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춤서서 몸통지르기
2.아래막기
3.몸통반대지르기
4.얼굴반대지르기
5.얼굴막기
6.몸통 거들어 막기
7.앞으로 발 올리기
8.앞차기
9.옆으로 발 올리기
10.옆차기
11.한 손날 옆막기
12.엎은 손날 몸통치기
13.손날몸통막기
14.몸통바로지르기
2.아래막기
3.몸통반대지르기
4.얼굴반대지르기
5.얼굴막기
6.몸통 거들어 막기
7.앞으로 발 올리기
8.앞차기
9.옆으로 발 올리기
10.옆차기
11.한 손날 옆막기
12.엎은 손날 몸통치기
13.손날몸통막기
14.몸통바로지르기
본문내용
1.주춤서서 몸통지르기
기본자세 : 양발을 두 발 간격으로 벌리고 가슴을 펴고 몸을 반듯이 둔 상태에서 주심을 낮추고 무릎 관절을 약간 구부리며 상대편방 가슴을 주먹으로 지르는 기술이다.
신체근육발달 : 두발을 주품서기를 할 때는 다리의 대퇴근육(치고근, 장내전근, 외측광근, 백근, 내측광근, 대퇴이두근)과 종아리근육인 (비복근, 가자미근, 종골건)이 사용되며 지르기를 할때의 허리근육(복직사근, 외복사근)과 등근육(대원근, 극하근, 능형근광배근)이 사용되며 손을 들어 올릴때의 삼각근과 손을 비틀고 내지를 때는 상완근과 상완이두근이 그리고 가슴근육(대흉근이) 사용된다.
2.아래막기
기본자세 : 무릎의 구부린 정도는 80~90도 의 범위에서하며 위에서 봤을 때 엄지발가락이 살짝 보이는 정도이며 주먹을 자신의 반대쪽 턱까지 내밀었다 아랫배 밑까지 내려 자신의 몸통 공격을 막는 동작
신체근육발달 : 무릎을 구부린 발은 대퇴부의 앞쪽근육(장요근, 치골근, 장내전근, 외측광근, 봉공근, 내측광근)과 종아리근육(장비골근, 장지신근, 전경골근), 다른쪽의 발은 태퇴부의 뒤쪽근육(대퇴이두근, 대내전근)과 종아리근육(비복근, 종골건)이 사용되며, 아래막기를 할 때 몸을 틀어 허리근육을(복직근, 외복사근) 이용하여 허리를 틀며 손을 들어 올리는 어깨근육(삼각근), 막기 자세를 할때 손목을 비트는 팔 근육(상완삼두근, 요골근, 완요골근, 상완근)을 사용한다.
3.몸통반대지르기
기본자세 : 무릎의 구부린 정도는 80~90도 의 범위에서하며 위에서 봤을 때 엄지발가락이 살짝 보이는 정도이며 발과 손이 같은 방향이며 몸통지르기와 마찬가지로 상대방의 가슴을 주먹으로 지르는 기술이다.
신체근육발달 : 무릎을 구부린 발은 대퇴부의 앞쪽근육(장요근, 치골근, 장내전근, 외측광근, 봉공근, 내측광근)과 종아리근육(장비골근, 장지신근, 전경골근), 다른쪽의 발은 태퇴부의 뒤쪽근육(대퇴이두근, 대내전근)과 종아리근육(비복근, 종골건)이 사용되며, 주먹을 지를 때 몸을 틀어 허리근육을(복직근, 외복사근) 이용하여 허리를 틀며 손을 들어 올리는 어깨근육(삼각근)과 지르기를 할 때 가슴근육(대흉근)과 등근육(대원근, 극하근, 광배근), 비트는 손목근육(상완삼두근, 요골근, 완요골근, 상완근)을 사용한다.
기본자세 : 양발을 두 발 간격으로 벌리고 가슴을 펴고 몸을 반듯이 둔 상태에서 주심을 낮추고 무릎 관절을 약간 구부리며 상대편방 가슴을 주먹으로 지르는 기술이다.
신체근육발달 : 두발을 주품서기를 할 때는 다리의 대퇴근육(치고근, 장내전근, 외측광근, 백근, 내측광근, 대퇴이두근)과 종아리근육인 (비복근, 가자미근, 종골건)이 사용되며 지르기를 할때의 허리근육(복직사근, 외복사근)과 등근육(대원근, 극하근, 능형근광배근)이 사용되며 손을 들어 올릴때의 삼각근과 손을 비틀고 내지를 때는 상완근과 상완이두근이 그리고 가슴근육(대흉근이) 사용된다.
2.아래막기
기본자세 : 무릎의 구부린 정도는 80~90도 의 범위에서하며 위에서 봤을 때 엄지발가락이 살짝 보이는 정도이며 주먹을 자신의 반대쪽 턱까지 내밀었다 아랫배 밑까지 내려 자신의 몸통 공격을 막는 동작
신체근육발달 : 무릎을 구부린 발은 대퇴부의 앞쪽근육(장요근, 치골근, 장내전근, 외측광근, 봉공근, 내측광근)과 종아리근육(장비골근, 장지신근, 전경골근), 다른쪽의 발은 태퇴부의 뒤쪽근육(대퇴이두근, 대내전근)과 종아리근육(비복근, 종골건)이 사용되며, 아래막기를 할 때 몸을 틀어 허리근육을(복직근, 외복사근) 이용하여 허리를 틀며 손을 들어 올리는 어깨근육(삼각근), 막기 자세를 할때 손목을 비트는 팔 근육(상완삼두근, 요골근, 완요골근, 상완근)을 사용한다.
3.몸통반대지르기
기본자세 : 무릎의 구부린 정도는 80~90도 의 범위에서하며 위에서 봤을 때 엄지발가락이 살짝 보이는 정도이며 발과 손이 같은 방향이며 몸통지르기와 마찬가지로 상대방의 가슴을 주먹으로 지르는 기술이다.
신체근육발달 : 무릎을 구부린 발은 대퇴부의 앞쪽근육(장요근, 치골근, 장내전근, 외측광근, 봉공근, 내측광근)과 종아리근육(장비골근, 장지신근, 전경골근), 다른쪽의 발은 태퇴부의 뒤쪽근육(대퇴이두근, 대내전근)과 종아리근육(비복근, 종골건)이 사용되며, 주먹을 지를 때 몸을 틀어 허리근육을(복직근, 외복사근) 이용하여 허리를 틀며 손을 들어 올리는 어깨근육(삼각근)과 지르기를 할 때 가슴근육(대흉근)과 등근육(대원근, 극하근, 광배근), 비트는 손목근육(상완삼두근, 요골근, 완요골근, 상완근)을 사용한다.
추천자료
영아기 유아기 인지발달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요약
영아기에 건강한 신체발달의 결여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하여 서술하고, 그 내용을 근거...
유아기발달의 특성 - 신체발달, 뇌성장, 운동발달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의 특징을 각기 제시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
유아기의 발달영역 (신체, 인지, 사회정서 발달영역 등) 별로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지도방안...
아동기의 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사회적 발달의 특징을 각기 제시하고, 사회복지실천...
[유아발달 A형] 유아기의 신체 발달의 특성을 설명,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유...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발달특성 설명, 청소년 인터넷 사용 및 중독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
영아기 운동 및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바람직한 신체발달을 위해 고려하...
영아기 운동 및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바람직한 신체발달을 위해 고려하...
영아의 신체 및 운동발달의 특성을 기술하고, 신체 및 운동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는 영아놀이...
청소년기 여성의 신체발달 영향(여자 청소년의 신체발달의 영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