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탈리즘이란 - <마지막 황제>와 오리엔탈리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오리탈리즘이란?

마지막 황제를 선택한 동기
<마지막 황제>와 오리엔탈리즘
이제 장면 별로 하나 분석 해보자.

본문내용

는 자전거를 타고 깔끔한 수트를 입고 등장을 한다. 그것이 꼭 우월주의라고 단정 지을 수 없지만 뒤로 가면 더 심하다. 서양인과 동양인의 키 차이를 너무 비약적으로 크게 한다거나 개인교사에게 완전히 순종을 하고 또한 돈 몇 푼 얻으러 머리를 조아리는 장면은 너무나도 동양인의 처지를 비하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scene6
<조지워싱턴을 멋진 사람이 라고 말 했는데 황제가 레닌처럼 이라 묻자 아니라고 한다>
황제가 개인교사와 처음 수업을 가졌을 때 “폐하, 저희 나라에서는 먼저 시험을 치릅니다”라고 말을 한다. 이것은 서양은 황제라도 합리적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의미하는 것 같은 느낌이다. 동양은 합리적이지 못 한 것으로 인식되기 쉬운 장면이다. 또 황제가 워싱턴에 대해 모른다고 하자 워싱턴은 위대한 사람이라고 알려주는 장면이 있다. 그러자 황제는 레닌과 같은 사람이냐고 물어보는데 아니라고 레닌보다 위대하다는 것을 은연중에 이야기 한다. 결국 자본주의에 대한 맹신과 사회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scene7
<성문을 열라고 하지만 중국인 신하들은 열어주지 않는다>
서양인 가정교사가 황제에게 성문을 나가게끔 일깨워주는 장면이 영화 전반에 걸쳐 깔려 있다. 황제는 문명의 상징인 ‘자전거’를 타고 자금성 밖으로의 탈출을 시도 한다. 하지만 신하들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결국 무지한 동양인들에 의해 스스로 발전하고 계몽이 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장면인 것 같다. 오직 서양인 교사에 의해 황제가 자아를 성장시킬 수밖에 없다는 느낌을 주었다. 이것은 서양의 중국진출이 정당하고 그들을 위한 것이라고 착각하게 만드는 대목이 아닐 수 없다.
scene8
황제의 주치의가 서양인이라는 점도 의아하다. 동양의 의학도 한의학 등을 통해 인정을 받고 있고 그 중 중국의 의학은 대단히 높은 수준이었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동양의 의사는 없고 서양인 의사가 안경을 권하는 장면은 서양의 의학의 수준이 높다고만 말하고 있는 것 같다. 또한 황제제도에 대해 말을 하는 장면도 이어지는데 그 불합리한 제도를 존속해야 되냐고 서양인이 떠들어 대는데 그렇담 영국은 지금 왜 불합리한 제도에 동참하는지 묻고 싶다. 영국 왕자의 결혼식은 왜 화려하고 사치스러웠는지에 대해 의문을 안 가질 수가 없다.
scene9
옥스퍼드에 가고 싶다고 하는 황제를 보고 있자니 우리나라의 학생들이 생각난다. 무조건 외국에 나가고 싶고 우리나라는 지옥인거 마냥 하는 착오. 우리가 노력하지도 않고 지금 한국의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자신의 상태를 사회구조에서만 찾고자 하고 있지는 않은가 하고 말이다. 사회구조를 어떻게 하면 바꿀 수 있는지 우리가 할 일이 다른 세상으로의 도망이 아닌 여기서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바꾸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생각이 조금은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무튼 영화로 들어와서 옥스퍼드는 천국이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옥스퍼드만 가면, 즉 서양만 가면 자‘신의 삶이 바뀔 것이다’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7.06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5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