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린 예술프로젝트와 연관해서 생각해 보면 미술은 고리 타분한 교실에서 듣고 써가며 공부하는 것 보다는
이렇게 가까이 예술이라는 것을 접하면서 몸으로 느끼고 거기서 느끼는 궁금증을 공부로서
풀어가며 조금씩 가까워 지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어느 정도 부지런을 떨어가며 문화 축제 라 던지 전시회도 찾아다니고
한 번에 모든 걸 이해하려는 건 어리석은 짓 인거 같다
아주 옛날에서부터 행해져 왔고 이어져온 예술을 기껏 1달 1년 이란 시간으로
100% 이해하려는 건 아마도 누워서 떡 먹으려는 심산이 아닐까?
우리의 가이드를 맡았던 분이 설명하면서 가르쳐 주었던 어떤 건물에 숨어 있었던
고양이 그림이다 그분이 애기 해주지 않았다면 못보고 지나쳤던 고양이그림이다
이런 찾아보는 재미도 느낄 수 있어서 재미 있었다
평소 그래피티의 매력을 조금은 느끼고 있던 터라 방천시장에서 볼 수 있어서 너무 반가웠고 안구 정화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던 곳이다
셔터 문을 내리면 더 멋진 그래피티가 있는데 이번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를 기린 노무현
그래피티가 그려있어서 참 인상 깊었다 물러 이곳을 직접 꾸미고 우리를 이끌고 충실히 가이드 역할을 하신 분의 설명도 곁들여져 더더욱 좋았다
우리의 삶 가까이에서 숨 쉬고 있는 거리 예술들 위 그림들을 보면 단순히 그림이 액자 속에서 들어있어야 그것이 작품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 길거리 벽에 그려진 작품들을 보면서 느낄 수 있는 풍경 이었다
이번 방천시장을 둘러 보며 가장 가지고 싶었던 물건이다 고가이어서라기보다
은점토 공예를 배워 보고 싶었는데 여기서 이런걸 보게 되니 더 관심이 갔다
거기서 관리를 하던 학생에게 은 점토는 어디서 사는 거냐 이거는 어떻게 만드느냐 궁금
한 걸 많이 물어서 약간은 귀찬게 했는데 친절히 답해줘서 고맙기도 했다
이렇게 이번 방천시장 “예술 프로젝트”를 둘러보고 과연 미술이 무엇이냐에 대한 답을 찾기란 억지스러운 면이 있지만 조금이나마 이해를 하고자 노력하자면
나만의 정의로는..
난 미술이란 우리 생활양식 혹은 의식주 속에서 함께 공감하고 주고받으며 살아 숨 쉬어야만 그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통용되고 받아 들여져 미술이란 이름이 붙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고 또 어느 이름 난 작가의 작품만이 미술이다 라는 편협한 생각을 가지고 미술 혹은 예술을 대한다면 모든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현대에선 재대로 된 미술을 느낄 수 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해 본다
끝으로 이번 미술의 이해란 수업을 들으며 서양의 미술이나 동양의 미술이나 공통 된
한 가지를 알게되서 참 교수님께 고마웠다
그것은 참 단순하고 당연한 거 같기도 하지만 평상시 느끼지 못했던 바로 “미술 혹은 예술은 그시대의 정신이나 생활양식 혹은 작가의 사상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 난 미술을 이해 한다는 것은 그 작품이 만들어진 시대의 정신이나 작가의 사상을 공유하는 한 가지 통로가 된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가깝지만 멀게만 느껴졌던 미술에 조금은 가까이 다가가게 되어 뜻 깊은 계절학기 수업이었던 것 같다
이렇게 가까이 예술이라는 것을 접하면서 몸으로 느끼고 거기서 느끼는 궁금증을 공부로서
풀어가며 조금씩 가까워 지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무래도 어느 정도 부지런을 떨어가며 문화 축제 라 던지 전시회도 찾아다니고
한 번에 모든 걸 이해하려는 건 어리석은 짓 인거 같다
아주 옛날에서부터 행해져 왔고 이어져온 예술을 기껏 1달 1년 이란 시간으로
100% 이해하려는 건 아마도 누워서 떡 먹으려는 심산이 아닐까?
우리의 가이드를 맡았던 분이 설명하면서 가르쳐 주었던 어떤 건물에 숨어 있었던
고양이 그림이다 그분이 애기 해주지 않았다면 못보고 지나쳤던 고양이그림이다
이런 찾아보는 재미도 느낄 수 있어서 재미 있었다
평소 그래피티의 매력을 조금은 느끼고 있던 터라 방천시장에서 볼 수 있어서 너무 반가웠고 안구 정화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던 곳이다
셔터 문을 내리면 더 멋진 그래피티가 있는데 이번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를 기린 노무현
그래피티가 그려있어서 참 인상 깊었다 물러 이곳을 직접 꾸미고 우리를 이끌고 충실히 가이드 역할을 하신 분의 설명도 곁들여져 더더욱 좋았다
우리의 삶 가까이에서 숨 쉬고 있는 거리 예술들 위 그림들을 보면 단순히 그림이 액자 속에서 들어있어야 그것이 작품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 길거리 벽에 그려진 작품들을 보면서 느낄 수 있는 풍경 이었다
이번 방천시장을 둘러 보며 가장 가지고 싶었던 물건이다 고가이어서라기보다
은점토 공예를 배워 보고 싶었는데 여기서 이런걸 보게 되니 더 관심이 갔다
거기서 관리를 하던 학생에게 은 점토는 어디서 사는 거냐 이거는 어떻게 만드느냐 궁금
한 걸 많이 물어서 약간은 귀찬게 했는데 친절히 답해줘서 고맙기도 했다
이렇게 이번 방천시장 “예술 프로젝트”를 둘러보고 과연 미술이 무엇이냐에 대한 답을 찾기란 억지스러운 면이 있지만 조금이나마 이해를 하고자 노력하자면
나만의 정의로는..
난 미술이란 우리 생활양식 혹은 의식주 속에서 함께 공감하고 주고받으며 살아 숨 쉬어야만 그것이 사람들 사이에서 통용되고 받아 들여져 미술이란 이름이 붙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보고 또 어느 이름 난 작가의 작품만이 미술이다 라는 편협한 생각을 가지고 미술 혹은 예술을 대한다면 모든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현대에선 재대로 된 미술을 느낄 수 가 없을 것 같다는 생각도 해 본다
끝으로 이번 미술의 이해란 수업을 들으며 서양의 미술이나 동양의 미술이나 공통 된
한 가지를 알게되서 참 교수님께 고마웠다
그것은 참 단순하고 당연한 거 같기도 하지만 평상시 느끼지 못했던 바로 “미술 혹은 예술은 그시대의 정신이나 생활양식 혹은 작가의 사상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통해 난 미술을 이해 한다는 것은 그 작품이 만들어진 시대의 정신이나 작가의 사상을 공유하는 한 가지 통로가 된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가깝지만 멀게만 느껴졌던 미술에 조금은 가까이 다가가게 되어 뜻 깊은 계절학기 수업이었던 것 같다
추천자료
[왕의춤] 왕의 춤 영화 감상문 (예술과 권력의 관계?)
공연예술비평 - 연극 트랜스십이야 감상문
수업의 예술, 감상문입니다^^!!
[독서감상문] 토마스 만의 [토니오 크뢰거]로 본 시민과 예술상, 그리고 해소
극예술의 이해 뮤지컬 블루사이공 감상문
황순원 소설 독 짓는 늙은이의 시대적 배경, 황순원 소설 독 짓는 늙은이의 작가, 황순원 소...
[취미와예술 B형] 미술전시회를 관람한 후 관람기를 쓰시오. 관람기에는 전시의 개요(A4용지 ...
『더 스토닝 (The Stoning Of Soraya M.)』 [영화감상문] (kcu 이슬람문화와 예술 과제)
[스페인 문화와 예술] 스페인 국토 회복 전쟁의 과정과 영화 ‘엘 시드(El Cid)’ 감상문
연극 “메카, 그 해 따뜻한 겨울” 감상문 [공연예술의 이해]
[취미와예술 B] 교재 7장 [취미로서의 미술 감상]의 내용을 참조하시면서 미술전시회를 관람...
2015년 2학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취미와 예술 2학년 B형 모딜리아니 몽파르나스의 전설 전시...
[취미와예술 B형] 독립영화 한 편을 감상하신 후 감상문을 써 주십시오(님아 그강을 건너지마오)
방통대 중간과제 취미와 예술 B형 독립영화 ‘봄․여름․가을․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