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코어의 역할
(2) 코어 공간의 종류
(3) 코어의 형식
(4) 코어 공간의 위치
(5) 코어 계획상 고려사항
(2) 코어 공간의 종류
(3) 코어의 형식
(4) 코어 공간의 위치
(5) 코어 계획상 고려사항
본문내용
다.
(5) 코어 계획상 고려사항
가. 엘리베이터, 계단 및 화장실은 가급적 근접시킨다.
나. 코어 내의 각 공간은 각 층마다 상하 동일 위치에 둔다.
다. 샤프트나 공조실은 계단, 엘리베이터 또는 설비실들 사이에 갇혀있지
않도록 계획하고, 필요한 경우 면적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라. 공공복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마. 화장실은 복도나 엘리베이터 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바. 코어의 구조는 내력구조체로 한다.
※코어구조[core structure]
건축물의 상하를 기능적으로 연결시키는 핵심공간(core)을 중심으로 조성하는 건축구조이다. 엘리베이터와 계단실·파이프샤프트 등의 코어를 콘크리트 파이프처럼 만들고, 여기에 라멘구조(rahmen structure)를 첨가하여 라멘과 코어가 함께 수평하중을 지탱시켜주는 건축구조이다.
가새구조(bracing structure)·라멘구조·튜브구조(tube structure)와 함께 횡력저항방식 건축구조에 속한다. 건축물 바닥판 슬래브가 코어에 횡력을 전달하며, 이때 슬래브는 보와 대들보의 좌굴과 비틀림도 막아준다. 라멘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고층 건축물에 채택되는 방식이다.
(5) 코어 계획상 고려사항
가. 엘리베이터, 계단 및 화장실은 가급적 근접시킨다.
나. 코어 내의 각 공간은 각 층마다 상하 동일 위치에 둔다.
다. 샤프트나 공조실은 계단, 엘리베이터 또는 설비실들 사이에 갇혀있지
않도록 계획하고, 필요한 경우 면적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라. 공공복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마. 화장실은 복도나 엘리베이터 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바. 코어의 구조는 내력구조체로 한다.
※코어구조[core structure]
건축물의 상하를 기능적으로 연결시키는 핵심공간(core)을 중심으로 조성하는 건축구조이다. 엘리베이터와 계단실·파이프샤프트 등의 코어를 콘크리트 파이프처럼 만들고, 여기에 라멘구조(rahmen structure)를 첨가하여 라멘과 코어가 함께 수평하중을 지탱시켜주는 건축구조이다.
가새구조(bracing structure)·라멘구조·튜브구조(tube structure)와 함께 횡력저항방식 건축구조에 속한다. 건축물 바닥판 슬래브가 코어에 횡력을 전달하며, 이때 슬래브는 보와 대들보의 좌굴과 비틀림도 막아준다. 라멘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고층 건축물에 채택되는 방식이다.
추천자료
건설자재소요계획의 발전을 통해본 원가절감
재개발 및 재건축에 관한 보고서
[주거학]친환경 건축의 개요와 국내외 사례분석(리포트)
LED조명을 활용한 건축물의 부가가치 창출전략
[도시계획] 도시계획에 대하여
친환경 학교 건축의 기법과 설계
친환경 하이테크 건축
도시개발을 위한 재개발,재건축
한국 근대 도시주거건축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 주택유형의 변화를 중심으로
[공동주택][공동주택의 확산기][공동주택의 단지계획][공동주택의 노후화][공동주택의 하자]...
[주택계획][주택공급]주택계획의 목표, 주택계획의 기본방향, 주택계획의 수립방향, 주택공급...
[친환경견축] 친환경건축의 특징과 사례
조선 시가지 계획령과 1962년 이후 도시계획법을 비교한 후 변화와 나의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