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아동의 성장 발달에 따른 사고유형 및 예방법>
[영아기(1개월~1년)]
<영아기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와 예방법>
1) 0~4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사고예방대책
2) 4~7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3) 8~12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사항
사고예방대책
[유아기(1세~3세)]
[학령전기 3세~6세)]
‣사고 예방 대책
[학령기(6~12세)]
‣사고예방대책
[청소년기(12세~18세)]
사고 예방대책
[영아기(1개월~1년)]
<영아기에 일어날 수 있는 사고와 예방법>
1) 0~4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사고예방대책
2) 4~7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3) 8~12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사항
사고예방대책
[유아기(1세~3세)]
[학령전기 3세~6세)]
‣사고 예방 대책
[학령기(6~12세)]
‣사고예방대책
[청소년기(12세~18세)]
사고 예방대책
본문내용
에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영아를 수분 이상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노출된 부위는 덮어서 가려준다.
-내화성 의류는 라벨의 지시사항대로 세탁한다.
-차가운 증기가 나오는 가습기를 사용한다.
-주차된 자동차 안에 영아를 혼자 남겨두지 않는다.
⑤자동차 사고
-영아는 정부에서 승인된 규격품으로 자동차 뒷자석에 등받이를 마주보게 안전의자에 앉 혀서 수송한다.
-영아를 자동차 좌석이나 무릎에 앉히지 않는다.
-영아가 탄 유모차를 주차된 차 뒤에 방치하지 않는다.
-영아를 에어백이 부착된 앞좌석에 앉히지 않는다.
⑥신체손상
-날카롭고 뾰족한 물체를 치운다.
-핀은 잠궈서 영아의 손이 닿지 않은 곳에 둔다.
2) 4~7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뒤집기를 한다. -눈과 손의 협응이 잘 발달된다.
-순간적으로 앉는다. -아주 작은 물체에 시선을 집중시켜 찾아낼 수 있다.
-떨어진 물체를 찾는다. -입 오물거림이 두드러진다.
-작은 물체를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다. -뒤로 기어간다.
-손과 무릎으로 밀면서 길 수 있다.
①흡인
-단추, 구슬, 주사기 뚜껑과 기타 작은 물체들이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한다.
-마룻바닥에 작은 물체를 놓아두지 않는다.
-영아가 딱딱한 사탕, 땅콩과 씨가 있는 음식, 핫도그를 통째로 삼킬 수 있으므로 주의.
-영아가 누워 있을 때 음식을 먹이지 않는다.
-장난감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한다.
-파우더는 사용 후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세탁액, 페인트, 살충제 및 기타 유독성 물질을 집안에 필요 이상 보관하지 않는다.
-독극물을 담았던 빈 용기는 사용 후 버린다.
-단추 크기의 건전지는 사용 후 버리고 새로운 건전지는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②화상
-수도꼭지에 닿지 않도록 한다.
-담배, 양초, 향 같은 뜨거운 물체는 높은 곳에 둔다.
-햇빛에 노출을 제한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준다.
③질식
-모든 고무풍선은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5개월 이상 되면 아기가 손이나 무릎으로 밀어 올리기 시작하므로 아기침대 이동식 놀 이터의 난간을 가로질러 매달리는 장난감을 묶어두지 않는다.
④낙상
-높은 의자에 앉힐 때는 억제대를 한다.
-아기침대 난간은 최대한 높이까지 올린다.
⑤중독
-가구나 장난감에 칠해진 페인트에 납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유독성 물질은 높은 선반에 두거나 캐비닛에 넣고 잠궈야 한다.
-화초는 걸어 두거나 마루보다 높은 위치에 둔다.
⑥신체적 손상
-부드럽고 둥글며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장난감을 준다.
-길고 뾰족한 물체를 장난감으로 주지 않는다.
-날카로운 물체를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한다.
-지나치게 큰 소리가 나는 장난감은 피한다.
3) 8~12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사항
-엎드려서 잘 기어 다닌다. -걷는다.
-가구를 잡고 일어선다. -기어 올라간다.
-혼자 선다. -물체를 잡아당긴다.
-가구 주위를 돌아다닌다. -물체를 던진다.
-작은 물체를 집어올릴 수 있다. -물체를 입안에 집어넣어 탐색한다.
-억제당하는 것을 싫어한다. -부모에게서 떨어져 탐색한다.
-간단한 명령과 구문에 대한 이해가 증가된다.
사고예방대책
①흡인
-작은 물체를 마루나 가구에서 치우고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고형식이를 줄 때 아주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서 먹인다.
-콩 주머니 장난감이나 마른 콩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한다.
②질식/익사
-오븐,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의 문은 항상 닫아둔다.
-사용하지 않는 냉장고나 가구의 문은 떼어놓은 채 보관한다.
-수영장 풀에 울타리를 한다.
-세탁용 양동이, 배수구, 화장실 등 물이 가까운 곳에서는 항상 감시한다.
-목욕탕 문은 닫아둔다.
-수영장의 불필요한 물은 뺀다.
-목욕을 시키는 동안 영아는 항상 한 손으로 붙잡고 있는다.
③낙상
-계단의 맨 위와 아래를 막아서 영아의 접근에 대비한다.
-영아에게 안전한 옷과 신발을 착용케 한다.(바지 끝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하며, 구두나 신발에 미끄러지지 않게 신발의 끈을 묶어 준다.)
-특히 계단 근처에서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가능한 한 보행기는 피한다.
-가구는 영아가 혼자 잡아당겨도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지를 확인한다.
④중독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약품과 독극물은 사용 즉시 안전한 자리에 도로 갖다 놓는데 아이가 쉽게 뚜껑을 열 수 없는 것이 적당하다.
-가정에 구토제인 토근시럽을 상비약으로 비치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한 후 사용한다.
⑤화상
-모든 난방기구, 난로, 아궁이 앞이나 주변에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전기선은 감추거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전기 콘센트에 플라스틱 안전 덮개를 하거나 콘센트 앞에 배치한다.
-아기가 뜨거운 물이나 무겁고 날카로운 물체를 밑으로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늘어진 식탁보가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한다.
-정수기의 뜨거운 물을 영아가 눌러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안전장치가 달린 정수기를 사용한다.
[유아기(1세~3세)]
-프로이드의 이론에서 항문기에 해당한다.
⇒괄약근이 발달하고 자신의 의지대로 대변을 참거나 누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관심이 항문부위로 집중됨
-에릭슨의 이론에서 자율감 대 수치심과 의심의 단계에 해당한다.
⇒혼자 걷게 됨. 언어를 사용하게 됨. 눈에 보이는 것은 스스로 시험해 보고자 함.
손의 움직임도 자유로움. 배변훈련- 불안, 좌절을 겪음 - 성격 형성에 영향을 줌
자신의 개성을 보이고 싶은 마음. 부모에게 의존해야 하는 현실-갈등 초래- 분노발작
-이 시기의 아동은 분노발작, 거부증, 고집부리기 등을 통하여 사물의 작용방식과 다른 사 람을 조정하는 방법을 알아내려고 한다. 이 환경 탐색 시기는 부모와 아동에게 도전적인 시기일 수도 있지만 발달 성취와 지적 성장에 아주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학령전기 3세~6세)]
-프로이드의 이론에서 남근기에 해당
⇒신체 부위 중 생식기가 관심의 대상이자 민감한 곳이 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일렉트라 콤플렉스, 남근선망, 및 거세불안 등이 집중되는 시기
-에릭슨의 이론에서 솔선감 대 죄책감에 해당
⇒상상력, 환상이 풍부함- 짓
-영아를 수분 이상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노출된 부위는 덮어서 가려준다.
-내화성 의류는 라벨의 지시사항대로 세탁한다.
-차가운 증기가 나오는 가습기를 사용한다.
-주차된 자동차 안에 영아를 혼자 남겨두지 않는다.
⑤자동차 사고
-영아는 정부에서 승인된 규격품으로 자동차 뒷자석에 등받이를 마주보게 안전의자에 앉 혀서 수송한다.
-영아를 자동차 좌석이나 무릎에 앉히지 않는다.
-영아가 탄 유모차를 주차된 차 뒤에 방치하지 않는다.
-영아를 에어백이 부착된 앞좌석에 앉히지 않는다.
⑥신체손상
-날카롭고 뾰족한 물체를 치운다.
-핀은 잠궈서 영아의 손이 닿지 않은 곳에 둔다.
2) 4~7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뒤집기를 한다. -눈과 손의 협응이 잘 발달된다.
-순간적으로 앉는다. -아주 작은 물체에 시선을 집중시켜 찾아낼 수 있다.
-떨어진 물체를 찾는다. -입 오물거림이 두드러진다.
-작은 물체를 손으로 잡고 조작할 수 있다. -뒤로 기어간다.
-손과 무릎으로 밀면서 길 수 있다.
①흡인
-단추, 구슬, 주사기 뚜껑과 기타 작은 물체들이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한다.
-마룻바닥에 작은 물체를 놓아두지 않는다.
-영아가 딱딱한 사탕, 땅콩과 씨가 있는 음식, 핫도그를 통째로 삼킬 수 있으므로 주의.
-영아가 누워 있을 때 음식을 먹이지 않는다.
-장난감에서 떨어져 나갈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한다.
-파우더는 사용 후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세탁액, 페인트, 살충제 및 기타 유독성 물질을 집안에 필요 이상 보관하지 않는다.
-독극물을 담았던 빈 용기는 사용 후 버린다.
-단추 크기의 건전지는 사용 후 버리고 새로운 건전지는 안전한 곳에 보관한다.
②화상
-수도꼭지에 닿지 않도록 한다.
-담배, 양초, 향 같은 뜨거운 물체는 높은 곳에 둔다.
-햇빛에 노출을 제한하고 자외선 차단제를 발라준다.
③질식
-모든 고무풍선은 영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5개월 이상 되면 아기가 손이나 무릎으로 밀어 올리기 시작하므로 아기침대 이동식 놀 이터의 난간을 가로질러 매달리는 장난감을 묶어두지 않는다.
④낙상
-높은 의자에 앉힐 때는 억제대를 한다.
-아기침대 난간은 최대한 높이까지 올린다.
⑤중독
-가구나 장난감에 칠해진 페인트에 납성분이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유독성 물질은 높은 선반에 두거나 캐비닛에 넣고 잠궈야 한다.
-화초는 걸어 두거나 마루보다 높은 위치에 둔다.
⑥신체적 손상
-부드럽고 둥글며 목재나 플라스틱으로 장난감을 준다.
-길고 뾰족한 물체를 장난감으로 주지 않는다.
-날카로운 물체를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한다.
-지나치게 큰 소리가 나는 장난감은 피한다.
3) 8~12개월의 영아
영아의 주요 발달 사항
-엎드려서 잘 기어 다닌다. -걷는다.
-가구를 잡고 일어선다. -기어 올라간다.
-혼자 선다. -물체를 잡아당긴다.
-가구 주위를 돌아다닌다. -물체를 던진다.
-작은 물체를 집어올릴 수 있다. -물체를 입안에 집어넣어 탐색한다.
-억제당하는 것을 싫어한다. -부모에게서 떨어져 탐색한다.
-간단한 명령과 구문에 대한 이해가 증가된다.
사고예방대책
①흡인
-작은 물체를 마루나 가구에서 치우고 아동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고형식이를 줄 때 아주 작은 조각으로 만들어서 먹인다.
-콩 주머니 장난감이나 마른 콩을 가지고 놀지 않도록 한다.
②질식/익사
-오븐,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의 문은 항상 닫아둔다.
-사용하지 않는 냉장고나 가구의 문은 떼어놓은 채 보관한다.
-수영장 풀에 울타리를 한다.
-세탁용 양동이, 배수구, 화장실 등 물이 가까운 곳에서는 항상 감시한다.
-목욕탕 문은 닫아둔다.
-수영장의 불필요한 물은 뺀다.
-목욕을 시키는 동안 영아는 항상 한 손으로 붙잡고 있는다.
③낙상
-계단의 맨 위와 아래를 막아서 영아의 접근에 대비한다.
-영아에게 안전한 옷과 신발을 착용케 한다.(바지 끝이 바닥에 닿지 않게 하며, 구두나 신발에 미끄러지지 않게 신발의 끈을 묶어 준다.)
-특히 계단 근처에서 보행기를 사용하지 않으며, 가능한 한 보행기는 피한다.
-가구는 영아가 혼자 잡아당겨도 움직이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지를 확인한다.
④중독
-의사의 처방전 없이 약물을 투여하지 않는다.
-약품과 독극물은 사용 즉시 안전한 자리에 도로 갖다 놓는데 아이가 쉽게 뚜껑을 열 수 없는 것이 적당하다.
-가정에 구토제인 토근시럽을 상비약으로 비치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한 후 사용한다.
⑤화상
-모든 난방기구, 난로, 아궁이 앞이나 주변에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전기선은 감추거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둔다.
-전기 콘센트에 플라스틱 안전 덮개를 하거나 콘센트 앞에 배치한다.
-아기가 뜨거운 물이나 무겁고 날카로운 물체를 밑으로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늘어진 식탁보가 영아의 손에 닿지 않게 한다.
-정수기의 뜨거운 물을 영아가 눌러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안전장치가 달린 정수기를 사용한다.
[유아기(1세~3세)]
-프로이드의 이론에서 항문기에 해당한다.
⇒괄약근이 발달하고 자신의 의지대로 대변을 참거나 누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 관심이 항문부위로 집중됨
-에릭슨의 이론에서 자율감 대 수치심과 의심의 단계에 해당한다.
⇒혼자 걷게 됨. 언어를 사용하게 됨. 눈에 보이는 것은 스스로 시험해 보고자 함.
손의 움직임도 자유로움. 배변훈련- 불안, 좌절을 겪음 - 성격 형성에 영향을 줌
자신의 개성을 보이고 싶은 마음. 부모에게 의존해야 하는 현실-갈등 초래- 분노발작
-이 시기의 아동은 분노발작, 거부증, 고집부리기 등을 통하여 사물의 작용방식과 다른 사 람을 조정하는 방법을 알아내려고 한다. 이 환경 탐색 시기는 부모와 아동에게 도전적인 시기일 수도 있지만 발달 성취와 지적 성장에 아주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다.
[학령전기 3세~6세)]
-프로이드의 이론에서 남근기에 해당
⇒신체 부위 중 생식기가 관심의 대상이자 민감한 곳이 됨.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일렉트라 콤플렉스, 남근선망, 및 거세불안 등이 집중되는 시기
-에릭슨의 이론에서 솔선감 대 죄책감에 해당
⇒상상력, 환상이 풍부함- 짓
추천자료
아동기 생애주기에 따른 인간의 성장과 발달
[아동간호] 아동의 성장과 발달
[아동발달] 아동의 성장과 발달
아동들의 안전사고 유형과 예방대책
아동의 발달 단계별 안전사고
아동 발달 특성과 아동 안전교육, 안전사고 방지 안전정책
아동의 발달장애 유형 (정신지체, 학습장애, 의사소통장애).ppt
인간의 성장과 발달 {태아기, 신생아기, 영아기, 걸음마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
[아동간호학 兒童看護學] 성장(成長)과 발달(發達)의 개념 - 성장과 발달의 원리, 성장과 발...
2015년 2학기, 아동의 발달 단계 (12~24개월 아동 분석) 아동의 성장 특성, 아동의 발달
[발달심리학 과제] 가족의 역할 : 현재 우리 사회 상황과 관련지어 다양해진 가족 유형과 발...
[아동기 발달장애] 아동기 발달장애(이상행동)의 유형 - 주의력결핍및과잉행동장애(ADHD), 품...
아동기의 발달과업 중 또래관계의 형성과정의 중요성을 논하고, 자신의 성장과정을 살펴보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