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애덤 스미스의 경력
2. {국부론}을 쓴 기본 동기
3. {국부론}의 편별 구성
4. {국부론}의 장별 내용
2. {국부론}을 쓴 기본 동기
3. {국부론}의 편별 구성
4. {국부론}의 장별 내용
본문내용
2쪽. 대영제국의 모든 지역들로 하여금 제국전체의 평화시와 전시의 경비를 분담하도록 할 수 없다면, 영국은 제국의 계획을 포기해야 한다.
『국부론』에 관한 몇 가지 토론제목
1. 분업이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주장(상-16쪽)과, 분업이 광범한 문제에 대한 인간의 판단력과 적응력을 감소시킨다는 주장(상-133쪽,하-273쪽)은 어떻게 통일될 수 있는가?
2. 분업이 인간의 교환성향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주장(상-21)은 옳은가? 공장 안의 분업과 사회 안의 분업을 구별해 생각하라.
3. 금본위제하에서는 금화(또는 은화)가 사용되는데, 1원짜리 금화는 금 1그램을 함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쇠고기 1근의 가격이 1원에서 2원으로 상승한 경우, 이 상승이유가 쇠고기 쪽 사정 때문인지 금 쪽 사정 때문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이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상품의 가치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노동'을 제시한 것이다(상-39). 한 상품이 구매.지배할 수 있는 노동량을 그 상품의 '진정한 가치(또는 가격)'라 부른다. 위의 경우 사정이 다음과 같았다면, 금의 진정한 가치가 하락한 것이다.
과거 현재
쇠고기 1근 1원(금1그램) 2원(금2그램)
10시간 노동의 임금 1원 2원
쇠고기 1근이 구매할
수 있는 노동량 10시간의 노동 10시간의 노동
금 1그램이 구매할
수 있는 노동량 10시간의 노동 5시간의 노동
그 뒤 스미스는 불변의 가치척도로서 노동 대신 밀을 사용한다(상-45,182,192,하-14). 과연 밀의 가치는 변동하지 않는 것인가?
4. 노동자가 수행한 노동이 임금.이윤.지대라는 상이한 수입형태로 분해된다는 주장(상-72)과, 임금.이윤.지대가 각각의 특수한 원리에 의해 결정되어 상품가격을 구성한다는 주장(상-55)은 다르지 않는가?
5. 임금은 일정한 '자연적인 수준'을 가진다는 주장(상-74)과, 현재의 최저임금제도를 비교하라.
6. 단순한 미숙련노동과 복잡한 숙련노동의 차이에 대해 말하라.(상-37,53,107)
7. 자본의 이윤은 지휘.감독노동에 대한 보수가 아니라는 주장(상-54)을 음미하라.
8. 경쟁이 과연 이윤율을 저하시키는가?(상-94,339)
9. 이자의 추이가 이윤의 추이를 반영하는가?(상95) 비참한 농촌사회에서 고리대의 횡포가 심한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10. 이자제한법은 이자를 사실상 상승시켰다. 그 이유는?(상-95,342)
11. 이윤을 삭감하는 것이 임금삭감보다 물가를 더욱 크게 인하시킨다는 주장(상-103)을 논평하라.
12. "유럽에서 집임대료가 런던처럼 비싼 도시는 없지만 가구붙은 방 하나가 런던처럼 싸게 임대되는 수도도 없다"(상-123). 그 이유는?
13. university와 master of arts의 기원을 설명하라.(상-125)
14. "인쇄술의 발명 이전에는 학자(scholar)와 거지(beggar)는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어였으며, 대학총장이 학자들에게 걸식할 면허장을 가끔 발행한 것 같다"(상-138). 그 배경은?
15. 구빈법(Poor Law)이 잉글랜드에서 어떻게 노동빈민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었는가?(상-141)
16. "스코틀랜드가 잉글랜드와 합병함으로써 얻은 모든 상업적 이익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아마 소가격 상승이다"(상-225). 그 이유는?
17. 유럽에서 금은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던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가장 빈곤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상-242,402,하-10,108,111)
18. 모든 문명사회의 3대계급인 지주계급.노동자계급.자본가계급 중에서 자본가계급만이 사회의 일반적 이익을 해치는 계급적 이익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상-253)을 비판하라.
19. 금본위제하에서 금화의 사용이 어떻게 점차 은행권의 사용으로 대체되었는가?(상-281)
20. 금본위제하에서는 은행권을 과잉발행한 은행은 도산할 수 있다(상-289). 현재 우리 사회에서 어떤 은행이 자기앞 수표를 과잉발행한 경우 어떻게 되는가?
21.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을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가?(상-318)
22. 자본축적을 수입의 지출절약(즉 저축)에 의한 자본증대와 이것에 의한 생산적 노동자의 고용증대로 파악하는 견해(상-329)는 현재의 상황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23. 국부를 증진시키는 투자우선순위를 농업-->제조업-->상업으로 보는 견해(상-351)를 비판하라.
24. 도시의 상업과 제조업이 농촌의 봉건적 위계질서를 무너뜨리고 자유와 질서를 도입한 과정을 설명하라.(상-392)
25. "국부는 화폐 또는 금은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중상주의와, "국부는 한 나라의 토지.노동의 연간 생산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스미스의 주장 사이의 차이는 무엇인가?(상-408)
26. "보이지 않는 손(an invisible hand)"(상-434)이라는 용어는 『국부론』에서 단 한번 사용된 것인데, 그것의 내용은 무엇인가?
27. 그리스와 로마가 식민지를 건설한 동기는 무엇인가?(하-55)
28. 영국정부가 아메리카식민지산 비열거품의 수출을 유럽에서는 피니스테레 곶(북서부 스페인의 최서단의 곶) 이남의 나라들로 제한한 이유는?(하-78)
29. 대영제국이 아메리카를 식민지로 보유함으로써 손실을 보았다고 하는 이유를 적어보라.(하-113,433)
30. 잉글랜드정부가 모직물업자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해 양과 양모의 수출을 금지한 법규의 난폭성을 살펴보라.(하-145)
31. 중농주의와 '농자천하지대본' 사이에 어떤 유사성이 있는가?(하-160)
32. "고향에 머물러 있던 사람들이 전쟁터에 나간 사람들의 생활유지를 위해 얼마나마 거두기 시작한 것은 베이이(Veii) 포위 이후의 일이었다"(하-194). 그 이전에는 군인들은 어떻게 살았는가? 모택동의 '대장정'과 유사한가?
33. 영국동인도회사의 역사를 이야기하라.(하-243)
34. 유럽에서 대학의 발달과정은 어떠했는가?(하-260)
35. "정부가 종교지도자들과 맺을 수 있는 가장 품위있고 유리한 타협은 그들에게 일정한 봉급을 줌으로써 그들을 매수해 나태하게 만드는 것이다"(하-283에 인용된 데이비드 흄의 주장). 그 이유를 설명하고, 현재의 종교도 비판하라.
『국부론』에 관한 몇 가지 토론제목
1. 분업이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주장(상-16쪽)과, 분업이 광범한 문제에 대한 인간의 판단력과 적응력을 감소시킨다는 주장(상-133쪽,하-273쪽)은 어떻게 통일될 수 있는가?
2. 분업이 인간의 교환성향으로부터 발생한다는 주장(상-21)은 옳은가? 공장 안의 분업과 사회 안의 분업을 구별해 생각하라.
3. 금본위제하에서는 금화(또는 은화)가 사용되는데, 1원짜리 금화는 금 1그램을 함유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만약 쇠고기 1근의 가격이 1원에서 2원으로 상승한 경우, 이 상승이유가 쇠고기 쪽 사정 때문인지 금 쪽 사정 때문인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이 문제를 해명하기 위해 상품의 가치를 측정하는 '척도'로서 '노동'을 제시한 것이다(상-39). 한 상품이 구매.지배할 수 있는 노동량을 그 상품의 '진정한 가치(또는 가격)'라 부른다. 위의 경우 사정이 다음과 같았다면, 금의 진정한 가치가 하락한 것이다.
과거 현재
쇠고기 1근 1원(금1그램) 2원(금2그램)
10시간 노동의 임금 1원 2원
쇠고기 1근이 구매할
수 있는 노동량 10시간의 노동 10시간의 노동
금 1그램이 구매할
수 있는 노동량 10시간의 노동 5시간의 노동
그 뒤 스미스는 불변의 가치척도로서 노동 대신 밀을 사용한다(상-45,182,192,하-14). 과연 밀의 가치는 변동하지 않는 것인가?
4. 노동자가 수행한 노동이 임금.이윤.지대라는 상이한 수입형태로 분해된다는 주장(상-72)과, 임금.이윤.지대가 각각의 특수한 원리에 의해 결정되어 상품가격을 구성한다는 주장(상-55)은 다르지 않는가?
5. 임금은 일정한 '자연적인 수준'을 가진다는 주장(상-74)과, 현재의 최저임금제도를 비교하라.
6. 단순한 미숙련노동과 복잡한 숙련노동의 차이에 대해 말하라.(상-37,53,107)
7. 자본의 이윤은 지휘.감독노동에 대한 보수가 아니라는 주장(상-54)을 음미하라.
8. 경쟁이 과연 이윤율을 저하시키는가?(상-94,339)
9. 이자의 추이가 이윤의 추이를 반영하는가?(상95) 비참한 농촌사회에서 고리대의 횡포가 심한 것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10. 이자제한법은 이자를 사실상 상승시켰다. 그 이유는?(상-95,342)
11. 이윤을 삭감하는 것이 임금삭감보다 물가를 더욱 크게 인하시킨다는 주장(상-103)을 논평하라.
12. "유럽에서 집임대료가 런던처럼 비싼 도시는 없지만 가구붙은 방 하나가 런던처럼 싸게 임대되는 수도도 없다"(상-123). 그 이유는?
13. university와 master of arts의 기원을 설명하라.(상-125)
14. "인쇄술의 발명 이전에는 학자(scholar)와 거지(beggar)는 거의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어였으며, 대학총장이 학자들에게 걸식할 면허장을 가끔 발행한 것 같다"(상-138). 그 배경은?
15. 구빈법(Poor Law)이 잉글랜드에서 어떻게 노동빈민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었는가?(상-141)
16. "스코틀랜드가 잉글랜드와 합병함으로써 얻은 모든 상업적 이익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아마 소가격 상승이다"(상-225). 그 이유는?
17. 유럽에서 금은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던 스페인과 포르투갈이 가장 빈곤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상-242,402,하-10,108,111)
18. 모든 문명사회의 3대계급인 지주계급.노동자계급.자본가계급 중에서 자본가계급만이 사회의 일반적 이익을 해치는 계급적 이익을 가지고 있다는 주장(상-253)을 비판하라.
19. 금본위제하에서 금화의 사용이 어떻게 점차 은행권의 사용으로 대체되었는가?(상-281)
20. 금본위제하에서는 은행권을 과잉발행한 은행은 도산할 수 있다(상-289). 현재 우리 사회에서 어떤 은행이 자기앞 수표를 과잉발행한 경우 어떻게 되는가?
21. 생산적 노동과 비생산적 노동을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가?(상-318)
22. 자본축적을 수입의 지출절약(즉 저축)에 의한 자본증대와 이것에 의한 생산적 노동자의 고용증대로 파악하는 견해(상-329)는 현재의 상황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아닌가?
23. 국부를 증진시키는 투자우선순위를 농업-->제조업-->상업으로 보는 견해(상-351)를 비판하라.
24. 도시의 상업과 제조업이 농촌의 봉건적 위계질서를 무너뜨리고 자유와 질서를 도입한 과정을 설명하라.(상-392)
25. "국부는 화폐 또는 금은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중상주의와, "국부는 한 나라의 토지.노동의 연간 생산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스미스의 주장 사이의 차이는 무엇인가?(상-408)
26. "보이지 않는 손(an invisible hand)"(상-434)이라는 용어는 『국부론』에서 단 한번 사용된 것인데, 그것의 내용은 무엇인가?
27. 그리스와 로마가 식민지를 건설한 동기는 무엇인가?(하-55)
28. 영국정부가 아메리카식민지산 비열거품의 수출을 유럽에서는 피니스테레 곶(북서부 스페인의 최서단의 곶) 이남의 나라들로 제한한 이유는?(하-78)
29. 대영제국이 아메리카를 식민지로 보유함으로써 손실을 보았다고 하는 이유를 적어보라.(하-113,433)
30. 잉글랜드정부가 모직물업자의 이익을 옹호하기 위해 양과 양모의 수출을 금지한 법규의 난폭성을 살펴보라.(하-145)
31. 중농주의와 '농자천하지대본' 사이에 어떤 유사성이 있는가?(하-160)
32. "고향에 머물러 있던 사람들이 전쟁터에 나간 사람들의 생활유지를 위해 얼마나마 거두기 시작한 것은 베이이(Veii) 포위 이후의 일이었다"(하-194). 그 이전에는 군인들은 어떻게 살았는가? 모택동의 '대장정'과 유사한가?
33. 영국동인도회사의 역사를 이야기하라.(하-243)
34. 유럽에서 대학의 발달과정은 어떠했는가?(하-260)
35. "정부가 종교지도자들과 맺을 수 있는 가장 품위있고 유리한 타협은 그들에게 일정한 봉급을 줌으로써 그들을 매수해 나태하게 만드는 것이다"(하-283에 인용된 데이비드 흄의 주장). 그 이유를 설명하고, 현재의 종교도 비판하라.
추천자료
자유방임주의란
경영활동의 조직화에 대한 이해와 분석-이론과 실제
4부문경제 단순모형에서의 균형산출량의 결정과 개방경제승수
BPM과 BPR
여성과 직업개발 -윤리경영전략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독후감 서평 요약 줄거리 대런 애쓰모글루 제임스 A. 로빈슨!!!!
[a+ 서평독후감]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를 읽고
[경제학] 대공황 이후 거시경제학의 두 학파
사다리 걷어차기를 읽고 장하준 저,독후감
국제마케팅 레포트
불평등의 대가 [독후감 감상문 서평] 조지프 스티글리츠!
시장실패의 원인과 대책.
21세기 자본 독후감 감상문 서평 토마 피케티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 발생의 배경을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를 통해 설명하고 당시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