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5장 전체주의의 대두와 제2차 세계대전
1. 전체주의의 대두
2. 전체주의국가의 침략과 추축의 성립
3.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연합국의 승리
1. 전체주의의 대두
2. 전체주의국가의 침략과 추축의 성립
3.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연합국의 승리
본문내용
주, 대만 등의 중국 귀속과 한국의 독립, 일본의 무조건 항복 등>.
- 1943년 12월 루즈벨트, 스탈린, 처칠이 테헤란 회담→ 제2전선을 구체화시킴→ 1944년 6월 6일 아이젠하워의 미-영군이 노르망디 상륙, 8월 말 파리 해방, 독일은 동서의 협공을 받음. 히틀러 자살→ 5월 1일 소련군이 베를린 입성. 1945년 5월 7일 독일은 무조건 항복⇒ 유럽에서의 전쟁 종결.
- 1945년 2월 얄타회담 개최→ 독일의 무조건 항복 확인<비밀협정으로 제정러시아 때의 영토와 권익 회복 조건 하에 소련의 대일참전 결정, 독일 분할 점령 원칙 결정>,
- 1944년 6월 사이판이 함락, 1945년 초 맥아더 장군 하의 미군이 필리핀 본토 상륙. 일본 본토에 대한 공습 격심→ 1945년 7월 미-영-소의 수뇌 포츠담회의<일본의 무조건항복 권고 등 결정>→ 일본이 무시하자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탄 투하. 8월 8일 소련군 참전, 9일 나가사키에 다시 원자탄 투하→ 연합국에 무조건항복⇒ 동원병력 1억1천만, 총사상자 5천만<소련군과 독일군이 각기 700만 명, 350만 명 사망, 유대인 600만 명 처형>, 전비 1조 1,540억불이라는 역사상 최대규모의 전쟁 종결.
⇒ 제2차 세계대전: 동서의 침략적이고 군국주의적인 전체주의 국가들의 침략에 대항하여 자유민주주의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전쟁 성격<전체주의의 완전한 패배>. 그러나 도중에 자유민주주의와는 완전히 대립되는 공산독재체제인 소련이 자유민주주 진영의 일원으로 싸우게 되었다는 사실이 전후 처리나 새로운 평화수립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
- 1943년 12월 루즈벨트, 스탈린, 처칠이 테헤란 회담→ 제2전선을 구체화시킴→ 1944년 6월 6일 아이젠하워의 미-영군이 노르망디 상륙, 8월 말 파리 해방, 독일은 동서의 협공을 받음. 히틀러 자살→ 5월 1일 소련군이 베를린 입성. 1945년 5월 7일 독일은 무조건 항복⇒ 유럽에서의 전쟁 종결.
- 1945년 2월 얄타회담 개최→ 독일의 무조건 항복 확인<비밀협정으로 제정러시아 때의 영토와 권익 회복 조건 하에 소련의 대일참전 결정, 독일 분할 점령 원칙 결정>,
- 1944년 6월 사이판이 함락, 1945년 초 맥아더 장군 하의 미군이 필리핀 본토 상륙. 일본 본토에 대한 공습 격심→ 1945년 7월 미-영-소의 수뇌 포츠담회의<일본의 무조건항복 권고 등 결정>→ 일본이 무시하자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원자탄 투하. 8월 8일 소련군 참전, 9일 나가사키에 다시 원자탄 투하→ 연합국에 무조건항복⇒ 동원병력 1억1천만, 총사상자 5천만<소련군과 독일군이 각기 700만 명, 350만 명 사망, 유대인 600만 명 처형>, 전비 1조 1,540억불이라는 역사상 최대규모의 전쟁 종결.
⇒ 제2차 세계대전: 동서의 침략적이고 군국주의적인 전체주의 국가들의 침략에 대항하여 자유민주주의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전쟁 성격<전체주의의 완전한 패배>. 그러나 도중에 자유민주주의와는 완전히 대립되는 공산독재체제인 소련이 자유민주주 진영의 일원으로 싸우게 되었다는 사실이 전후 처리나 새로운 평화수립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