
피니는 펠라기안으로 오해를 받기도 하였지만, 분명 피니는 펠라기안으로 평가 받는 것은 너무 지나친 것이다. 피니는 하나님의 은총으로 그리스도가 우리를 위해서 십자가에 달려 돌아가시고, 우리의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의지함으로 얻어진다고 확신하였다. 피니는 하나님의 은총을 무시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주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인간이 하나님의 은총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복음의 명령을 소홀히 한 것을 비판 한 것이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구원하시기 원한다고 할지라도 인간이 그 은총을 받아들이기로 결단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의미 없는 일이 될 것이다. 하지만 펠라기안은 전통적인 기독교가 이단으로 정죄한 집단으로서 그리스도의 은총을 무시하고 인간의 능력을 강조한다.
추천자료
조선후기 사회경제사 연구와 근대 - 지주제와 소농경제를 중심으로
[A+레포트]근대 중국의 농민사회
[한국근대문학사]사회적 삶과 실존적 삶의 갈등
탈근대의 교육과 사회 - 가벼움의 개혁성(감상문)
탈근대의 교육과 사회 - 학교붕괴와 탈근대적 의미(감상문)
탈근대의 교육과 사회 - 집단순응과 대리 만족의 교육열(감상문)
[시민사회]시민사회 심층 분석(시민사회란 무엇인가, 시민성 개념,구성요소, 탈물질주의 가치...
토마스 홉스와 근대 시민 사회의 태동
근대 이전의 사회주의
범죄학의 역사 - 근대 이전의 범죄와 형벌, 근대 이후 범죄학이론의 발달, 범죄사회학의 발전
근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윤리성 - 루터(Martin Luther)의 직업소명의식, 캘빈(J. Calvin)의...
[사학과] 중국 청 말 근대교육제도의 도입 {청 말 지식인들의 근대교육체제의 모색, 근대교육...
[지역사회복지론] 한국(우리나라)의 사회복지발달사에 대한 생각 (근대 이전과 근대 이후)
식민지 사회,식민지 근대화론,내재적 발전론,식민지 근대화론 입장,식민지 수탈론,내재적 발전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