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머리말
Ⅱ. 케인즈학파 단순모형
1. 기본가정 및 기본요소
2. 단순모형의 체계
Ⅲ. 순수출의 결정요인
1. 수입 함수
2. 수출 함수
Ⅳ. 균형산출량의 결정
1. 총지출함수에 의한 균형산출량
2. ‘저축 = 투자’에 의한 균형산출량의 결정
Ⅴ. 개방경제 승수
1. 승수이론의 가정
2. 승수이론의 한계
3. 개방경제 승수
Ⅳ. 맺음말
Ⅱ. 케인즈학파 단순모형
1. 기본가정 및 기본요소
2. 단순모형의 체계
Ⅲ. 순수출의 결정요인
1. 수입 함수
2. 수출 함수
Ⅳ. 균형산출량의 결정
1. 총지출함수에 의한 균형산출량
2. ‘저축 = 투자’에 의한 균형산출량의 결정
Ⅴ. 개방경제 승수
1. 승수이론의 가정
2. 승수이론의 한계
3. 개방경제 승수
Ⅳ. 맺음말
본문내용
資'에 의한 均衡産出量의 決定
① 産出量이 Y1인 경우 産出量이 의도된 總支出보다 더 크다.
Y > C + I + G + (X - M)
② 産出量 Y는 가처분소득과 租稅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Y = Yd + T 이다.
③ Y1에서는 Yd + T > C + I + G + (X - M) 가 된다.
④ 이것을 정리하면 (Yd - C) + T + M > I + G + X 가 된다.
⑤ 앞쪽의 (Yd - C)는 家計貯蓄(Sh)이다. 즉 Sh + T + M > I + G + X 가 된다.
이것을 나타낸 것이 그림의 Y1의 상태다.
⑥ Sh + T + M은 가계 貯蓄函數
貯蓄이 어떠한 經濟變數에 의존하여 정해지는가를 나타낸 函數로써 貯蓄은 所得 중에서 消費되지 않은 殘餘部分이므로 所得에 依存하고 있다. 또 經濟 主體인 個人은 현재의 消費와 장래의 消費를 비교하여 貯蓄을 하므로 이자율에도 依存하여 結晶된다. 가장 간단한 貯蓄 函數는 貯蓄을 S, 所得을 Y, 貯蓄函數 S=f(Y)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Y가 커지면 그에 따라 S도 커진다. 또한 貯蓄에 영향을 주는 다른 變數로서 최근의 最高 所得水準·資産 등이 導入되기도 한다.
과 租稅函數 그리고 輸入函數를 수직으로 합한 것
으로 그 기울기는 貯蓄函數보다 더 가파른 형태를 띤다.
⑦ I + G + X는 투자와 정부지출과 輸出을 합한 것으로 이들은 모두 外甥勣이므로
수평선으로 주어져 있다.
⑧ Sh + T + M = I + G + X 인 E점에서 원하지 않는 재고의 變化가 없으며 따라서
均衡이 된다. 그리고 이때의 産出量이 均衡産出量(YE)이 된다.
Ⅴ. 開放經濟 乘數
독립지출의 변화에 따라 균형국민소득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를 말한다.
승수=균형국민소득증가분/독립지출증가분이라는 식이 표출 됨.
1. 乘數理論의 假定
① 물가의 고정성, 잉여생산능력의 존재 등 케인스학파의 가정을 그대로 수용.
② 새로운 균형까지는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기간이 필요.
③ 총수요의 독립적 증가는 일시적 증가가 아니라 무한대의 기간 중 영구적 증가.
2. 乘數理論의 限界
① 잉여생산능력 등 공급측면에 애로가 있으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② 한계소비성향(c)의 값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승수효과를 확정적으
로 표시할 수 없다.
③ 현실적으로는 무한대의 기간이 아니므로 크기가 이론적 계산의 값보다 작다.
3. 開放經濟 乘數
개방경제승수를 식으로 보면
산출량의 증가( Y)
=
G
1
1 - MPC + MPM
=
G
1
MPS + MPM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부지출의 개방경제 승수는
Y
=
1
=
1
G
1 - MPC + MPM
MPS + MPM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보면 폐쇄경제의 경우에 비해 개방경제승수는 더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외생적인 투자가 증가하는 경우나 외생적인 수출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정부지출이 증가하는 경우와 동일한 산출량증가 효과를 갖기 때문에 투자와 수출의 개방승수도 그 크기는 같게 된다. 이러한 재정정책수단의 변화가 아니더라도 수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적인 변수가 변화하게 되면 균형산출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이름이 무엇이든 중요한 것은 외생적인 변수의 변화 또는 어떤 사건의 발생(예컨대 외국의 경제성장가속, 외국의 인플레이션, 수입품불매운동 등등)이 어떤 함수에 어떤 영향을 주어 균형산출량이 어떻게 되는지를 잘 살펴보는 것이다. 이것이 경제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Ⅵ. 맺음말
위에서 살펴본 케인즈의 單純模型은 物價가 주어진 狀態의 분석이므로 消費나 投資와 같은 持出이 增價하면 産出量이 增價한다고 이야기하였다.
海外의 生産物을 國內에서 구매하는 것이 輸入이므로 국내의 所得이 크면 클수록 輸入이 더 많이 하게 된다. 우리나라가 더 잘살게 되고 더 産出量이 크면 외국의 물건을 더 많이 購買하게 된다.
그에 반면 輸出은 외국의 所得이 增價하거나 외국이 더 잘 살게 되면 외국인의 需要가 增價하게 되며 따라서 輸出이 增價할 것이다. 미국의 經濟가 활성화 되어 成長率이 높아지고 所得이 增價한다면 우리의 輸出이 더 잘 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보면 輸入에 유리한 조건은 輸出에 불리하게 되고 輸入에 불리한 조건은 輸出에 유리하게 된다.
開放經濟의 均衡産出量 決定 原則과 閉鎖經濟의 均衡産出量 決定 原則은 별반 차이가 없다. 단 閉鎖經濟에 비해 開放經濟에서는 順輸出이라는 海外部門의 持出項目이 追加 된다 약간의 差異가 있을 분이다.
위에서 본 케인즈의 乘數模型은 현실이 매우 單純化시킨 理論이다. 매우 單純하기 때문에 理解하기가 쉽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너무 강한 주장이 제시되기도 하고 때로는 非現實的인 結果가 導出되기도 한다. 乘數模型은 經濟全體의 産出量의 크기가 生産物시장에서의 需要와 供給에 의해 結晶된다고 보고 있다. 生産物시장에서 供給能力은 무한히 주어지고 需要(總支出)의 크기에 의해 産出量의 크기가 決定된다고 본다. 貨幣나 勞動시장과의 관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케인즈적인 見害를 가지고 있느냐에 없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또 經濟의 상황이 不況이냐 完全雇用 상태냐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經濟가 호황인 경우에는 貯蓄이 美德이 되며 經濟가 불황인 경우에는 消費가 美德이 된다.
이를 끝으로 海外部門 均衡産出量의 決定과 開方經濟乘數에 관한 글을 마칩니다.
參考文獻
-
안철원 · 이근식 공저
『경제원론 B』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3.
-
전상준 지음
『거시경제학입문』
「서문대학교 출판부」
2002.
-
이홍윤 저
『거시경제학』
「경세원」
2000.
-
고영호 지음
『새경제학원론』
「형설출판사」
1998.
-
주한광 저
『경제학 포럼』
「栗谷出版社」
1999.
-
심승진 저
『거시경제의 PC분석』
「형설출판사」
1998.
-
조정조 편저
『경제학연습』
「형설출판사」
1999.
-
최식인 지음
『경제학원리』
「교육과학사」
2000.
-
현대경제학의 이해
http://nengjung.kit.ac.kr/~kcjang/eco/
-
야후! 백과사전
http://kr.encycl.yahoo.com/
-
백과사전 네이버
http://100.naver.com/
① 産出量이 Y1인 경우 産出量이 의도된 總支出보다 더 크다.
Y > C + I + G + (X - M)
② 産出量 Y는 가처분소득과 租稅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즉 Y = Yd + T 이다.
③ Y1에서는 Yd + T > C + I + G + (X - M) 가 된다.
④ 이것을 정리하면 (Yd - C) + T + M > I + G + X 가 된다.
⑤ 앞쪽의 (Yd - C)는 家計貯蓄(Sh)이다. 즉 Sh + T + M > I + G + X 가 된다.
이것을 나타낸 것이 그림의 Y1의 상태다.
⑥ Sh + T + M은 가계 貯蓄函數
貯蓄이 어떠한 經濟變數에 의존하여 정해지는가를 나타낸 函數로써 貯蓄은 所得 중에서 消費되지 않은 殘餘部分이므로 所得에 依存하고 있다. 또 經濟 主體인 個人은 현재의 消費와 장래의 消費를 비교하여 貯蓄을 하므로 이자율에도 依存하여 結晶된다. 가장 간단한 貯蓄 函數는 貯蓄을 S, 所得을 Y, 貯蓄函數 S=f(Y)로 표시되며, 일반적으로 Y가 커지면 그에 따라 S도 커진다. 또한 貯蓄에 영향을 주는 다른 變數로서 최근의 最高 所得水準·資産 등이 導入되기도 한다.
과 租稅函數 그리고 輸入函數를 수직으로 합한 것
으로 그 기울기는 貯蓄函數보다 더 가파른 형태를 띤다.
⑦ I + G + X는 투자와 정부지출과 輸出을 합한 것으로 이들은 모두 外甥勣이므로
수평선으로 주어져 있다.
⑧ Sh + T + M = I + G + X 인 E점에서 원하지 않는 재고의 變化가 없으며 따라서
均衡이 된다. 그리고 이때의 産出量이 均衡産出量(YE)이 된다.
Ⅴ. 開放經濟 乘數
독립지출의 변화에 따라 균형국민소득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를 말한다.
승수=균형국민소득증가분/독립지출증가분이라는 식이 표출 됨.
1. 乘數理論의 假定
① 물가의 고정성, 잉여생산능력의 존재 등 케인스학파의 가정을 그대로 수용.
② 새로운 균형까지는 이론적으로 무한대의 기간이 필요.
③ 총수요의 독립적 증가는 일시적 증가가 아니라 무한대의 기간 중 영구적 증가.
2. 乘數理論의 限界
① 잉여생산능력 등 공급측면에 애로가 있으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② 한계소비성향(c)의 값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승수효과를 확정적으
로 표시할 수 없다.
③ 현실적으로는 무한대의 기간이 아니므로 크기가 이론적 계산의 값보다 작다.
3. 開放經濟 乘數
개방경제승수를 식으로 보면
산출량의 증가( Y)
=
G
1
1 - MPC + MPM
=
G
1
MPS + MPM
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정부지출의 개방경제 승수는
Y
=
1
=
1
G
1 - MPC + MPM
MPS + MPM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보면 폐쇄경제의 경우에 비해 개방경제승수는 더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외생적인 투자가 증가하는 경우나 외생적인 수출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정부지출이 증가하는 경우와 동일한 산출량증가 효과를 갖기 때문에 투자와 수출의 개방승수도 그 크기는 같게 된다. 이러한 재정정책수단의 변화가 아니더라도 수출입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적인 변수가 변화하게 되면 균형산출량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이름이 무엇이든 중요한 것은 외생적인 변수의 변화 또는 어떤 사건의 발생(예컨대 외국의 경제성장가속, 외국의 인플레이션, 수입품불매운동 등등)이 어떤 함수에 어떤 영향을 주어 균형산출량이 어떻게 되는지를 잘 살펴보는 것이다. 이것이 경제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Ⅵ. 맺음말
위에서 살펴본 케인즈의 單純模型은 物價가 주어진 狀態의 분석이므로 消費나 投資와 같은 持出이 增價하면 産出量이 增價한다고 이야기하였다.
海外의 生産物을 國內에서 구매하는 것이 輸入이므로 국내의 所得이 크면 클수록 輸入이 더 많이 하게 된다. 우리나라가 더 잘살게 되고 더 産出量이 크면 외국의 물건을 더 많이 購買하게 된다.
그에 반면 輸出은 외국의 所得이 增價하거나 외국이 더 잘 살게 되면 외국인의 需要가 增價하게 되며 따라서 輸出이 增價할 것이다. 미국의 經濟가 활성화 되어 成長率이 높아지고 所得이 增價한다면 우리의 輸出이 더 잘 될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를 보면 輸入에 유리한 조건은 輸出에 불리하게 되고 輸入에 불리한 조건은 輸出에 유리하게 된다.
開放經濟의 均衡産出量 決定 原則과 閉鎖經濟의 均衡産出量 決定 原則은 별반 차이가 없다. 단 閉鎖經濟에 비해 開放經濟에서는 順輸出이라는 海外部門의 持出項目이 追加 된다 약간의 差異가 있을 분이다.
위에서 본 케인즈의 乘數模型은 현실이 매우 單純化시킨 理論이다. 매우 單純하기 때문에 理解하기가 쉽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너무 강한 주장이 제시되기도 하고 때로는 非現實的인 結果가 導出되기도 한다. 乘數模型은 經濟全體의 産出量의 크기가 生産物시장에서의 需要와 供給에 의해 結晶된다고 보고 있다. 生産物시장에서 供給能力은 무한히 주어지고 需要(總支出)의 크기에 의해 産出量의 크기가 決定된다고 본다. 貨幣나 勞動시장과의 관련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케인즈적인 見害를 가지고 있느냐에 없느냐에 따라 달라지며 또 經濟의 상황이 不況이냐 完全雇用 상태냐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經濟가 호황인 경우에는 貯蓄이 美德이 되며 經濟가 불황인 경우에는 消費가 美德이 된다.
이를 끝으로 海外部門 均衡産出量의 決定과 開方經濟乘數에 관한 글을 마칩니다.
參考文獻
-
안철원 · 이근식 공저
『경제원론 B』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3.
-
전상준 지음
『거시경제학입문』
「서문대학교 출판부」
2002.
-
이홍윤 저
『거시경제학』
「경세원」
2000.
-
고영호 지음
『새경제학원론』
「형설출판사」
1998.
-
주한광 저
『경제학 포럼』
「栗谷出版社」
1999.
-
심승진 저
『거시경제의 PC분석』
「형설출판사」
1998.
-
조정조 편저
『경제학연습』
「형설출판사」
1999.
-
최식인 지음
『경제학원리』
「교육과학사」
2000.
-
현대경제학의 이해
http://nengjung.kit.ac.kr/~kcjang/eco/
-
야후! 백과사전
http://kr.encycl.yahoo.com/
-
백과사전 네이버
http://100.naver.com/
추천자료
[경제학원론12] 자본시장, 이자 그리고 이윤
경제 원론
중국의 개혁 , 개방정책(경제특구를 중심으로)
중국의 개혁, 개방정책(경제특구를 중심으로)
중국의 개혁개방이 세계경제정치에서 가지는 의미
중국의 개혁개방과 경제성장
[북한경제개혁][북한경제][북한의 경제][북한경제정책][북한개방화]북한경제개혁의 배경과 의...
중국 경제의 변화와 개혁개방정책의 전망
기초미시경제론 1학년 공통) 대형마트 규제의 경제적 효과를 논하시오. 쌀시장 개방이 국내 ...
[기초미시경제론] 1) 대형마트 규제의 경제적 효과, 2) 쌀시장 개방이 국내 농산물 시장에 미...
중국의 개혁과 개방정책과 중국경제의 부상 (중국의 시대별 개혁, 개방, 중국의 개혁, 개방의...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핵심내용, 북한 7 1조치(북한 7 1경제관리개선조치)...
『국부론(國富論)』을 읽고 _ 아담 스미스 저 [경제원론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