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식적으로)
이 밖에도 농업과 제조업에서의 선형모형에 대해 알아보자.
ya= -28067.755 + 147.938la + 0.404ka
s.e. (9431.900) (36.443) (0.074)
R²=0.910
R²값이 높고 t값이 모두 2를 넘기 때문에 노동투입과 자본투입 두 변수가 농업생산력을 잘 설명한다고 볼 수 있다. 노동투입과 자본투입 중 한 변수만 독립변수로 두었을 경우보다 두 변수를 함께 두었을 때 R²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두 변수가 상호 의존하여 농업의 생산력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자본투입만을 변수로 놓았을 경우의 R²이 노동투입을 변수로 놓았을 경우보다 R²값이 높아 자본투입이 농업생산력에 노동투입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ym= -32128.084 + 2.463lm + 0.344km
s.e. (2992.134) (6.122) (0.039)
R²=0.990
제조업의 경우 노동투입과 자본투입의 변수를 모두 넣었을 때 제조업 생산량의 함수는 높은 R²으로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하지만 노동력의 t값이 2보다 훨씬 작아 노동투입만의 함수와 자본투입만의 함수를 만들어 보았다. 그 두 함수 모두 높은 R²은 변함없었지만 그 중에서도 자본투입의 함수가 가장 높은 R²와 t값을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제조업은 노동투입보다는 자본투입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농업과 제조업을 비교해 볼 때 농업은 노동투입과 자본투입 두 요소 모두에 영향을 받는 반면, 제조업은 자본투입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도출해내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가장 먼저 생각했던 노동투입의 이동으로 인한 제조업의 성장은 잘못된 가정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제조업이 성장하는 것은 노동투입의 증가보단 자본투입의 증가가 그 원인인 것이다. 그리고 그 자본투입은 지금 수확체감의 단계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엄청난 양의 자본투자로 인해 그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어서 겉보기에는 마치 수확불변처럼 보인다. 그것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함수에서 자본투입의 경우가 노동투입의 경우보다 높은 R²을 가졌다는 점에서 농업, 제조업 할 것 없이 생산의 중요 요소는 노동력보단 자본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제조업이 지금 수확체감현상에 있는 것은 과도한 자본투입 때문이고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선 좀 더 많은 노동력이 제조업시장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농업과 제조업에서의 선형모형에 대해 알아보자.
ya= -28067.755 + 147.938la + 0.404ka
s.e. (9431.900) (36.443) (0.074)
R²=0.910
R²값이 높고 t값이 모두 2를 넘기 때문에 노동투입과 자본투입 두 변수가 농업생산력을 잘 설명한다고 볼 수 있다. 노동투입과 자본투입 중 한 변수만 독립변수로 두었을 경우보다 두 변수를 함께 두었을 때 R²이 더 높은 것으로 보아 두 변수가 상호 의존하여 농업의 생산력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자본투입만을 변수로 놓았을 경우의 R²이 노동투입을 변수로 놓았을 경우보다 R²값이 높아 자본투입이 농업생산력에 노동투입보다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ym= -32128.084 + 2.463lm + 0.344km
s.e. (2992.134) (6.122) (0.039)
R²=0.990
제조업의 경우 노동투입과 자본투입의 변수를 모두 넣었을 때 제조업 생산량의 함수는 높은 R²으로 높은 설명력을 가졌다. 하지만 노동력의 t값이 2보다 훨씬 작아 노동투입만의 함수와 자본투입만의 함수를 만들어 보았다. 그 두 함수 모두 높은 R²은 변함없었지만 그 중에서도 자본투입의 함수가 가장 높은 R²와 t값을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제조업은 노동투입보다는 자본투입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사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농업과 제조업을 비교해 볼 때 농업은 노동투입과 자본투입 두 요소 모두에 영향을 받는 반면, 제조업은 자본투입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도출해내었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가장 먼저 생각했던 노동투입의 이동으로 인한 제조업의 성장은 잘못된 가정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제조업이 성장하는 것은 노동투입의 증가보단 자본투입의 증가가 그 원인인 것이다. 그리고 그 자본투입은 지금 수확체감의 단계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엄청난 양의 자본투자로 인해 그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어서 겉보기에는 마치 수확불변처럼 보인다. 그것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함수에서 자본투입의 경우가 노동투입의 경우보다 높은 R²을 가졌다는 점에서 농업, 제조업 할 것 없이 생산의 중요 요소는 노동력보단 자본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제조업이 지금 수확체감현상에 있는 것은 과도한 자본투입 때문이고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선 좀 더 많은 노동력이 제조업시장에 투입되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이비즈관련
금융위기 이후 은행 점포의 효율성 분석
소비 저축 투자의 개념
효율적인 경영 의사결정을 위한 경영 시뮬레이션 기법에 대한 연구
회귀분석의 의미와 종류
파레토효율성
압력단체들의 정치적 영향에 대한 경쟁 이론 (A Theory of Competition among Pressure Group...
친환경전력기기공학개론 (중간+기말) 대비 요약 정리
전기 공학 실험 신호발생
거시경제학 기말시험 준비
세금, 가격탄력성, 가격상한제, 무역, 관세, 수요곡선, 오염배출권 - 【맨큐의 경제학(Princi...
Sweet potato empirical price analysis and Estimation of Marshallian Demand [고구마의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