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 고관절 치환술 (THRA) CAS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중독증, 고혈압, 마취환자, 출혈위험환자, 고령자, 외과적 수술 후
Ⅲ. 간호진단에 따른 계획, 수행, 평가
1. 수술과 관련된 운동장애
2. 수술 후 예후와 관련된 불안
3. 통증, 불안과 관련된 수면장애
1. 수술과 관련된 운동장애
사정
S : “수술한 다리를 겁이 나서 움직일 수가 없네”
“이거 움직이다가 관절이 빠질까봐 걷지를 못하겠네”
O : 침대에서 벗어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항상 누워 있거나 앉아 있으려 하고 서 있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목표
장기목표 : 대상자는 불안감 없이 움직일 수 있으며 근육쇠약이 없다.
단기목표 : 대상자는 침대에서 나와 걸어 다닐 수 있다.
계획
1. 대상자에게 수술 후 경과에 대해 설명한다.
2. 대상자에게 수술 후 금기된 자세나 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설명한다.
3. 환자가 자주 움직이도록 교육한다.
4. 베개 등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적절한 체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5. 매시간 다리운동을 하도록 교육 한다.
6. 능동적인 운동이 불가할 경우에는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7. 가족들에게 대상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8. 활동수준을 증가시켜준다.
9. 대상자의 영양수준을 높여준다.
수행
1. 대상자에게 다리를 꼬는 행동, 고관절을 90도 이상 굽히는 행동, 수술한 쪽으로 돌아 눕는 행동 등 고관절 수술 후의 금기행동에 대해 설명해드렸다.
2. 움직이지 않고 한 자세로 누워있을 경우 욕창위험성이 있으니 가능한 한 많이 움직이도록 권장하였다.
3. 보조기구, 배게를 이용해 무의식적으로나 잠들었을 때 다리를 비틀거나 꼬지 않도록 체위유지를 시켜주었다.
4. 매시간 누워서 할 수 있는 다리운동을 격려해 근육의 약화를 방지 하였다.
5. 부동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혈전증 예방을 위해 탄력스타킹을 신게 하였다.
6. 매시간 끼니를 잘 챙겨먹도록 권장하였다.
평가
침대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관찰되며 침대에 기대 서있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관찰 2주째 침대에서 나와 기구를 사용하여 병실 안을 천천히 돌아다니는 모습이 관찰 되었다.
2. 수술 후 예후와 관련된 불안
사정
S : “앞으로 이래서 제대로 걸을 수 있을라나 모르겠네”
“평생 절뚝거리면서 살아야 되는거 아닌가”
O : 대상자가 수술이 잘 되지 않았을까봐 불안해 하는 모습을 보인다.
목표
장기 목표 : 대상자는 고관절 치환술의 예후에 대해 이해하고 불안이 사라진다.
단기 목표 : 대상자는 불안한 마음 없이 생활할 수 있다.
계획
1. 대상자가 어떤 것에 대해 불안이 있는지 사정한다.
2. 고관절 전치환술환자의 성공사례에 대해 설명한다.
3. 대상자의 예후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사정한다.
4.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다른 곳으로 관심을 돌린다.
5. 대상자가 시술받은 수술에 대해 설명해준다.
6. 대상자가 이용할 수 있는 보조기에 대해 설명해준다.
수행
1. 대상자에게 시행된 고관절 전치환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드렸다.
2. 대상자에게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고도 우승을 차지한 골프선수나 다른 병실에 성공적으로 시술받고 퇴원한 환자에 대해 설명해 드렸다.
3. 수술 후 금기된 사항에 대해 설명하고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행동에 유의 하도록 하였다.
4.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야구 이야기를 하거나 바로 옆 대상자와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유도 하였다.
5. 대상자는 수술부위 이외의 다른 곳에도 통증이 있어 앞으로 예후에 대해 많이 불안해 하였다.
평가
수술부위 이외의 통증에 대해 불안이 사라지지는 않았지만 바로 옆의 대상자와 자주 이야기를 나누며 병원생활에 적응하시는 모습이 보였다.
3. 통증, 불안과 관련된 수면장애
사정
S : “수술한데는 괜찮은데 무릎이 아파서 잘 자지를 못하겠네”
“생각이 많아지니깐 잠도 잘 안오네”
O : 대상자는 아침에 항상 피곤한 얼굴을 하고 있다.
대상자는 낮에 자는 시간이 많다.
목표
장기 목표 : 대상자의 수면장애 요소가 제거된다.
단기 목표 : 통증이 경감되고 불안이 줄어들어 쉽게 수면에 들 수 있다.
계획
1.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2. 대상자의 수면장애 요인을 사정한다.
3. 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수면양상을 비교한다.
4. 낮에 잠들어 있는 시간을 줄이고 밤에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5. 수면에 취했을 때 충분한 수면을 취할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6. 매일 수면증진요법의 효과를 사정한다.
7. 적절한 활동을 지지해준다.
8. 수면에 방해되는 음식을 먹지 않도록 한다.
수행
1. 수술 후 침상에 있는 시간이 많아 낮에는 최소한의 낮잠을 자도록 권장하였다.
2. 가족들에게 대상자가 잠이 든 후에는 깊은 수면에 들 수 있도록 병실 문을 닫아주고 최대한 안락한 환경을 만들어 줄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3. 취침전에는 음식물을 먹지 않도록 하였다.
4. 수면에 방해가 되는 커피같은 카페인이 든 음식은 섭취하지 않도록 하였다.
5. 적절한 활동을지지 해줌으로써 편히 잠들 수 있도록 해주었다.
6. 앞으로 건강해질수 있다고 정서적으로 지지해 줌으로써 불안을 덜어주었다.
평가
대상자가 좀 더 쉽게 수면에 들 수 있다고 표현하였다.
낮에 잠이 든 모습이 예전보다 줄어들었다.
실습소감
경대병원에서 병동에서 실습은 처음이라 많이 긴장했었는데 선생님들이 친절히 가르쳐 주셔
서 많이 배울 수 있었다. 정형외과라 다른 내과적 문제가 있는 환자들이 적어서 간호가 쉬
울 것 같았지만 골절 환자나 부동환자들이 많아 좀 더 세심한 배려가 필요했고 또 다른 곳
에서는 볼 수 없었던 CPM 운동기계들이나 워킹바나같은 특이한 보조기구들도 많이 볼 수
있어서 좋았다. OP환자가 많았던 만큼 수술 후 간호나 수술 전 교육에 대해서도 많이 배울
수 있었다. 학생이 혼자라 바쁘게 일했던 만큼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이번 정형외과
실습이 앞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참고 문헌
1. http://www.kimsonline.co.kr/ 킴스온라인
2. http://www.oskorea.com/ 인공관절과 관절염
3. http://www.naver.com/
4. 성인간호학 현문사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0.2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8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