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맞춤법과표준어 국2
목차
1. 다음 각 예들의 묶음은 동일한 범주의 표기 기준/규칙의 적용을 받는 것들이다. 제시된 모든 예들에 대해 어떤 표기 기준/규칙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하나하나 설명하시오.(모든 예들에 대해 빠짐없이 설명해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표준어(표준말)의 정의, 표준어(표준말)의 특징, 표준어(표준말)의 역사, 표준어(표준말)의 기준, 표준어(표준말)의 음성모음화, 표준어(표준말)와 한자어, 향후 표준어(표준말)의 정책 과제 분석
Ⅰ. 표준어(표준말)의 정의
Ⅱ. 표준어(표준말)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되고, 1985년 다시 학술원 산하의 국어연구소에 재검토, 보완하도록 하였다. 국어연구소는 이를 재검토하여 1987년 “표준어 규정안”을 마련하여 문교부에 보고하였다 . 이에 문교부는 국어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이를 확정하고, 마침내 1988년 1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향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1.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를 지양해야 한다
남북한은 다른 민족이 아니다. 같은 민족이다. 이들의 언어가 이질화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남북이 분단되어 왕래가 자유롭지 못한가 하면, 표준어 기준을 달리 하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하게 주는 단어라서 비표준어로 처리한 예가 다수 포함돼 있다. 개지, 곰탕, 곱수머리, 배챗괘기, 솔개미, 키장다리 따위가 그것이다.
현재 방언형으로 처리되고 있는 내음, 나래 따위는 절대 냄새, 날개 따위보다 더 널리 쓰이지는 않지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