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lelithiasis(담석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holelithiasis(담석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정 의
▣ 위험인자
▣ 원 인
▣ 예방
▣ 임상증상
▣ 진 단
▣ 예 후
▣ 치료
▣ 간 호

본문내용

다.
⑤ 대량의 항생제 요법을 한다.
⑥ 영양을 유지한다. 급성기 → 중심정맥으로 포도당이나 전해질 수액 및
고칼로리 수액을 투여한다. PTBD의 효과에 의해 상태가점
안정된 후에 식사를 개시한다. 유동식에서 서서히 고형식으로 옮겨간다. 원칙은 저지방 식이로 한다.
⑦ 질병에 대한 환자 가족의 불안 완화
발열이나 고통의 완화를 최우선으로 한다.
고통 시에는 가능한 환자 곁에 있는다. 마사지 등을 해서 피부를 관리한다.
주사 시와 처치 시 및 간호 시에는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해를 얻는다.
가족에게는 충분한 설명을 한다.
⑧ 응급 수술의 경우 → 외과로 전과한다.
(2) 담즙성 복막염(담낭염의 개방성 천공, PTBD 후 발병)
① 관찰의 요점
심한 복통
발열
근성방어
쇼크증상
② 간호의 요점
복통의 경감과 쇼크 예방
응급 수술 준비
5) 내과적 치료
산통 조절을 위한 진통제 투여 : morphine sulfate보다 Oddi 괄약근의 경련을 적게 유발하는 Demerol 투여
오심과 구토 조절ㅇ르 위한 금식 및 비위관 흡인
수액과 전해질 보충을 위한 정맥수액 공급
감염 시 항생제 투여
황달이 있고 프로트롬빈 시간이 연장되면 비타민 K 투여
(1) 약물 용해제
직경 2cm 이하 - Chenodeoxycholic acid, ursodeoxycholic acid(
콜레스테롤로 형성된 담석에만 효과 보임)
부작용 : 설사, 간독성, 혈청 콜레스테롤 증가
금기 : 임산부
(2) 비수술적 담석 제거
피부를 통해 직접 담낭에 관을 카테터를 삽입하여 담석을 제거, ERCP, MTBE
카테터와 바구니가 달린 기구를 T-tube를 통해 삽입한다. 바구니는 총담관에 막힌 담석을 모아서 제거하는데 사용
ERCP 내시경 - 총담관의 바터 팽대부에 절제 기구를 삽입하고 점막하섬유나 Oddi 괄약근을 절개해 유두의 개구부를 넓힌 다음 자연적으로 담석이 십이지장으로 내려갈 수 있도록 해준다. 합병증 - 출혈, 천공, 췌장염
(3) 담석쇄석술
체외충격파를 사용하여 담석을 부수는 것. 담낭, 총담관, 간관에 있는 담관에 적용. 파편은 총담관을 통해 소장으로 배출. 5일전 내시경을 통한 괄약근 절개술이나 경피적 간도관 등이 필요.
6) 복강경 담낭 절제술
복강경을 이용하여 담낭을 절제하는 수술.
장점 - 개복술 후의 마비성 장폐색이나 통증을 줄이고 입원일도 단축
레이져 복강경 담낭절제술 : 배꼽 포함 절개부의 3곳으로 1cm 정로의 통로 만들어 담낭을 제거
단점 - 제한된 시야로 고도이 장비와 기술 필요, 수술 소요시간도 길다. 반드시 전신
마취, 담낭 주위 상복부의 심한 유착, 담관에 있는 담석, 급성 췌장염, 심한 담낭염은 시술 안 됨.
7) 외과적 치료
담낭절제술, 총담관 조루술(총담관을 절개하여 담석 제거후 T-tube삽입), 담낭 절개술, 총담관 결석절개술, 총담관 십이지장문합술, 총담관공장문합술, 담낭위문합술
8) 담석증의 내시경이나 복강경에 의한 치료법
(1) 총담관 결석에 대한 내시경적 유두괄약근
절개술(EST=endoscopic papillotomy;EPT)
총담관 결석을 적출하기 위히여 개발된 치료적 내시경 검사법이다. 유두 개구부로부터 총담관에서 유두괄약근을 절개하는 방법으로 작은 담석은 저절로 바져 나가거나 큰 담석은 기계적 쇄석믈(mechanical lithotripsy)로 담석을 잘게 부순 뒤에 제거한다.
① 적용
총담관 결석(특히 잔유 결석)
고령자와 고위험 환자 총담관 결석
급성 폐쇄성 화농성 담관염
양성 유두 협착
담석성 췌장염
② 금기
급성 췌장염
DIC로 출혈 경향이 있을때
배액이 불가능한 협착이 존재하는 경우
유두구 쪽 융기가 불분명한 경우
③ 합병증
출혈
췌장염
담관염
십이지장 천공
④ 시행 후의 처치 및 주의 사항
종료 후 4~5시간은 침상 안정을 한다.
복통 및 인두통을 관찰한다.
트립신 저하제와 항생제 및 지혈제가 들어 있는 수액을 주입한다.‘
다음날 아침에 채뇨와 채혈을 하고 아밀라아제를 검사한다.
지시에 의해 배변을 관찰하여 담석의 배출을 확인한다(3·4일간).
(2) 담석증에 대한 복강경 담낭 절제술
최근, 복강경을 이용한 담낭 절제술이 시행되어 종래의 개복 수술에 비해 여러 이점이 있는 것이 주목되고 있다.
수술 전후의 관리는 기본적으로 외과 병동에서 시행된다.
9) 무증상 담석증의 치료와 간호
① 내과적 치료로서는 담석 용해제의 투여가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용해제제로
서는 CDCA(chenodeoxycholic acid)와 UDCA(ursodeoxycholic acid)가 있으며, 약제의 투여 기간은 몇 개월에 걸친다.
☆ 용해제의 적응
담낭 기능이 유지되고 있다.
담석의 상태
★ 크기 10~15mm 이하
★ 콜레스테롤계 결석, 즉 X-RAY 투과성이며, 돌의 형태가 원형이고 부유성이 있다.
유효성에 대해서는 CDCA,UDCA 모두 담석 소실률은 약 4%이고, 재발률은 약 20% 정도로 생각되어진다.
② 복강경적 담낭 절제술은 최근에 자주 시행되고 있다.
▣ 간 호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불편감이나 통증 : 발병 시기, 심각성, 위치, 유발요인
위장증상 : 오심, 구토, 식욕부진, 트림, 지방 불내성, 소화불량, 소변이나 대변
색깔의 변화
발열, 오한, 발작, 황달 병력
질병에 대한 지식, 치료에 대한 기대
(2) 객관적 자료
활력징후
체액상태 : 체중, 피부 탄력성, 점막 습기 정도, 섭취량과 배설량
황달
복부 : 팽만, 압통, 우상복부의 강직
짙은 색깔이 소변, 회색 대변
2) 간호 진단
수술 전 : 체액 부족의 위험성, 신체 손상 위험, 지식결핍(질병이나 치료방법에 대한
통증), 자가 간호 결핍
수술 후 :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피로, 체액부족 위험성, 신체손상 위험성, 지식결핍,
영양부족, 통증, 피부손상 위험성
3) 간호중재
(1) 수술 전 : 수액유지, 손상의 예방, 대상자 교육, 안위 증진, 자가간호 증진
(2) 수술 후 : low Fowler position, 기침과 심호흡, 체위 변경, 비위관 흡입, 정맥
주입, 드레싱 점검, 황동의 증진, T-tube 배액의 관리, 퇴원교육, 영양증진, 피부통합성 유지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0.29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8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