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수탈’ 인가 ‘개발’ 인가? - 논쟁의 배경
Ⅱ. ‘식민지 근대화론’
Ⅲ. ‘수탈’ 인가 ‘개발’ 인가?
Ⅳ. 마무리
Ⅱ. ‘식민지 근대화론’
Ⅲ. ‘수탈’ 인가 ‘개발’ 인가?
Ⅳ. 마무리
본문내용
살펴보자. 식민지 시대의 문제점이라고 한다면, 식민지시대를 수탈로만 보는 것은 민족감정의 과잉으로 역사의 실상을 왜곡하는 비과학적인 연구방법이라고 비판되어지고 있다. 식민지라는 상황이 수탈만 있는 것이 아니라, 개발이라는 측면도 있고, 따라서 그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일제의 지배 역시 한국사회의 내재적 발전 수준에 의해 일면 규정되지 않을 수 없으며, 일제가 제 마음대로 지배하고 수탈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항상 민족운동의 요소가 잠재해 있어서, 대다수는 저항하면서도 주어진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자기 발전을 도모했다는 식민지 근대화론의 지적은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한상인.「‘식민지 근대화론’ 논쟁의 제 문제와 전망」논문집 Vol. 16 No. 1. 1999. pp.1487-1489
Ⅳ. 마무리
지금까지 식민지 시대에 관한 두 가지의 평가, 근대화론과 수탈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역사학계에서 식민지 시대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라는 연구의 과제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면서, 식민지 시대에 관하여 두 가지의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 참 고 문 헌 -
한상인.「‘식민지 근대화론’ 논쟁의 제 문제와 전망」논문집 Vol. 16 No. 1. 1999.
허영란.「일제시기 상업의 근대성과 식민지성」.『역사비평』1994-봄
안병직.「한국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창작과 비평』98. 1997-겨울
박섭. 「한국 근대의 농업변동」
박환, 「20세기 한국근현대사의 쟁점 : 식민지 근대화론」1999.
Ⅳ. 마무리
지금까지 식민지 시대에 관한 두 가지의 평가, 근대화론과 수탈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향후 역사학계에서 식민지 시대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라는 연구의 과제가 남아있기는 하지만, 개인적으로 공부를 하면서, 식민지 시대에 관하여 두 가지의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 참 고 문 헌 -
한상인.「‘식민지 근대화론’ 논쟁의 제 문제와 전망」논문집 Vol. 16 No. 1. 1999.
허영란.「일제시기 상업의 근대성과 식민지성」.『역사비평』1994-봄
안병직.「한국근현대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창작과 비평』98. 1997-겨울
박섭. 「한국 근대의 농업변동」
박환, 「20세기 한국근현대사의 쟁점 : 식민지 근대화론」1999.
추천자료
일제시대의 농민운동과 노동운동
[3 1운동][3 1운동 배경][3 1운동 전개][3 1운동 진전][각계의 3 1운동 참여][3 1운동과 일제...
[전후 일본][보상문제][일제잔재][사회과학구조][자본주의]전후 일본의 보상문제, 전후 일본...
[서평]『식민지의 경제 변동-한국과 인도』
일제강점기의 교육
일제말기(일제시대말기) 국제정세, 시대상황, 일제말기(일제시대말기) 내선일체론, 빈민주거...
[일제강점기운동, 민족해방운동, 항일민족운동, 독립운동]일제강점기운동과 민족해방운동, 일...
일제시대운동(일제강점기운동)과 독립운동기지건설, 6.10만세운동, 일제시대운동(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운동사연구]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과 운동사연구, 일제강점기 ...
우리에게 민족이란 무엇인가 (식민지시기 민족해방운동의 전개와 성격)
한국 근현대사의 이해 내가 식민지 시대에 살았다면
[한국민족운동사] 일제하 조선의 노동운동 - 1910년대 노동운동, 일제의 경제정책과 노동자 ...
[현대의 서양문화 D형] 동일한 사건이나 경험에 대해 식민지/주변부의 시각을 통해 서양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