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어휘
2. 음운
3. 문법
2. 음운
3. 문법
본문내용
가 직접 체언에 붙을 수 있다. 이 형식은 중세 한국어에서도 볼 수 있는 오래된 특징이다.
이건 니 책가? (판단 의문문)
이건 누구 책고? (의문사 의문문)
* 명령형, 청유형
명령형은 아래와 같은 형식들이다. ‘-거라’는 서울 방언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형식이지만 경상도 방언에서는 자주 쓰인다.
-(으)시이소, -(으)이소 (합쇼체)
-(아/어)라~-거라 (해라체)
청유형의 형식들은 다음과 같다.
-(으)입시더 (합쇼체)
-자 (해라체)
* 부정형
불가능을 나타내는 서울 방언의 부정 부사 ‘못’에 해당되는 것으로 동남 방언에는 ‘몬’이 있다.
몬 하다, 몬 오다
* 인용형
인용형을 만드는 어미는 ‘-꼬’(서울 방언: -고)이다. ‘-꼬’ 직후에 용언 ‘하다’가 올 때는 융합되어 ‘-카다’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머라꼬예? (서울 방언: 뭐라고요?)
머라 캣노? (서울 방언: 뭐라고 했냐?)
* 관형형
관형형 중 과거형으로서 선어말어미 ‘-앗-/-엇-’(서울 방언의 ‘-았-/-었-’에 해당)에 형재 관형형 ‘-넌’(서울 방언의 ‘-는’에 해당)이 붙은 ‘-앗넌/-엇넌’이란 형식이 있다.
밥 무웃넌 사람 (서울 방언: 밥을 먹은 사람)
이건 니 책가? (판단 의문문)
이건 누구 책고? (의문사 의문문)
* 명령형, 청유형
명령형은 아래와 같은 형식들이다. ‘-거라’는 서울 방언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형식이지만 경상도 방언에서는 자주 쓰인다.
-(으)시이소, -(으)이소 (합쇼체)
-(아/어)라~-거라 (해라체)
청유형의 형식들은 다음과 같다.
-(으)입시더 (합쇼체)
-자 (해라체)
* 부정형
불가능을 나타내는 서울 방언의 부정 부사 ‘못’에 해당되는 것으로 동남 방언에는 ‘몬’이 있다.
몬 하다, 몬 오다
* 인용형
인용형을 만드는 어미는 ‘-꼬’(서울 방언: -고)이다. ‘-꼬’ 직후에 용언 ‘하다’가 올 때는 융합되어 ‘-카다’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머라꼬예? (서울 방언: 뭐라고요?)
머라 캣노? (서울 방언: 뭐라고 했냐?)
* 관형형
관형형 중 과거형으로서 선어말어미 ‘-앗-/-엇-’(서울 방언의 ‘-았-/-었-’에 해당)에 형재 관형형 ‘-넌’(서울 방언의 ‘-는’에 해당)이 붙은 ‘-앗넌/-엇넌’이란 형식이 있다.
밥 무웃넌 사람 (서울 방언: 밥을 먹은 사람)
추천자료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표준어][지방사투리]사투리(방언)의 사회인식과 사투리(방언)의 활용가치, 표...
[사투리][방언][표준어][지방사투리]표준어와 사투리(방언), 사투리(방언) 분화와 연구, 사투...
[사투리][방언][지역어][지방사투리][표준어][사투리(방언) 사례]사투리(방언)의 연구 동향, ...
[사투리][방언][지역어][지역방언]사투리(방언)의 연구동향, 사투리(방언)의 분화, 사투리(방...
[사투리][방언][지역어][표준어][표준말][방언학][지역사투리][지역방언]지역별 사투리(방언)...
방언(사투리, 지역어) 정의와 종류, 방언(사투리, 지역어)에 대한 태도, 방언(사투리, 지역어...
강원도 방언(사투리,지역어), 함경도 방언(사투리,지역어), 경기도 방언(사투리,지역어), 제...
전라도 사투리(방언,지역어) 사례, 평안도 사투리(방언,지역어) 사례, 황해도 사투리(방언,지...
사투리(방언, 지역어) 특성, 사투리(방언, 지역어) 분화, 사투리(방언, 지역어) 수집, 사투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