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pasticity 서론
2. spasticity 정의
3. spasticity 병태 생리학적 기전
1).Supraspinal motor system
2).Spinal motor system
3).muscle spindle 기전
★ Upper motor neurone syndrome
4.spasticity 와 관련된 질환
5.spasticity와 rigidity의 비교
2. spasticity 정의
3. spasticity 병태 생리학적 기전
1).Supraspinal motor system
2).Spinal motor system
3).muscle spindle 기전
★ Upper motor neurone syndrome
4.spasticity 와 관련된 질환
5.spasticity와 rigidity의 비교
본문내용
ure를 유발하며 functional disorder 를 가지고 오게 된다.
3. SCI (spinal cord injury)
1) complete SCI : 손상후 처음에는 손상 이후의 수준에서의 척수반사기능이 소실되는 척수쇼크에 빠지게 된다.
2) incomplete SCI : Hip, Knee 의 Flexors 에 존재하는 긴장성 신전반사가 무릎을 펼 때 관절 가동영역의 처음 ⅔ 까지는 증가하지 않다가 마지막 ⅓ 범위 내에서 passive ex. 시에고정된 저항이 나타나는 것으로 종종 Hip 과 knee 의 contracture를 동반하게 된다.
4. Demyelination disease
탈수초성 질환에서spasticity 는 공통적으로 일어나며 multiple sclerosis 에서는 매우 심하고 spasticity 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5. spasticity 와 rigidity 비교정리
spasticity
rigidity
정 의
수동신장시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속도의존적으로 근긴장도가 증가하는 운동장애
수동신장시 속도와 관계없이 저항이 계속해서 나타나는 운동장애
병 소
추체로(특히내낭)와 주변구조물의 손상
기저핵과 추체 외로계손상
기 전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1. 교뇌(흥분),연수(억제)망상핵간균형상실 연수 망상핵의 해리현상
2. α,γ-운동신경원의 과흥분성
3. 말초 수용기 에서의 감각입력의 억제상실
정확한 원인 밝혀지지 않음
1. 기저핵과 그 주변물에서의 억제 해리를 통한 α-motoneuron의 탈억제(과흥분성)
근전도
패턴
위상성 α-운동신경원의 흥분 수준이 상승
신장초기 고 진폭의 동적운동단위의 방전이 출현함.(활동전압)
이후 곧 근방전은 줄어 들고 얼마 안되는
정적운동단위의 방전이 계속 된다
즉 clasp-knife ~나타남.
신장하는 동안 저 진폭의 정적 γ-motorneuron의 출현하지만 동적γ-motorneuron의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정적γ-motoneuron의 흥분 수준이 상승해 있기 때문에 신장 자극에 대해 근방추로부터의 구심성 자극이 용이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반사되어 정적 α-motorneuron을 반사적으로 흥분시키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특징
1. 정한 굴곡 또는 신전 패턴을 발생한다.
2. 상지는 굴곡 하지는 신전근이 우세
3. 속도 의존적(속도↑ 저항↑)
4. clonus 나타남
5. 심부건 반사 항진
6. Clasp-knife 현상(접칼현상)
1. 양방향성
2. 속도와 관계없이 계속 저항
3. clonus 관찰되지 않음
4. 심부건 반사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
5. lead pipe rigidity
6. cogwheel rigidity (tremor동반)
7.decerebrate rigidity : 상구하구(중뇌)손상발 생, 상, 하지(신전)
8. decorticate rigidity : 대뇌피질 전반적손상, 상지(굴곡),하지(신전)시간이경과함에 spasticity로 진행
관련질병
CVA, TBI, SCI 등
파킨슨, 퇴행성질환, 종양, 뇌손상 등
3. SCI (spinal cord injury)
1) complete SCI : 손상후 처음에는 손상 이후의 수준에서의 척수반사기능이 소실되는 척수쇼크에 빠지게 된다.
2) incomplete SCI : Hip, Knee 의 Flexors 에 존재하는 긴장성 신전반사가 무릎을 펼 때 관절 가동영역의 처음 ⅔ 까지는 증가하지 않다가 마지막 ⅓ 범위 내에서 passive ex. 시에고정된 저항이 나타나는 것으로 종종 Hip 과 knee 의 contracture를 동반하게 된다.
4. Demyelination disease
탈수초성 질환에서spasticity 는 공통적으로 일어나며 multiple sclerosis 에서는 매우 심하고 spasticity 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5. spasticity 와 rigidity 비교정리
spasticity
rigidity
정 의
수동신장시 저항이 증가함에 따라 속도의존적으로 근긴장도가 증가하는 운동장애
수동신장시 속도와 관계없이 저항이 계속해서 나타나는 운동장애
병 소
추체로(특히내낭)와 주변구조물의 손상
기저핵과 추체 외로계손상
기 전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1. 교뇌(흥분),연수(억제)망상핵간균형상실 연수 망상핵의 해리현상
2. α,γ-운동신경원의 과흥분성
3. 말초 수용기 에서의 감각입력의 억제상실
정확한 원인 밝혀지지 않음
1. 기저핵과 그 주변물에서의 억제 해리를 통한 α-motoneuron의 탈억제(과흥분성)
근전도
패턴
위상성 α-운동신경원의 흥분 수준이 상승
신장초기 고 진폭의 동적운동단위의 방전이 출현함.(활동전압)
이후 곧 근방전은 줄어 들고 얼마 안되는
정적운동단위의 방전이 계속 된다
즉 clasp-knife ~나타남.
신장하는 동안 저 진폭의 정적 γ-motorneuron의 출현하지만 동적γ-motorneuron의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이것은 정적γ-motoneuron의 흥분 수준이 상승해 있기 때문에 신장 자극에 대해 근방추로부터의 구심성 자극이 용이 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반사되어 정적 α-motorneuron을 반사적으로 흥분시키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특징
1. 정한 굴곡 또는 신전 패턴을 발생한다.
2. 상지는 굴곡 하지는 신전근이 우세
3. 속도 의존적(속도↑ 저항↑)
4. clonus 나타남
5. 심부건 반사 항진
6. Clasp-knife 현상(접칼현상)
1. 양방향성
2. 속도와 관계없이 계속 저항
3. clonus 관찰되지 않음
4. 심부건 반사 정상이거나 약간 증가
5. lead pipe rigidity
6. cogwheel rigidity (tremor동반)
7.decerebrate rigidity : 상구하구(중뇌)손상발 생, 상, 하지(신전)
8. decorticate rigidity : 대뇌피질 전반적손상, 상지(굴곡),하지(신전)시간이경과함에 spasticity로 진행
관련질병
CVA, TBI, SCI 등
파킨슨, 퇴행성질환, 종양, 뇌손상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