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비보고서
1.제목
2.목적
3.관련이론
4.실험 준비 결과값 예상
5.참고문헌
결과보고서
1.제목
2.목적
3.실험 결과 및 검토
1.제목
2.목적
3.관련이론
4.실험 준비 결과값 예상
5.참고문헌
결과보고서
1.제목
2.목적
3.실험 결과 및 검토
본문내용
실험순서⑥ 실험순서⑤에서 결정된 의 오차를 구해보면 = 1%의 오차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최대 전력을 구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실험은 큰 무리 없이 진행되었습니다. 회로결선도 생각보다 쉬웠고 저항도 모두 배치 되어있어서 빠르게 실험하였습니다. 예상값을 잘못 구해 와서 처음에는 실험이 잘못되었나 생각했지만 계산 실수였습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된 것은 어떤 회로에서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려면 테브닌 등가 회로로 전환한 뒤에 그 등가 저항과 같은 저항을 부하저항으로 연결하면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2.정합 T회로망의 설계
이 실험은 10 : 1의 전압 감쇄를 갖고 최대 전력을 전달하는 T회로망을 설계 해보는 실험입니다.
실험순서①
흘러나오는 전류를 계산해보면 = 6.25mA 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림은 왼쪽 그림에 그렸습니다.
실험순서②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결정하는 실험으로 10:1감쇄기 이므로 출력 전압의 의 전입이 걸릴 것입니다. 따라서 부하 저항에는 1.5V의 전압이 걸립니다. 따라서 옴의 법칙을 이용하면 = 1.25mA 로 예상합니다.
실험순서③
에 흐르는 전류는 부하()에 흐르는 전류와 같습니다. 따라서 1.25mA 로 예상합니다. 그림은 위의 회로에 그렸습니다.
실험순서④
대칭T회로망이므로 = 입니다. 방정식을 세우고 를 구해보면
= 0 이라는 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7.5 +0.0075R + 1.5 - 15 = 0 이고 6 = 0.0075R 입니다. 따라서 = 800Ω입니다.
실험순서⑤
를 구해보겠습니다. 방정식을 세워 보면
의 양단의 전압을 구하면 15V - 6.25mA(0.8k+1.2k) = 2.5V입니다. 흐르는 전류는 5mA이므로 옴의 법칙을 이용하면 = 500Ω입니다.
실험순서⑥
이제 그림 13-8회로를 결선하였습니다.
왼쪽 사진은 위에서 구해본 저항으로 T회로망을 만들어 본 사진입니다.
과 는 800Ω 이고 는 500Ω입니다.
800Ω짜리 저항이 없어서 680Ω과 120Ω 2개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림13-8 결선 사진>
실험순서⑦
이제 이 회로의 와 을 측정 하였습니다. 먼저 전원을 끄고 부하 저항을 제거한 후 를 측정했습니다. 위의사진이 이 실험의 측정 사진이고 측정값은 1275.3Ω 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부하저항을 연결 한 뒤 부하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였습니다. 아래사진이 측정 사진이고 측정값은 1522.8mV 가 측정되었습니다.
< 측정 사진> 책에서 1.2Ω과 1.5V가 측정되어야 한다고 나왔는데 그 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 측정 사진>
이번 실험을 통하여 T회로망에 대하여 잘 알게 되었습니다. T회로망을 이용하면 부하저항에 자신이 원하는 전압 감쇄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실험을 하는 동안 계산 과정이 많아서 당황했는데 예비보고서를 작성할 때 미리 계산을 다해와서 수월하게 실험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값도 거의 오차 없이 측정이 되어 기분이 좋았습니다. 저 정도의 오차면 오차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최대 전력을 구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실험은 큰 무리 없이 진행되었습니다. 회로결선도 생각보다 쉬웠고 저항도 모두 배치 되어있어서 빠르게 실험하였습니다. 예상값을 잘못 구해 와서 처음에는 실험이 잘못되었나 생각했지만 계산 실수였습니다. 이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된 것은 어떤 회로에서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려면 테브닌 등가 회로로 전환한 뒤에 그 등가 저항과 같은 저항을 부하저항으로 연결하면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2.정합 T회로망의 설계
이 실험은 10 : 1의 전압 감쇄를 갖고 최대 전력을 전달하는 T회로망을 설계 해보는 실험입니다.
실험순서①
흘러나오는 전류를 계산해보면 = 6.25mA 를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림은 왼쪽 그림에 그렸습니다.
실험순서②
부하에 흐르는 전류를 결정하는 실험으로 10:1감쇄기 이므로 출력 전압의 의 전입이 걸릴 것입니다. 따라서 부하 저항에는 1.5V의 전압이 걸립니다. 따라서 옴의 법칙을 이용하면 = 1.25mA 로 예상합니다.
실험순서③
에 흐르는 전류는 부하()에 흐르는 전류와 같습니다. 따라서 1.25mA 로 예상합니다. 그림은 위의 회로에 그렸습니다.
실험순서④
대칭T회로망이므로 = 입니다. 방정식을 세우고 를 구해보면
= 0 이라는 식을 구할 수 있습니다.
7.5 +0.0075R + 1.5 - 15 = 0 이고 6 = 0.0075R 입니다. 따라서 = 800Ω입니다.
실험순서⑤
를 구해보겠습니다. 방정식을 세워 보면
의 양단의 전압을 구하면 15V - 6.25mA(0.8k+1.2k) = 2.5V입니다. 흐르는 전류는 5mA이므로 옴의 법칙을 이용하면 = 500Ω입니다.
실험순서⑥
이제 그림 13-8회로를 결선하였습니다.
왼쪽 사진은 위에서 구해본 저항으로 T회로망을 만들어 본 사진입니다.
과 는 800Ω 이고 는 500Ω입니다.
800Ω짜리 저항이 없어서 680Ω과 120Ω 2개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였습니다.
<그림13-8 결선 사진>
실험순서⑦
이제 이 회로의 와 을 측정 하였습니다. 먼저 전원을 끄고 부하 저항을 제거한 후 를 측정했습니다. 위의사진이 이 실험의 측정 사진이고 측정값은 1275.3Ω 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부하저항을 연결 한 뒤 부하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였습니다. 아래사진이 측정 사진이고 측정값은 1522.8mV 가 측정되었습니다.
< 측정 사진> 책에서 1.2Ω과 1.5V가 측정되어야 한다고 나왔는데 그 값과 거의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 측정 사진>
이번 실험을 통하여 T회로망에 대하여 잘 알게 되었습니다. T회로망을 이용하면 부하저항에 자신이 원하는 전압 감쇄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실험을 하는 동안 계산 과정이 많아서 당황했는데 예비보고서를 작성할 때 미리 계산을 다해와서 수월하게 실험을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결과값도 거의 오차 없이 측정이 되어 기분이 좋았습니다. 저 정도의 오차면 오차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