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골수의 구조
2. 골수의 기능
3. 골수의 구조 및 기능(Bone Marrow structure and function)
4. 골수 검사 (Bone marrow examination)
2. 골수의 기능
3. 골수의 구조 및 기능(Bone Marrow structure and function)
4. 골수 검사 (Bone marrow examination)
본문내용
층 52.5%, 유핵세포증 6.4%, 적혈구층 39.4% 정도 된다. 재생불량성 빈혈 (aplastic anemia)에서는 지방층이 증가하고 유핵세포층과 적혈구층은 감소하는데 ,백혈병에서는 유핵세포등이 증가한다. 또 polycythemia vera 에서는 재생 불량성 빈혈에서는 반대 현상이 나타낸다.
(4) 도말표본 작성 및 검경
골수혈은 응고되기 쉬우므로 신속하게 도말을 해야만 한다. 혈액 도말과 같은 방법으로 박층 직접 도말 4장 이상, 농축도말 2장 이상, 그리고 입자 도말 2장 이상을 만든다. 염색은 일반적으로는 Wright stain 이나 Giemsa stain, Sudan black B stain, PAS stain, alkaline phosphatase stain. prussian blue stain 및 esterase stain 등을 실시한다.
골수의 도말표본이 얻어지면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약 확대로 전체적인 세포의 분포상태를 관찰한 후 균등한 분포가 되어있는 곳에서 유침렌즈로 이상세포의 유무와 500∼1,000개의 유핵세포를 세어 골수 백분율 (골수상, myelogram)을 산출한다. 이때에 혈액내 기생충의 관찰도 하면 좋다. 검경할 때 다음의 사항을 유의하면 참고가 될 것이다.
① M-E ratio (골수계- 적혈구계 비 : Myeloid-Erythroid ratio) : 정상범위는 2:1∼5:1
Erythoid hyperplasis : 용혈성 빈혈, 진성 적혈구 증다증, 철 결핍성 빈혈, 악성 빈혈 등
Erythoid hypoplasis : 림프육종, 다발성 골수종, 재생 불량성 빈혈, 백혈병
Mydloid hyperplasis : 백혈구 증다증, 재생 불량성 빈혈, 다발성 골수종
Myeloid hypolplasis : 백혈병
② 이상세포 관찰
종양세포, 조직세포 등
③ 말라리아, histoplasmosis, leishmaniasis 등의 혈액 기생충 관찰
④ Fe 반점 관찰
감소하면 IDA(철결핍성 빈혈), 증가하면 용혈성 빈혈, sideroblastic 성 빈혈 간경변증
골수 표본의 관찰은 세포의 백분율보다 세포의 경향을 관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특수 염색은 백혈병이나 그 외의 이상 백혈구가 보일 때, 그 세포가 어느 계통의 백혈구 인지를 분명하게 알고자 할 때 시행한다.
▣ 골수생검 방법1. 생검부위를 소독하고 방포를 덮고, 수술용 장갑을 착용2. 선택한 생검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목표를 설정 - 장골능선 후방부 : 후상장골극의 중앙부 쪽 - 장골능선 전방부 : 전상장골극의 하순부 쪽3. 국소마취제 침윤 - 25G 주사침으로 피내팽진을 만든다. - 22G 주사침으로 리도카인 2-3 ml를 피하조직에서 골막까지 침윤4. 골수천자흡인을 먼저 해본다5. #11번 칼날로 3 mm 정도 피부절개를 한다.6. 생검침 준비 - 천자침속에 경사각이 있는 안침을 끼워넣고 - 안침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고정쇄를 천자침 손잡이 홈에 돌려 맞춘다.
7. 생검침을 찔러넣는다 - 피절부를 통해 골면에 수직으로 찔러넣는다. - 안침을 고정시킨체로 생검침 손잡이를 손바닥에 맞단체로 생검침을 뼈속에 밀어넣는다.
8. 생검검체 채취 - 장골능선후방부에서는 15도 정도 아래쪽 방향을 잡는다. - 장골능선전방부에서는 15도 정도 머리쪽 방향을 잡는다. - 생검침을 회전시키면서 골피질을 지나 힘을 준다. - 저항이 낮아진 곳이면 골수내강에 들어간 것으로 짐작 - 안침을 뺀다. - 이어서 침을 회전시키면서 5 mm 정도 밀어넣는다. - 2-3 mm 침을 뒤로 물린다. 안침을 넣어서는 안된다. - 침끝을 다른 방향으로 돌린 다음 다시 2-3 mm 찔러넣어서 생검 검체를 채취9. 생검침을 뺀다. - 뺄때도 침을 회전시킨다. - 뺀자리는 압박 지혈10. 생검침에서 검체채취 - 생검침 앞끝에 끝이 둔한 안침을 밀어넣는다. - 생검침 손잡이 입구로 검체가 빠져나오면 멸균 거즈위에 얹는다.
11. 표본작성 검체면을 커버글라스에 옮겨 붙인 후 10% 포르말린 완충액 또는 Zenker 액에 넣는다.12. 드레싱합병증1. 천자부위 출혈a. 원인 : 혈소판 감소증 또는 출혈 경향b. 예방 - 국소압박이 가장 효과적 - 출혈경향이 의심되면 지혈제를 투여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下 - 현문사(전시자 외..)
- 기본간호학 下 - (손영희 외..공저)
-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honginsuranc?Redi)
- 혈액학 - 대한혈액학
(4) 도말표본 작성 및 검경
골수혈은 응고되기 쉬우므로 신속하게 도말을 해야만 한다. 혈액 도말과 같은 방법으로 박층 직접 도말 4장 이상, 농축도말 2장 이상, 그리고 입자 도말 2장 이상을 만든다. 염색은 일반적으로는 Wright stain 이나 Giemsa stain, Sudan black B stain, PAS stain, alkaline phosphatase stain. prussian blue stain 및 esterase stain 등을 실시한다.
골수의 도말표본이 얻어지면 광학현미경을 사용하여 약 확대로 전체적인 세포의 분포상태를 관찰한 후 균등한 분포가 되어있는 곳에서 유침렌즈로 이상세포의 유무와 500∼1,000개의 유핵세포를 세어 골수 백분율 (골수상, myelogram)을 산출한다. 이때에 혈액내 기생충의 관찰도 하면 좋다. 검경할 때 다음의 사항을 유의하면 참고가 될 것이다.
① M-E ratio (골수계- 적혈구계 비 : Myeloid-Erythroid ratio) : 정상범위는 2:1∼5:1
Erythoid hyperplasis : 용혈성 빈혈, 진성 적혈구 증다증, 철 결핍성 빈혈, 악성 빈혈 등
Erythoid hypoplasis : 림프육종, 다발성 골수종, 재생 불량성 빈혈, 백혈병
Mydloid hyperplasis : 백혈구 증다증, 재생 불량성 빈혈, 다발성 골수종
Myeloid hypolplasis : 백혈병
② 이상세포 관찰
종양세포, 조직세포 등
③ 말라리아, histoplasmosis, leishmaniasis 등의 혈액 기생충 관찰
④ Fe 반점 관찰
감소하면 IDA(철결핍성 빈혈), 증가하면 용혈성 빈혈, sideroblastic 성 빈혈 간경변증
골수 표본의 관찰은 세포의 백분율보다 세포의 경향을 관찰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특수 염색은 백혈병이나 그 외의 이상 백혈구가 보일 때, 그 세포가 어느 계통의 백혈구 인지를 분명하게 알고자 할 때 시행한다.
▣ 골수생검 방법1. 생검부위를 소독하고 방포를 덮고, 수술용 장갑을 착용2. 선택한 생검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목표를 설정 - 장골능선 후방부 : 후상장골극의 중앙부 쪽 - 장골능선 전방부 : 전상장골극의 하순부 쪽3. 국소마취제 침윤 - 25G 주사침으로 피내팽진을 만든다. - 22G 주사침으로 리도카인 2-3 ml를 피하조직에서 골막까지 침윤4. 골수천자흡인을 먼저 해본다5. #11번 칼날로 3 mm 정도 피부절개를 한다.6. 생검침 준비 - 천자침속에 경사각이 있는 안침을 끼워넣고 - 안침을 시계방향으로 돌려 고정쇄를 천자침 손잡이 홈에 돌려 맞춘다.
7. 생검침을 찔러넣는다 - 피절부를 통해 골면에 수직으로 찔러넣는다. - 안침을 고정시킨체로 생검침 손잡이를 손바닥에 맞단체로 생검침을 뼈속에 밀어넣는다.
8. 생검검체 채취 - 장골능선후방부에서는 15도 정도 아래쪽 방향을 잡는다. - 장골능선전방부에서는 15도 정도 머리쪽 방향을 잡는다. - 생검침을 회전시키면서 골피질을 지나 힘을 준다. - 저항이 낮아진 곳이면 골수내강에 들어간 것으로 짐작 - 안침을 뺀다. - 이어서 침을 회전시키면서 5 mm 정도 밀어넣는다. - 2-3 mm 침을 뒤로 물린다. 안침을 넣어서는 안된다. - 침끝을 다른 방향으로 돌린 다음 다시 2-3 mm 찔러넣어서 생검 검체를 채취9. 생검침을 뺀다. - 뺄때도 침을 회전시킨다. - 뺀자리는 압박 지혈10. 생검침에서 검체채취 - 생검침 앞끝에 끝이 둔한 안침을 밀어넣는다. - 생검침 손잡이 입구로 검체가 빠져나오면 멸균 거즈위에 얹는다.
11. 표본작성 검체면을 커버글라스에 옮겨 붙인 후 10% 포르말린 완충액 또는 Zenker 액에 넣는다.12. 드레싱합병증1. 천자부위 출혈a. 원인 : 혈소판 감소증 또는 출혈 경향b. 예방 - 국소압박이 가장 효과적 - 출혈경향이 의심되면 지혈제를 투여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下 - 현문사(전시자 외..)
- 기본간호학 下 - (손영희 외..공저)
- 네이버 블로그(http://blog.naver.com/honginsuranc?Redi)
- 혈액학 - 대한혈액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