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개인력
2.임상병리 검사 및 진단적 검사결과
3.약물
4.간호과정
Ⅲ.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개인력
2.임상병리 검사 및 진단적 검사결과
3.약물
4.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
▷신중투여
소아, 고령자, 신장애, 탈수ㆍ영양불량 등을 수반한 신체적 피폐.
노바스크 정 5mg
▷효능 효과
고혈압, 관상동맥의 고정폐쇄(안정형 협심증)또는 관상혈관계의 혈관경련과 혈관수축(이형협심증)에 의한 심근성허혈증.
▷용법 용량
1일 1회 5mg. 1일 최대 10mg.
▷금기
본제 또는 다른 디히드로피리딘계 과민증 기왕력자, 임부 또는 가임부ㆍ수유부, 중증 간기능장애, 중증 대동맥판협착증, 쇽.
▷신중투여
중증 저혈압, 투석을 해야하는 신부전, 고령자.
무코스타 정 100mg
▷효능 효과
용법/용량 참조.
▷용법 용량
위궤양: 1회 100mg, 1일 3회(아침, 저녁, 취침전). 다음 질환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1회 100mg, 1일 3회
▷금기
본제 성분 과민증 기왕력자.
3.약물
4.간호과정
간호진단-위산과다와 관련된 통증
사정 - S: “속이 아파요, 토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 O: 대상자는 고통스러워 하며 찡그리고 있다.
통증척도 8이라고 하였다.
목표 -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된다.
계획 -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통증평정척도사용)
- 대상자에게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안정된 병실 분위기를 조성한다.
- 대상자에게 통증의 원인을 설명한다.
- 대상자에게 통증이 있을 때 복용하는 약물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한다.
- 통증 경감을 위한 간호를 실시한다.
- 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이나 산성 음식 섭취를 제한한다.
⇒커피, 초콜릿, 콜라나 귤, 사과나 오렌지 주스 같은 산성 음식 섭취제한)
수행 - 0~10까지의 통증정도를 주고 통증의 정도를 표현하게 하였다.
0 1 2 3 4 5 6 7 8 9 10
⇒통증척도 8로 통증이 심하다고 생각했다.
- 통증의 원인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에게 위ㆍ산 분비 과다와 위 점막의 보호작용의 저하로 통증이 발생 하고, 공복시와 자극적 음식 섭취시 통증이 심화될 수 있음을 설명함.
- 위산 분비 억제제인 큐란을 투여하였다.
- 환자분을 방해받지 않는 휴식시간을 갖도록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카페인이 들어 있는 커피, 콜라 등의 음료, 자극이 강한 음 식섭취를 제한해 대한 내용을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주의해야 될 음식과 먹지 말아야 할 음식에 대해 말해주었다.
- 야간에 통증이 발생했다면 통증 발생 한시간 전에 가벼운 음식을 먹도록 교육함.
⇒대상자가 야간에 통증을 호소한다면 죽이나 부드러운 음식, 위산을 촉진 하는 음 식 이외의 음식을 먹이도록 말해주었다.(귤이나 오렌지, 사과, 초콜릿, 콜라, 커피, 맵고 짠 음식 등을 먹이지 말 것을 당부했다.)
평가 -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8에서 5로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통증 발생 원인을 이해했다고 말한다.
간호진단-지속된 오심 구토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의 위험성
사정 - S: “속이 쓰리고 어지러워요, 먹은걸 다 토해서 위액까지 나오는것 같아요.”
- O: 구토양 400cc였다.
대상자는 위염을 앓고 있다. ⇒배꼽주위에 통증을 호소함.
목표 - 전해질 balance를 정상으로 유지한다.
계획 - 오심과 구토 정도를 사정한다.
- 오심과 구토가 진정될 때까지 금식한다.
- 쾌적한 병실 환경 유지
- 검사결과에 따른 수액 및 전해질 공급
- daily lab F/U
수행 - 처방에 따라 항구토제인 맥페란을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 오심과 구토가 진정될 때까지 금식하였다.
- 금식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었다.
- 4시에 수면내시경을 하기 위해 4시까지 금식중이다.
-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한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 침상에서 구토를 할수 있도록 비닐봉지와 휴지를 준비해 드렸다.
평가 - 대상자는 오심과 구토가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 검사상 전해질 불균형은 보이지 않았다.
Ⅲ. 결론
동해동인병원 ER에서 처음으로 실습을 하면서 3주간의 짧은 기간이지만, 많은 것을 보고 느끼고 배운것 같다. 하루하루 실습에 임하면서 사례연구 환자를 정하고, 연구를 하면서 위염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서 참 뿌듯했다.
환자분은 수차례 남편으로부터 가정폭력을 당하였으며, 그 사실을 혼자 끙끙 앓다가 몇 달전에 쉼터의 도움으로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고 하였다. 가정폭력 탓인지는 몰라도 환자분의 IQ는 85였다. 이혼을 하고 싶어도 자식이 있고,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여서 어디나가서 일을 할수도 없다고 하였다. 4시에 내시경을 하여야 하는데 보호자가 있어야 한다며 쉼터 직원이 환자분한테 남편분 불러도 될까요? 하고 물으니 환자분은 선뜻 대답을 안하시고, 이불을 머리 끝까지 덮는 모습을 보았다. 쉼터 직원이 다시 한번 묻자 그제서야 괜찮다고 불르라고 하였다. 3시경에 남편분이 오셨으며, 4시에 내시경도 하였고, 내시경 결과 위염이라고 하였다. 다행이도 큰 질환이 없어서 정말 다행이였다. 환자가 처음 병원에 왔을때 보다 통증을 감소하는 모습을 보고 내 자신이 기분이 좋았다.
좋은 간호사 선생님들을 만난 덕분에 3주 실습을 알차고 쉽게 하는 것 같아 감사한 마음 뿐이였다.. 실습을 하면 할수록 아쉬움이 많이 남게 되는 것 같다. 그만큼 내가 무언가를 잘 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인 것 같다. 좀 더 정확하게 알지 못했던 것들이나, 교수님이 그렇게도 의문점을 가지라는 말씀을 새겨듣지 못하고 그냥 흘려버린 점들, 늘 실습 전에는 ‘후회 없는 실습을 해보자’ 마음을 먹어놓고도 끝나면 후회와 아쉬움이 교차되어 나타난다. 다음 실습 때에는 보다 많은 것들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게 노력을 해야겠다.
참고문헌
1. 2006년도,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242~245
2. 최신 기본간호학(상)(하), 현문사
3. 2006년도, 병리학, 현문사, 248~251
4. 이향련외 7인(2007), 성인 간호학(Ⅰ), 수문사,
5. 김옥녀, 임상 약리학, 현문사
6. http://www.druginfo.co.kr/
7. http://www.kimsonline.co.kr/
8. http://www.naver.com/
▷신중투여
소아, 고령자, 신장애, 탈수ㆍ영양불량 등을 수반한 신체적 피폐.
노바스크 정 5mg
▷효능 효과
고혈압, 관상동맥의 고정폐쇄(안정형 협심증)또는 관상혈관계의 혈관경련과 혈관수축(이형협심증)에 의한 심근성허혈증.
▷용법 용량
1일 1회 5mg. 1일 최대 10mg.
▷금기
본제 또는 다른 디히드로피리딘계 과민증 기왕력자, 임부 또는 가임부ㆍ수유부, 중증 간기능장애, 중증 대동맥판협착증, 쇽.
▷신중투여
중증 저혈압, 투석을 해야하는 신부전, 고령자.
무코스타 정 100mg
▷효능 효과
용법/용량 참조.
▷용법 용량
위궤양: 1회 100mg, 1일 3회(아침, 저녁, 취침전). 다음 질환의 위점막 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의 개선: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1회 100mg, 1일 3회
▷금기
본제 성분 과민증 기왕력자.
3.약물
4.간호과정
간호진단-위산과다와 관련된 통증
사정 - S: “속이 아파요, 토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요.”
- O: 대상자는 고통스러워 하며 찡그리고 있다.
통증척도 8이라고 하였다.
목표 - 대상자는 통증이 감소된다.
계획 - 대상자의 통증의 정도 및 양상을 사정한다.(통증평정척도사용)
- 대상자에게 휴식을 취하도록 하고, 안정된 병실 분위기를 조성한다.
- 대상자에게 통증의 원인을 설명한다.
- 대상자에게 통증이 있을 때 복용하는 약물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한다.
- 통증 경감을 위한 간호를 실시한다.
- 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이나 산성 음식 섭취를 제한한다.
⇒커피, 초콜릿, 콜라나 귤, 사과나 오렌지 주스 같은 산성 음식 섭취제한)
수행 - 0~10까지의 통증정도를 주고 통증의 정도를 표현하게 하였다.
0 1 2 3 4 5 6 7 8 9 10
⇒통증척도 8로 통증이 심하다고 생각했다.
- 통증의 원인을 설명하였다.
⇒대상자에게 위ㆍ산 분비 과다와 위 점막의 보호작용의 저하로 통증이 발생 하고, 공복시와 자극적 음식 섭취시 통증이 심화될 수 있음을 설명함.
- 위산 분비 억제제인 큐란을 투여하였다.
- 환자분을 방해받지 않는 휴식시간을 갖도록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카페인이 들어 있는 커피, 콜라 등의 음료, 자극이 강한 음 식섭취를 제한해 대한 내용을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주의해야 될 음식과 먹지 말아야 할 음식에 대해 말해주었다.
- 야간에 통증이 발생했다면 통증 발생 한시간 전에 가벼운 음식을 먹도록 교육함.
⇒대상자가 야간에 통증을 호소한다면 죽이나 부드러운 음식, 위산을 촉진 하는 음 식 이외의 음식을 먹이도록 말해주었다.(귤이나 오렌지, 사과, 초콜릿, 콜라, 커피, 맵고 짠 음식 등을 먹이지 말 것을 당부했다.)
평가 - 대상자의 통증척도가 8에서 5로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통증 발생 원인을 이해했다고 말한다.
간호진단-지속된 오심 구토와 관련된 전해질불균형의 위험성
사정 - S: “속이 쓰리고 어지러워요, 먹은걸 다 토해서 위액까지 나오는것 같아요.”
- O: 구토양 400cc였다.
대상자는 위염을 앓고 있다. ⇒배꼽주위에 통증을 호소함.
목표 - 전해질 balance를 정상으로 유지한다.
계획 - 오심과 구토 정도를 사정한다.
- 오심과 구토가 진정될 때까지 금식한다.
- 쾌적한 병실 환경 유지
- 검사결과에 따른 수액 및 전해질 공급
- daily lab F/U
수행 - 처방에 따라 항구토제인 맥페란을 투여하고, 부작용을 관찰하였다.
- 오심과 구토가 진정될 때까지 금식하였다.
- 금식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었다.
- 4시에 수면내시경을 하기 위해 4시까지 금식중이다.
- 오심과 구토를 예방하기 위한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 침상에서 구토를 할수 있도록 비닐봉지와 휴지를 준비해 드렸다.
평가 - 대상자는 오심과 구토가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 검사상 전해질 불균형은 보이지 않았다.
Ⅲ. 결론
동해동인병원 ER에서 처음으로 실습을 하면서 3주간의 짧은 기간이지만, 많은 것을 보고 느끼고 배운것 같다. 하루하루 실습에 임하면서 사례연구 환자를 정하고, 연구를 하면서 위염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할 수 있었던 것 같아서 참 뿌듯했다.
환자분은 수차례 남편으로부터 가정폭력을 당하였으며, 그 사실을 혼자 끙끙 앓다가 몇 달전에 쉼터의 도움으로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고 하였다. 가정폭력 탓인지는 몰라도 환자분의 IQ는 85였다. 이혼을 하고 싶어도 자식이 있고,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여서 어디나가서 일을 할수도 없다고 하였다. 4시에 내시경을 하여야 하는데 보호자가 있어야 한다며 쉼터 직원이 환자분한테 남편분 불러도 될까요? 하고 물으니 환자분은 선뜻 대답을 안하시고, 이불을 머리 끝까지 덮는 모습을 보았다. 쉼터 직원이 다시 한번 묻자 그제서야 괜찮다고 불르라고 하였다. 3시경에 남편분이 오셨으며, 4시에 내시경도 하였고, 내시경 결과 위염이라고 하였다. 다행이도 큰 질환이 없어서 정말 다행이였다. 환자가 처음 병원에 왔을때 보다 통증을 감소하는 모습을 보고 내 자신이 기분이 좋았다.
좋은 간호사 선생님들을 만난 덕분에 3주 실습을 알차고 쉽게 하는 것 같아 감사한 마음 뿐이였다.. 실습을 하면 할수록 아쉬움이 많이 남게 되는 것 같다. 그만큼 내가 무언가를 잘 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기 때문인 것 같다. 좀 더 정확하게 알지 못했던 것들이나, 교수님이 그렇게도 의문점을 가지라는 말씀을 새겨듣지 못하고 그냥 흘려버린 점들, 늘 실습 전에는 ‘후회 없는 실습을 해보자’ 마음을 먹어놓고도 끝나면 후회와 아쉬움이 교차되어 나타난다. 다음 실습 때에는 보다 많은 것들을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게 노력을 해야겠다.
참고문헌
1. 2006년도, 건강사정, 정담미디어, 242~245
2. 최신 기본간호학(상)(하), 현문사
3. 2006년도, 병리학, 현문사, 248~251
4. 이향련외 7인(2007), 성인 간호학(Ⅰ), 수문사,
5. 김옥녀, 임상 약리학, 현문사
6. http://www.druginfo.co.kr/
7. http://www.kimsonline.co.kr/
8. http://www.naver.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