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4. 실험재료
5. 실험방법
6. 결과 및 고찰
7. 참고문헌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4. 실험재료
5. 실험방법
6. 결과 및 고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계장애물질은 생체 내에 합성되는 호르몬과 비교하여 쉽게 분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내분비장애물질이 체내에 들어오게 되면 농축되게 된다. 환경, 중및 생체 내에 잔존하여 심지어 수년간 지속되기도 한다. 단기간 노출에도 내분비장애물질이 체내에 들어와 농축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6) 비스페놀과 같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특성과 우리생활주변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PCB: 공업용 열매체, 카본린스 복사지의 색소용제, 콘덴서의 절연유, 전력 케이블 피복용 고무의 가소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토양과 해수 중에서 오랫동안 잔류하고 인체에 들어가면 간, 장 및 피부 등에 심한 상해를 일으킨다는 것이 판명됨에 따라 현재는 사용 및 제조가 금지되었다.
다이옥신: 고엽제, 쓰레기 소각장, 각종 염화를 사용처에서 발생된다. 97%가 넘어가는 대부분의 다이옥신은 음식에 포함되어 흡수하게 되며 약 3%이하만 호흡기를 통해 흡수한다. 다이옥신은 주로 몸속의 에스트로겐 관련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특성을 나타낸다.
7)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 생활 속에서의 실천 사항에 대해 토론해 보자.
①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가급적 피한다. 특히 그릇은 절대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말고 유리나 자기류를 사용한다.
② 유기농 농산물을 먹는다.
③ 깨끗한 물을 많이 마시며 일주일에 3-4회 이상 땀을 내어 운동한다.
④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순 비누 제품을 쓴다.
⑤ 실내를 진공청소기로 청소하고 실내공기를 자주 환기시킨다.
⑥ 향기 나는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향기 나는 제품에는 포탈레이트라는 환경호르몬이 있다.
⑦ 드라이 클리닝은 피하고 드라이 클리닝한 옷은 집밖에 여러 시간 걸어 두어 냄새가 빠진 뒤 들어온다.
⑧ 살충제, 제초제를 쓰지 않는다.
⑨ 어린이들에게 플라스틱 완구를 사주지 않는다.
⑩ 화장품, 특히 자외선 차단제가 들어 있는 화장품을 피한다. 화장품 방부제로 쓰이는 파라벤과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스트로겐 성 환경호르몬이다.
7. 참고문헌
환경호르몬의 공포/나카하라 히데오미/ 종문화사/ p51~54/1998년도
환경호르몬 제대로 알고 확실히 피해가는 법/길리안 마틀류/ 현암사 /p210~211
생명과학을 위한 생화/ 김창한, 김일저 /지술문화사 /p109/1990년도
생물의 세계 /권오길 외 7명/ 녹문당/p394,p578
열대어 사육입문 /천종렬/ 지당 /p238 /1990년도
6) 비스페놀과 같은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특성과 우리생활주변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PCB: 공업용 열매체, 카본린스 복사지의 색소용제, 콘덴서의 절연유, 전력 케이블 피복용 고무의 가소제 등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토양과 해수 중에서 오랫동안 잔류하고 인체에 들어가면 간, 장 및 피부 등에 심한 상해를 일으킨다는 것이 판명됨에 따라 현재는 사용 및 제조가 금지되었다.
다이옥신: 고엽제, 쓰레기 소각장, 각종 염화를 사용처에서 발생된다. 97%가 넘어가는 대부분의 다이옥신은 음식에 포함되어 흡수하게 되며 약 3%이하만 호흡기를 통해 흡수한다. 다이옥신은 주로 몸속의 에스트로겐 관련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특성을 나타낸다.
7)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 생활 속에서의 실천 사항에 대해 토론해 보자.
①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을 가급적 피한다. 특히 그릇은 절대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말고 유리나 자기류를 사용한다.
② 유기농 농산물을 먹는다.
③ 깨끗한 물을 많이 마시며 일주일에 3-4회 이상 땀을 내어 운동한다.
④ 합성세제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순 비누 제품을 쓴다.
⑤ 실내를 진공청소기로 청소하고 실내공기를 자주 환기시킨다.
⑥ 향기 나는 화학제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향기 나는 제품에는 포탈레이트라는 환경호르몬이 있다.
⑦ 드라이 클리닝은 피하고 드라이 클리닝한 옷은 집밖에 여러 시간 걸어 두어 냄새가 빠진 뒤 들어온다.
⑧ 살충제, 제초제를 쓰지 않는다.
⑨ 어린이들에게 플라스틱 완구를 사주지 않는다.
⑩ 화장품, 특히 자외선 차단제가 들어 있는 화장품을 피한다. 화장품 방부제로 쓰이는 파라벤과 자외선 차단 성분은 에스트로겐 성 환경호르몬이다.
7. 참고문헌
환경호르몬의 공포/나카하라 히데오미/ 종문화사/ p51~54/1998년도
환경호르몬 제대로 알고 확실히 피해가는 법/길리안 마틀류/ 현암사 /p210~211
생명과학을 위한 생화/ 김창한, 김일저 /지술문화사 /p109/1990년도
생물의 세계 /권오길 외 7명/ 녹문당/p394,p578
열대어 사육입문 /천종렬/ 지당 /p238 /1990년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