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전 전의 세계
전쟁의 시작
대전의 경과
전쟁의 확산
러시아 혁명
아일랜드 봉기
윌슨의 14개조
독일의 갈등과 종전
종전 후의 세계
전쟁의 결과
전쟁의 시작
대전의 경과
전쟁의 확산
러시아 혁명
아일랜드 봉기
윌슨의 14개조
독일의 갈등과 종전
종전 후의 세계
전쟁의 결과
본문내용
스트리아에 대한 생제르망 조약이 맺어졌다. 오스트리아는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폴란드의 독립을 인정하고, 이들 나라에 오스트리아 영토의 대부분을 양도해야 했다. 오스트리아는 또한 트리에스테, 남부 티롤, 이스트리아 반도를 이탈리아에 양도해야 했다.
불가리아는 1919년 11월 뇌이 조약을 통해 발칸 전쟁에서 획득한 영토 대부분을 잃었으며, 터키는 1920년 8월 세브르 조약을 맺었으나 터키 민족주의 혁명 정부의 저지 운동으로 로잔느에서 새로운 조약이 맺어졌다. 이들 조약과 제정 러시아의 붕괴로 인하여 유럽의 지도가 크게 달라졌다.
베르사유 조약을 비롯한 이들 조약에 의해 성립된 전후 유럽 사회를 베르사유 체제라 하는데, 이는 국제 협조와 영구 평화의 정착이라는 기본 정신을 제시하고 국제연맹을 창설하였다. 국제연맹은 국제 평화의 확보와 국제적인 협력을 도모하여 군비축소, 안전보장,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조약의 등록, 인도사업 등을 그 임무로 내걸고 있었다. 그러나 집단적인 안전 보장 체제로서의 연맹은 침략의 경우에는 경제봉쇄 정도의 제재법규밖에 지닐 수 없었고 그런 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유효한 침략방지책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소비에트 러시아를 배제시키고 미국 역시 국제연맹에 가입하지 않는 등 국제연맹은 시작부터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전쟁의 결과
전쟁은 끔찍한 결과를 불러왔다. 양측에서 850만 명이 사망했고, 사상자의 두 배 이상의 부상자가 나왔다. 독일은 6백만의 인명을 상실하였고, 프랑스 역시 비슷한 손실을 입었다. 이러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통해 얻은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베르사유 조약의 가공할 배상금 청구와 기타 차별 정책으로 인하여 새로운 전쟁의 싹은 벌써 싹트고 있었다.
하지만, 군사적 대결이라는 측면에서는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다른 방면에서는 큰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로 중앙 집중적 계획과 조종의 효율성에 대한 믿음을 강화시켜주었다. 모든 주요 교전국 정부들은 전쟁 수행을 위해 산업 생산을 규제하고 수/출입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하였으며, 민간 인력과 군 병력의 효과적인 사용을 통해 자국 경제를 운영해야 했기 때문이다. 둘째로 전쟁은 세계 무역의 판도를 바꿔놓았다. 유럽이 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인도, 남아메리카의 자본가들은 자국의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유럽은 이전에 확보했던 시장의 상당수를 상실하였으며, 전쟁 동안 미국으로부터 상당액의 돈을 빌렸기 때문에 미국의 채무국으로 전락했다. 셋째로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이 일어났다. 전쟁 수행을 위해 각국 정부는 수입 이상으로 지출하는 적자재정정책에 의존했고, 지폐를 남발하여 상품가격의 인상을 초래했다. 인플레이션은 중간계급에 큰 타격을 가했다. 넷째로 여성의 인권이 상승되었다. 전쟁기간 동안 큰 노동력을 제공한 여성의 권리가 늘어나 1918년 영국, 1920년 미국에서 여성에게도 참정권이 주어졌다.
하지만 전후의 세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전쟁의 불씨가 여전히 안에서는 타오르고 있었다는 것이다.
불가리아는 1919년 11월 뇌이 조약을 통해 발칸 전쟁에서 획득한 영토 대부분을 잃었으며, 터키는 1920년 8월 세브르 조약을 맺었으나 터키 민족주의 혁명 정부의 저지 운동으로 로잔느에서 새로운 조약이 맺어졌다. 이들 조약과 제정 러시아의 붕괴로 인하여 유럽의 지도가 크게 달라졌다.
베르사유 조약을 비롯한 이들 조약에 의해 성립된 전후 유럽 사회를 베르사유 체제라 하는데, 이는 국제 협조와 영구 평화의 정착이라는 기본 정신을 제시하고 국제연맹을 창설하였다. 국제연맹은 국제 평화의 확보와 국제적인 협력을 도모하여 군비축소, 안전보장,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조약의 등록, 인도사업 등을 그 임무로 내걸고 있었다. 그러나 집단적인 안전 보장 체제로서의 연맹은 침략의 경우에는 경제봉쇄 정도의 제재법규밖에 지닐 수 없었고 그런 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유효한 침략방지책이라고는 볼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소비에트 러시아를 배제시키고 미국 역시 국제연맹에 가입하지 않는 등 국제연맹은 시작부터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전쟁의 결과
전쟁은 끔찍한 결과를 불러왔다. 양측에서 850만 명이 사망했고, 사상자의 두 배 이상의 부상자가 나왔다. 독일은 6백만의 인명을 상실하였고, 프랑스 역시 비슷한 손실을 입었다. 이러한 희생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통해 얻은 것은 아무 것도 없었다. 베르사유 조약의 가공할 배상금 청구와 기타 차별 정책으로 인하여 새로운 전쟁의 싹은 벌써 싹트고 있었다.
하지만, 군사적 대결이라는 측면에서는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나 다른 방면에서는 큰 변화를 가져왔다. 첫째로 중앙 집중적 계획과 조종의 효율성에 대한 믿음을 강화시켜주었다. 모든 주요 교전국 정부들은 전쟁 수행을 위해 산업 생산을 규제하고 수/출입에 대한 엄격한 통제를 하였으며, 민간 인력과 군 병력의 효과적인 사용을 통해 자국 경제를 운영해야 했기 때문이다. 둘째로 전쟁은 세계 무역의 판도를 바꿔놓았다. 유럽이 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인도, 남아메리카의 자본가들은 자국의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유럽은 이전에 확보했던 시장의 상당수를 상실하였으며, 전쟁 동안 미국으로부터 상당액의 돈을 빌렸기 때문에 미국의 채무국으로 전락했다. 셋째로 전 세계적 인플레이션이 일어났다. 전쟁 수행을 위해 각국 정부는 수입 이상으로 지출하는 적자재정정책에 의존했고, 지폐를 남발하여 상품가격의 인상을 초래했다. 인플레이션은 중간계급에 큰 타격을 가했다. 넷째로 여성의 인권이 상승되었다. 전쟁기간 동안 큰 노동력을 제공한 여성의 권리가 늘어나 1918년 영국, 1920년 미국에서 여성에게도 참정권이 주어졌다.
하지만 전후의 세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전쟁의 불씨가 여전히 안에서는 타오르고 있었다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쟁속의 언론) 세계대전에서의 언론과 언론인의 모습
제2차 세계대전과 얄타체제의 성립 및 작성소감
2차 세계대전
2차 세계대전의 독일의 경제/기술분야가 항공력 건설에 미친 영향
2차세계대전 이후 미술양식.
제2차 세계대전 요약 핵심 레포트
제5장 전체주의의 대두와 제2차 세계대전
2차세계대전사
[학습지도안] 중2) 2. 제2차 세계대전과 전후의 세계
항공기 발달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비행기계의 꿈, 기구와 비행선, 최초의 동력비행, 세...
[동서 문화의 이해] 전쟁이 패션에 미치는 영향 (제1·2차 세계대전, 미국과 베트남의 월남전,...
[제2차 세계대전 전개과정과 결과분석] 2차세계대전 발발원인과 성격,전개과정분석및 2차세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