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의 생애와 「나의 침실로」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과 재생을 꿈꾸지만, 결국은 도피의 공간으로, 새벽은 가압적인 현실로, 그리고 밤으로의 동경은 현실에 대한 외면과 도피적인 정신을 의미화한 것이다.
③ 작품의 이해
이 시는 1923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시인의 초기 시경향(퇴폐적이고 감상적인 낭만주의)에 잘 어울리는 대표작이다. 사랑과 죽음, 곧 에로스(eros)와 타나토스(thanatos)가 하나로 어울려 주제를 이룬 작품이다. 죽음을 계기로 한 사랑의 재생을 노래하고 있어, 결국 사랑과 죽음과 재생의 세 관념이 엇갈려 이루는 높은 긴장도에서 이 작품의 극적 상황이 마련된다. 어둠, 피안에 까지 삶을 넓혀 체험하려는 곳에서 낭만파 초기의 성향을 엿볼 수 있다.
마돈나는 분명치는 않으나, 3·1운동 직후 피폐했던 시대상황 속에서의 지식인들의 절망, 좌절과 연관지어 볼 때,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자기 구원의 대상'임에 틀림이 없다.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긴장과 불안, 안타까움은 고조되고, 끝내 마돈나는 나타나지 않는다. 마돈나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이상의 여인이고, 그가 마돈나와 가고자 하는 침실, 즉 죽음은 현실적으로 삶의 종말이자 모든 문제의 포기이기 때문이다.
낭만주의 문학은 동경에서 출발하여 동경 속에서 진행되었고, 동경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완성에 달하지 못하고 영원한 생성과정 속에서 다음 문학사조로 이행한 문학이다. 낭만주의는 그 특성상 끊임없는 동경과 갈망 속의 채워지지 않는 욕구이기에 비현실성을 수반한다. 그러므로 이 낭만적 동경은 과거와 미래에 결부되면서 현실이 안고 있는 극한 상황과 충돌할 때 자의식을 극복하고 억제할 수 없는 병적 자아로 형상화된다. 이상화가 이 작품에 나타낸 병적 성향, 즉 병적 낭만주의는 일제라는 극한적인 시대 상황 하에서 실제 채워지지 않는 욕구와 동경이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이상화 시연구」, 손혜숙, 성신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이상화 시연구」, 송화영,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이상화의 서정시와 그 아름다움』, 「<나의 침실로>의 상징구조와 수사적 기법」, 송명희, 새문사
『한국의 퇴폐적 낭만주의 시 연구』, 양애경, 국학자료원
『이상화 전집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대구문인협회 편저, 그루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1.02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