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상주의
(1) 절대주의 국가
(2) 중상주의의 정의
(3) 중상주의의 일반적 특징
(4) 자본주의의 성장에 대한 영향
참고: 각국의 중상주의
(1) 중상주의시대 네덜란드의 경제
(2) 영국의 중상주의
(3) 프랑스의 중상주의
(1) 절대주의 국가
(2) 중상주의의 정의
(3) 중상주의의 일반적 특징
(4) 자본주의의 성장에 대한 영향
참고: 각국의 중상주의
(1) 중상주의시대 네덜란드의 경제
(2) 영국의 중상주의
(3) 프랑스의 중상주의
본문내용
해운업을 포함한 영국의 산업을 특히 네덜란드의 경쟁으로부터 보호.
b) 재수출로부터의 이득(영국 항구에서의 하역작업 등에서의 이익)
c) 중요한 원료의 확보
영국은 식민지의 경제를 본국의 경제적인 목적에 부합되도록 재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통제:
a) 본국에서 생산할 수 없는 원료나 상품을 생산하도록 권장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 담배생산의 권장. Indigo의 재배에 대한 보조금.
b) 본국의 상품과 경쟁이 될만한 상품생산을 억제. 1699년 모직물법(Woolen Act), 1732년의 모자법(Hat Act), 1750년 철법(Iron Act) - 식민지산 모직물, 모자 및 제철품수출을 금지하여 식민지의 공업생산을 억제.
(3) 프랑스의 중상주의
중상주의가 체계적으로 강력하게 추진되기 시작한 것은 루이 14세(재임 1643-1715) 치하의 재상 꼴베르(Colbert)에 의해서.
a) 공업의 장려: 특징적인 것은 공업장려를 위해서 공업자에게 특권을 주어 기업을 설립 운영하게 함은 물론 국가 스스로도 기업을 설립. 국립 매뉴팩추어 - 국가가 설립 운영하는 공장제 수공업. 왕립 매뉴팩츄어 및 특권 매뉴팩츄어 - 특권이 부여된 민간공장제수공업. 공업은 고급견직물, 금은제품, 거울, 자기, 가구 등 사치품 제조공업이 주를 이룸. 수요처는 왕실과 귀족들. 대중필수품인 모직공업을 기반으로 한 영국에 비해서 기초가 약한 것이었음. 해외의 수요확대도 기대하기 어려움.
b) 공업통제: 이는 규격의 통일과 고품질의 유지, 그리고 국가수입증대를 위해. 길드통제를 강화하고 그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대. 모든 상인 및 수공업자로 하여금 그에 가입하도록 강제. 길드를 국가통제하로 끌어드림.
c) 전국적인 시장의 형성: 단일경제권 형성을 위한 제도의 개선 (도량형의 통일, 통과세의 철폐, 국내관세의 철폐) 및 교통수단의 개선. 제도적인 개혁은 부분적인 성공만을 거두었으나 교통수단의 개선은 큰 성과. (도로의 건설과 개선, 하천개량 및 운하건설)
d) 무역과 해운업: 네덜란드와 영국에 눌려 크게 발전하지 못했음.
e) 식민제국: 17세기부터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 1627년 신프랑스회사 - 캐나다식민과 모피무역. 1664년 프랑스동인도회사 - 인도의 폰딧셰리와 마다가스카르를 거점으로 동양진출. 1664년 서인도회사 - 캐나다, 서인도제도와 기아나(Guiana)에서의 독점권. 하이티, 산토도밍고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사탕농장개발.
b) 재수출로부터의 이득(영국 항구에서의 하역작업 등에서의 이익)
c) 중요한 원료의 확보
영국은 식민지의 경제를 본국의 경제적인 목적에 부합되도록 재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통제:
a) 본국에서 생산할 수 없는 원료나 상품을 생산하도록 권장하기 위해 보조금을 지급. 담배생산의 권장. Indigo의 재배에 대한 보조금.
b) 본국의 상품과 경쟁이 될만한 상품생산을 억제. 1699년 모직물법(Woolen Act), 1732년의 모자법(Hat Act), 1750년 철법(Iron Act) - 식민지산 모직물, 모자 및 제철품수출을 금지하여 식민지의 공업생산을 억제.
(3) 프랑스의 중상주의
중상주의가 체계적으로 강력하게 추진되기 시작한 것은 루이 14세(재임 1643-1715) 치하의 재상 꼴베르(Colbert)에 의해서.
a) 공업의 장려: 특징적인 것은 공업장려를 위해서 공업자에게 특권을 주어 기업을 설립 운영하게 함은 물론 국가 스스로도 기업을 설립. 국립 매뉴팩추어 - 국가가 설립 운영하는 공장제 수공업. 왕립 매뉴팩츄어 및 특권 매뉴팩츄어 - 특권이 부여된 민간공장제수공업. 공업은 고급견직물, 금은제품, 거울, 자기, 가구 등 사치품 제조공업이 주를 이룸. 수요처는 왕실과 귀족들. 대중필수품인 모직공업을 기반으로 한 영국에 비해서 기초가 약한 것이었음. 해외의 수요확대도 기대하기 어려움.
b) 공업통제: 이는 규격의 통일과 고품질의 유지, 그리고 국가수입증대를 위해. 길드통제를 강화하고 그 조직을 전국적으로 확대. 모든 상인 및 수공업자로 하여금 그에 가입하도록 강제. 길드를 국가통제하로 끌어드림.
c) 전국적인 시장의 형성: 단일경제권 형성을 위한 제도의 개선 (도량형의 통일, 통과세의 철폐, 국내관세의 철폐) 및 교통수단의 개선. 제도적인 개혁은 부분적인 성공만을 거두었으나 교통수단의 개선은 큰 성과. (도로의 건설과 개선, 하천개량 및 운하건설)
d) 무역과 해운업: 네덜란드와 영국에 눌려 크게 발전하지 못했음.
e) 식민제국: 17세기부터 적극적으로 해외로 진출. 1627년 신프랑스회사 - 캐나다식민과 모피무역. 1664년 프랑스동인도회사 - 인도의 폰딧셰리와 마다가스카르를 거점으로 동양진출. 1664년 서인도회사 - 캐나다, 서인도제도와 기아나(Guiana)에서의 독점권. 하이티, 산토도밍고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사탕농장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