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계산 및 단위환산[m.k.s]
1>유량의 단위 환산
2>압력의 단위 환산
3>Total head
4>이론 소요동력 (P=0.163××Q×H)
5>실제 소요동력[P=V×Amp×(1/1000)]
6>소요동력 및 효율
◈실험 결과값
1>유량의 단위 환산
2>압력의 단위 환산
3>Total head
4>이론 소요동력 (P=0.163××Q×H)
5>실제 소요동력[P=V×Amp×(1/1000)]
6>소요동력 및 효율
◈실험 결과값
본문내용
10000
10
2.29
229
8
6.83×10-4
1
4000
4
2
200
<펌프의 소요동력 및 압력 그래프>
-횡축상의 임의의 토출량에서 올려 그린 수직선이 각 성능곡선과 만나는 점이 그 토출량에서의 전양정, 펌프효율η, 소요동력을 알수있다.
-토출량이 큰 범위에서 운전되면 펌프가 낼 수 있는 전양정은 감소하고, 역으로 토출량이 작은 범위에서 운전되면 펌프가 낼 수 있는 전양정은 증대하며 토출량이 0인 체결점에서는 거의 최고점에 이르지만 펌프 효율은 0으로 되며 그 때의 소요동력하위부는 유효한 펌프 일이 아니라 대부분의 열로 낭비되어 버린다.
-펌프 효율은 설계유량 Q에서 최고값을 가지므로 그 부근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펌프효율은 펌프 전양정이 전부 유효하게 이용되는 경우의 값이므로 밸브등에서 교축시켜 손실을 주면서 운전하는 실제의 이용효율은 성능곡선도의 값보다 낮다.
-회전차의 외경가공에 따른 펌프 전양정 곡선(H-Q곡선)을 변화시키면 엄밀한 의미에서 상사법칙의 적용이 곤란하며,
-펌프효율 η도 약간 변화된다. 이와같이 펌프의 H-Q곡선을 변화시킨 경우 각 H-Q곡선마다 같은 효율 점을 연결하여서 등효율 곡선을 그릴 수 있다.
10
2.29
229
8
6.83×10-4
1
4000
4
2
200
<펌프의 소요동력 및 압력 그래프>
-횡축상의 임의의 토출량에서 올려 그린 수직선이 각 성능곡선과 만나는 점이 그 토출량에서의 전양정, 펌프효율η, 소요동력을 알수있다.
-토출량이 큰 범위에서 운전되면 펌프가 낼 수 있는 전양정은 감소하고, 역으로 토출량이 작은 범위에서 운전되면 펌프가 낼 수 있는 전양정은 증대하며 토출량이 0인 체결점에서는 거의 최고점에 이르지만 펌프 효율은 0으로 되며 그 때의 소요동력하위부는 유효한 펌프 일이 아니라 대부분의 열로 낭비되어 버린다.
-펌프 효율은 설계유량 Q에서 최고값을 가지므로 그 부근에서 운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펌프효율은 펌프 전양정이 전부 유효하게 이용되는 경우의 값이므로 밸브등에서 교축시켜 손실을 주면서 운전하는 실제의 이용효율은 성능곡선도의 값보다 낮다.
-회전차의 외경가공에 따른 펌프 전양정 곡선(H-Q곡선)을 변화시키면 엄밀한 의미에서 상사법칙의 적용이 곤란하며,
-펌프효율 η도 약간 변화된다. 이와같이 펌프의 H-Q곡선을 변화시킨 경우 각 H-Q곡선마다 같은 효율 점을 연결하여서 등효율 곡선을 그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