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공(空)의 의미
2)공사상의 역사적 전개
3)「중론」에 나타난 공사상
4)중관학파와 유가학파의 공사상
3. 결론
2. 본론
1)공(空)의 의미
2)공사상의 역사적 전개
3)「중론」에 나타난 공사상
4)중관학파와 유가학파의 공사상
3. 결론
본문내용
정을 의미함과 동시에 분별심의 부정을 뜻하는 것으로, 즉 유와 무를 함께 말하고 있다. 모든 것은 인과 연에 의해서 생기하는 것이므로 고정불변의 존재는 없다는 면에서 비유(非有)이므로 색이 곧 공인 것이며, 또한 이것이 없는 것도 아니라는 면에서 비무(非無)이므로 공이 곧 색이다. 따라서 참다운 존재인 공이란 중도의 묘한 존재 즉 ‘진공묘유’이다. 우리는 이러한 차별과 경계가 없는 시각에서 모든 만물을 아우를 수 있는 오묘하고도 신비한 진리인 공(空)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자세를 함양해야할 것이다.
■ 참고문헌
-조현규 저, ‘동양윤리의 담론’, 새문사, 서울
-불교재편찬위원회 저, ‘불교사상의 이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서울
-풍우란 저, 박성규 옮김, ‘중국철학사 (하)’, 까치글방, 서울
■ 참고문헌
-조현규 저, ‘동양윤리의 담론’, 새문사, 서울
-불교재편찬위원회 저, ‘불교사상의 이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 서울
-풍우란 저, 박성규 옮김, ‘중국철학사 (하)’, 까치글방, 서울
추천자료
고대 사회의 불교 건축
불교문화재에 관한 개관
[만해 한용운][님의 침묵]만해 한용운과 한용운의 시 및 님의 침묵 분석(한용운의 불교 사상,...
[원효][원효대사][원효사상][원효(원효대사) 일심사상][원효(원효대사) 불교학 습득과정]원효...
[인도종교, 인도의 종교] 인도의 종교(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시크교, 요가)
[실재론]불교의 실재론, 실재론적 의미론, 실재론적 뉴스-사실이론, 실재론과 교육, 실재론과...
[인간관][인간]도덕적 이상적 인간관, 동양의 자연관과 세계관, 동양사상의 인간관, 불교의 ...
정치학의 이해(한국의 정치 현실, 후기 형태주의 비판, 불교의 영향, 유불선 사상이 정치에 ...
SGI(Soka Gakkai International) 한국불교회,국제창가학회 PPT자료
한국 전통 교육의 구조와 불교교육
자원봉사론 - 종교계 자원봉사활동의 목적과 의의 및 현황, 종교계 자원봉사활동의 문제점과 ...
[대구교대 교육철학 및 교육사 요약 정리] 제03주 <근대교육과 불교교육>
[유아교육] 전통사회의 유아교육 사상과 불교, 유교, 천도교의 유아교육.ppt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