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 박현주 회장
2. 미래에셋의 탄생과 도전
3. 돈에 대한 확고한 철학 ‘정직’
4. 한국의 경제와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5. 미래에셋의 투자원칙과 조직관리법
6. 맺음말
2. 미래에셋의 탄생과 도전
3. 돈에 대한 확고한 철학 ‘정직’
4. 한국의 경제와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
5. 미래에셋의 투자원칙과 조직관리법
6. 맺음말
본문내용
수록 불확실성이 줄기 때문에 알기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그의 투자원칙과 조직 관리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세 가지 투자원칙
1. 모르는 일이나 투자처에는 손을 대지 않는다.
2.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한다.
3. 어떤 유혹이 있을지라도 첫째와 둘째 원칙은 반드시 지킨다.
※ 세 가지 조직관리법
1. 조직의 관리자는 점을 찍는다. 즉 좋은 사람을 골라 그에게 일을 위임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그 좋은 사람이 다시 점을 찍고 그 점이 모여 선이 되면서 조직에 체계가 선다.
3. 아메바가 확장 하듯 점을 찍고 점이 만나 선이 그려지면 자연스럽게 면이 만들어 진다.
금융 산업은 10여년전과 비교해서 얼마나 발전해 있는 걸까? 저자는 우리나라 현재의 금융계가 외국 거대 자본과의 경쟁에서 불리한 반면, 금융 환경에서는 그에 맞설 여건이 되지 못한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앨빈 토플러가 '부의 미래'에서 말한 바로 그 '공무원의 속도' 때문이다.
10년 후, 부의 물결에서 금융업이 성장산업으로서 국부의 증진에 일익을 담당해야 국민소득 3만불 시대도 가능하고, 진정한 의미의 외환위기의 극복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박현주 회장은 보험, 은행, 증권사 등 이업종간의 합병과 금융산업에 폭넓게 드리워진 규제의 철폐 등을 주문한다. 더불어 인재개발을 위한 투자와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젊은이들의 도전 또한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6. 맺음말
올해가 미래에셋그룹이 설립된 지 꼭 10년째이다. 70년대 이후 어느 한 분야에서 조(兆) 단위의 매출을 올리면서 삼성, 현대, LG 등의 재벌 계열사들을 제치고 1등을 한 기업은 없었다. 일에 대한 열정과 자신감으로 젊은 나이에 성공신화를 계속 써나가고 있는 저자에 대한 부러움도 생기고, 또 분명한 철학과 소신을 갖고 삶을 설계해야겠다는 자극도 되었다.
최고의 부자보다 최고의 기부자가 되겠다는 그, 돈보다는 사람에게 투자하고 한 번 쓴 사람은 믿는다는 그, 엄청난 액수의 유혹에도 자기 길을 걸어간 그, 책을 읽으니 그가 더 멋있게 느껴진다. 그저 눈앞에 작은 이익 때문에 허둥지둥하는 젊은이들에게 그는 말한다.
바르게 벌어서 바르게 쓸 때 돈은 아름다운 꽃이 되어 활짝 피어납니다.
'바르게 벌어서 바르게 쓸 때'가 생략된 돈은 사람을 썩게 한다. 멀리를 내다보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뜨거운 우리 젊은이들이 21세기 아름다운 꽃이 되어 활짝 피어날 것이다.
※ 세 가지 투자원칙
1. 모르는 일이나 투자처에는 손을 대지 않는다.
2.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를 한다.
3. 어떤 유혹이 있을지라도 첫째와 둘째 원칙은 반드시 지킨다.
※ 세 가지 조직관리법
1. 조직의 관리자는 점을 찍는다. 즉 좋은 사람을 골라 그에게 일을 위임하는 것을 의미한다.
2. 그 좋은 사람이 다시 점을 찍고 그 점이 모여 선이 되면서 조직에 체계가 선다.
3. 아메바가 확장 하듯 점을 찍고 점이 만나 선이 그려지면 자연스럽게 면이 만들어 진다.
금융 산업은 10여년전과 비교해서 얼마나 발전해 있는 걸까? 저자는 우리나라 현재의 금융계가 외국 거대 자본과의 경쟁에서 불리한 반면, 금융 환경에서는 그에 맞설 여건이 되지 못한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한다. 앨빈 토플러가 '부의 미래'에서 말한 바로 그 '공무원의 속도' 때문이다.
10년 후, 부의 물결에서 금융업이 성장산업으로서 국부의 증진에 일익을 담당해야 국민소득 3만불 시대도 가능하고, 진정한 의미의 외환위기의 극복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박현주 회장은 보험, 은행, 증권사 등 이업종간의 합병과 금융산업에 폭넓게 드리워진 규제의 철폐 등을 주문한다. 더불어 인재개발을 위한 투자와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젊은이들의 도전 또한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6. 맺음말
올해가 미래에셋그룹이 설립된 지 꼭 10년째이다. 70년대 이후 어느 한 분야에서 조(兆) 단위의 매출을 올리면서 삼성, 현대, LG 등의 재벌 계열사들을 제치고 1등을 한 기업은 없었다. 일에 대한 열정과 자신감으로 젊은 나이에 성공신화를 계속 써나가고 있는 저자에 대한 부러움도 생기고, 또 분명한 철학과 소신을 갖고 삶을 설계해야겠다는 자극도 되었다.
최고의 부자보다 최고의 기부자가 되겠다는 그, 돈보다는 사람에게 투자하고 한 번 쓴 사람은 믿는다는 그, 엄청난 액수의 유혹에도 자기 길을 걸어간 그, 책을 읽으니 그가 더 멋있게 느껴진다. 그저 눈앞에 작은 이익 때문에 허둥지둥하는 젊은이들에게 그는 말한다.
바르게 벌어서 바르게 쓸 때 돈은 아름다운 꽃이 되어 활짝 피어납니다.
'바르게 벌어서 바르게 쓸 때'가 생략된 돈은 사람을 썩게 한다. 멀리를 내다보고 새로운 도전을 하는 뜨거운 우리 젊은이들이 21세기 아름다운 꽃이 되어 활짝 피어날 것이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미래
<국내 택배산업의 현황과 미래>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우리나라 주식시장의 발전과 미래
우리나라의 금융기관의 현황과 미래상
삼성전자 LG전자 경영분석과 미래예측(A+레포트)
IBK기업은행의 분석과 수익성, 미래전망, 채용정보
서른이후 50년을 읽고 - 미래설계와 인생성공의 상관관계
[정보화사회]정보화사회의 도래에 따른 특징과 정보화사회의 현황 및 미래 정보화사회를 위한...
WIBRO의 기술 소개와 미래 통신 기술
기업 주식 소개 - 미래산업
경제지식이 미래의 부를 결정한다를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미래의 유망 직업
MISSHA 미샤 브랜드분석및 미샤 남성고객확보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과 미샤 미래전망 분석
우리은행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우리은행 마케팅경영전략분석및 미래전략제언 -우리은행 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