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Ⅱ. 본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 사정
2) Problem list
3) NANDA의 간호 진단
4)간호 과정 적용
Ⅲ.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Ⅱ. 본론
1)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 사정
2) Problem list
3) NANDA의 간호 진단
4)간호 과정 적용
Ⅲ. 결론
본문내용
L31
36-48
빈혈검사
MCV
92
79-96
증가: 대 적혈구성 빈혈 감소: 소 적혈구성 빈혈
MCH
31
26-33
증가: 대 적혈구성빈혈
감소: 소 적혈구성 빈혈
MCHC
33
32-36
감소: 중증 저색소성 빈혈
Platelet
259
150-400
혈액응고검사
Seg. Neut.
31.2
52-60
증가: 급성출혈, 용혈 등 감소: 중증 감염증,악성빈혈
Lymphocyte
63.6
15-44
증가:급성 감염증 및 급성 중독성의 회복기 등
감소: 급성 감염증 초기 및 악성 림프종 등
Monocyte
1.3
2-10
증가:감염증, 만성감염 감소:중증 패혈증,악성빈혈 등
Eosilnophil
1.3
1-5
증가:악성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감소:기생충 질환,알러지성 질환, 피부 질환 등
Basophil
2.6
0-1
증가:알러지성 질환, 만성 골수성 백혈병 등,
감소:아나필락틱반응시 등
혈액검사 <최근 검사 (10월 24일 AM 9:11 )>
검사 항목
결 과
비 교
WBC
5.2
4.0-10.0
RBC
L2.86
4.0-5.4
Hemoglobin
L8.8
12-16
Hematocrit
L27
36-48
MCV
93
79-96
MCH
31
26-33
MCHC
33
32-36
Platelet
269
150-400
Seg. Neut.
82.9
52-60
Lymphocyte
9.8
15-44
Monocyte
7.3
2-10
Eosilnophil
0.0
1-5
Basophil
0.0
0-1
② 화학검사
검사항목
결 과
비 교
AST
H135
0-40
ALT
H122
0-40
ALP
H237
30-125
T.Bilirubin
1.1
0.2-1.3
T.Protein
6.7
6.0-8.4
Albumin
L3.3
3.4-5.2
A/G RATIO
L1.0
1.2-2
Glucose
94
65-110
BUN
12
8-25
Creatinine
0.8
0.7-1.6
B/C RATIO
15.6
Ammonia
L7.5
8.5-10.5
Amylase
3.0
2.5-4.5
Lipase
L2.3
2.5-7.0
r-GT
H215
7-34
LDH
357
240-480
CRP
142
120-230
Na
L130
135-145
K
4.1
3.5-5.5
Cl
L87
98-110
간의 효소는 간에 영향을 주는 질환이나 상해가 생기면 혈액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이런 한 효소는 다른 기관에 의해서도 생산되기 때문에 다른 기관의질병이나 상해시에도 혈중 농도가 증가 된다.
(7) 의학적 치료
① 내과적 치료 요법
a. 식이요법: 소량씩 천천히 자주 드심. 자극적인 음식 삼가고, 부드러운 음식으로 잘게 잘려서 나옴.
b. 약물 요법 : 삼성의료원에서는 palliative DP chemotherapy를 받으심.
약 명
효과
투여방법
부작용
주의점
카비벤페리페랄주
(sodium Glucose19%
외 23)
환자의 경구혹은 위장관 영양보급이 불가능하거나 제한되어 정맥 영양 요법을 실시할 때의 영양보급
1BAG #1 IV 추가
체온상승,오심,구토,간효소의 일시적인 증가,두통,피로감,용혈, 알레르기반응,지방과다증후군
전해질 균형이 맞을때만 사용, 오심, 구토, 발한시 중단
Dioctahedral Smectite
식도,위,십이지장과 장관질환에 관련된 통증증상
급성,만성 설사
3PO #3 B1
변비
타 약물과 시간을 두고 복용
Dexametasone disodium phosphate
내분비장애,피부질환,알레르기질환,종양성질환,신경계질환등
2AM #MIX
PRN
감염증유발,쇼크, 각막염 유발, 발열, 피로감등
장기투여금지.면역억제제 투여받는 사람 감염증이 오기쉽다.
Metoclopramide HCL
식욕부진,구토,구역,복부팽만감
12AM #1 IVS
쇽, 말린증후군,무월경,경련,발진,부종,권태감
졸음을 유발할 수있음으로 운전을 하지않는다.
② 외과적 치료 방법
삼성서울의료원에서 Total Gastrectomy with EJ stomy 받으심.
2) Problem list : 변비
오심, 구토
피로감
수면장애
활동장애
3) NANDA의 간호 진단 : ① 활동부족과음식섭취와 관련된 변비
② 잦은 오심과 구토 관련된 영양 부족
③ 잦은 오심과 구토와 관련된 수면장애
④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활동장애
4)간호 과정 적용
일 시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10월28일
주관적
자료:“어제도 밤에 자꾸 속이 울렁거려서 잠을 잘 못잤어.”,“속이 울렁 거려서 너무 안좋아”
객관적
자료: 체중43kg, 구토
하루에 1회 이상
잦은 오심과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오심과 구토를 줄인다
-환자의 I/O를 확인한다.
-처방에 따른 약을 제공한다.
-환자의 식이를 체크한다.
-환자의 I/O를 24시간마다 관찰함.
-의사에게 처방받은 약을 환자에게
제공.
-환자에게 음식의 양을
줄이고 더 천천히 먹으라고 교육함.
-환자분이 속이 많이 좋아지셔서 기분이 좋다고 말씀하심.
10월 28일
주관적
자료:“나 3일 동안 대변을 못 봤어.”
객관적
자료:I/O
활동부족과 음식섭취와 관련된 변비
-환자가 대변을 보게한다.
-환자에게 변비와 관련된 지식을 교육한다.
-환자의 I/O를 확인한다.
-처방에 따른 약을 제공한다.
-환자에게 물을 많이 마시게한다
-환자의I/O를 24시간마다 확인함.
-환자에게 처방된 변비약을 제공.
-환자에게 가능한 병실
복도를 걸으라고 교육
-환자분이 저녁에 대변을 보심.
-환자분이 하루에 3번씩 조금씩 복도를 걸으심
Ⅲ. 결론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그 동안 지켜보면서 위암 수술을 받고 나서 환자들이 나타 낼 수 있는 증상들을 실제적으로 보고 경험하면서, 이러한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에 대해서 배울수 있었다. 위암환자는 위를 절제 했기 때문에 소화능력이 많이 떨어져 있으므로 이들에게 적절한 식이를 공급하고, 또 변비가 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가능한 만큼 운동을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았다. 이 밖에도 위암환자들이 가질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책들을 더 공부해서 그들에게 앞으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
36-48
빈혈검사
MCV
92
79-96
증가: 대 적혈구성 빈혈 감소: 소 적혈구성 빈혈
MCH
31
26-33
증가: 대 적혈구성빈혈
감소: 소 적혈구성 빈혈
MCHC
33
32-36
감소: 중증 저색소성 빈혈
Platelet
259
150-400
혈액응고검사
Seg. Neut.
31.2
52-60
증가: 급성출혈, 용혈 등 감소: 중증 감염증,악성빈혈
Lymphocyte
63.6
15-44
증가:급성 감염증 및 급성 중독성의 회복기 등
감소: 급성 감염증 초기 및 악성 림프종 등
Monocyte
1.3
2-10
증가:감염증, 만성감염 감소:중증 패혈증,악성빈혈 등
Eosilnophil
1.3
1-5
증가:악성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감소:기생충 질환,알러지성 질환, 피부 질환 등
Basophil
2.6
0-1
증가:알러지성 질환, 만성 골수성 백혈병 등,
감소:아나필락틱반응시 등
혈액검사 <최근 검사 (10월 24일 AM 9:11 )>
검사 항목
결 과
비 교
WBC
5.2
4.0-10.0
RBC
L2.86
4.0-5.4
Hemoglobin
L8.8
12-16
Hematocrit
L27
36-48
MCV
93
79-96
MCH
31
26-33
MCHC
33
32-36
Platelet
269
150-400
Seg. Neut.
82.9
52-60
Lymphocyte
9.8
15-44
Monocyte
7.3
2-10
Eosilnophil
0.0
1-5
Basophil
0.0
0-1
② 화학검사
검사항목
결 과
비 교
AST
H135
0-40
ALT
H122
0-40
ALP
H237
30-125
T.Bilirubin
1.1
0.2-1.3
T.Protein
6.7
6.0-8.4
Albumin
L3.3
3.4-5.2
A/G RATIO
L1.0
1.2-2
Glucose
94
65-110
BUN
12
8-25
Creatinine
0.8
0.7-1.6
B/C RATIO
15.6
Ammonia
L7.5
8.5-10.5
Amylase
3.0
2.5-4.5
Lipase
L2.3
2.5-7.0
r-GT
H215
7-34
LDH
357
240-480
CRP
142
120-230
Na
L130
135-145
K
4.1
3.5-5.5
Cl
L87
98-110
간의 효소는 간에 영향을 주는 질환이나 상해가 생기면 혈액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이런 한 효소는 다른 기관에 의해서도 생산되기 때문에 다른 기관의질병이나 상해시에도 혈중 농도가 증가 된다.
(7) 의학적 치료
① 내과적 치료 요법
a. 식이요법: 소량씩 천천히 자주 드심. 자극적인 음식 삼가고, 부드러운 음식으로 잘게 잘려서 나옴.
b. 약물 요법 : 삼성의료원에서는 palliative DP chemotherapy를 받으심.
약 명
효과
투여방법
부작용
주의점
카비벤페리페랄주
(sodium Glucose19%
외 23)
환자의 경구혹은 위장관 영양보급이 불가능하거나 제한되어 정맥 영양 요법을 실시할 때의 영양보급
1BAG #1 IV 추가
체온상승,오심,구토,간효소의 일시적인 증가,두통,피로감,용혈, 알레르기반응,지방과다증후군
전해질 균형이 맞을때만 사용, 오심, 구토, 발한시 중단
Dioctahedral Smectite
식도,위,십이지장과 장관질환에 관련된 통증증상
급성,만성 설사
3PO #3 B1
변비
타 약물과 시간을 두고 복용
Dexametasone disodium phosphate
내분비장애,피부질환,알레르기질환,종양성질환,신경계질환등
2AM #MIX
PRN
감염증유발,쇼크, 각막염 유발, 발열, 피로감등
장기투여금지.면역억제제 투여받는 사람 감염증이 오기쉽다.
Metoclopramide HCL
식욕부진,구토,구역,복부팽만감
12AM #1 IVS
쇽, 말린증후군,무월경,경련,발진,부종,권태감
졸음을 유발할 수있음으로 운전을 하지않는다.
② 외과적 치료 방법
삼성서울의료원에서 Total Gastrectomy with EJ stomy 받으심.
2) Problem list : 변비
오심, 구토
피로감
수면장애
활동장애
3) NANDA의 간호 진단 : ① 활동부족과음식섭취와 관련된 변비
② 잦은 오심과 구토 관련된 영양 부족
③ 잦은 오심과 구토와 관련된 수면장애
④ 면역력 저하와 관련된 활동장애
4)간호 과정 적용
일 시
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10월28일
주관적
자료:“어제도 밤에 자꾸 속이 울렁거려서 잠을 잘 못잤어.”,“속이 울렁 거려서 너무 안좋아”
객관적
자료: 체중43kg, 구토
하루에 1회 이상
잦은 오심과
구토와 관련된 영양 부족
-오심과 구토를 줄인다
-환자의 I/O를 확인한다.
-처방에 따른 약을 제공한다.
-환자의 식이를 체크한다.
-환자의 I/O를 24시간마다 관찰함.
-의사에게 처방받은 약을 환자에게
제공.
-환자에게 음식의 양을
줄이고 더 천천히 먹으라고 교육함.
-환자분이 속이 많이 좋아지셔서 기분이 좋다고 말씀하심.
10월 28일
주관적
자료:“나 3일 동안 대변을 못 봤어.”
객관적
자료:I/O
활동부족과 음식섭취와 관련된 변비
-환자가 대변을 보게한다.
-환자에게 변비와 관련된 지식을 교육한다.
-환자의 I/O를 확인한다.
-처방에 따른 약을 제공한다.
-환자에게 물을 많이 마시게한다
-환자의I/O를 24시간마다 확인함.
-환자에게 처방된 변비약을 제공.
-환자에게 가능한 병실
복도를 걸으라고 교육
-환자분이 저녁에 대변을 보심.
-환자분이 하루에 3번씩 조금씩 복도를 걸으심
Ⅲ. 결론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그 동안 지켜보면서 위암 수술을 받고 나서 환자들이 나타 낼 수 있는 증상들을 실제적으로 보고 경험하면서, 이러한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에 대해서 배울수 있었다. 위암환자는 위를 절제 했기 때문에 소화능력이 많이 떨어져 있으므로 이들에게 적절한 식이를 공급하고, 또 변비가 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가능한 만큼 운동을 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알았다. 이 밖에도 위암환자들이 가질 수 있는 문제와 그 해결책들을 더 공부해서 그들에게 앞으로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