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직장폐쇄 관련 주요 법리
2. 직장폐쇄 허용 범위 및 효과
3. 직장폐쇄 관련 주요 판례
2. 직장폐쇄 허용 범위 및 효과
3. 직장폐쇄 관련 주요 판례
본문내용
반적으로는 힘에서 우위에 있는 사용자에게 쟁의권을 인정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나, 개개의 구체적인 노동쟁의의 장에서 근로자측의 쟁의행위로 노사간에 힘의 균형이 깨지고 오히려 사용자측이 현저히 불리한 압력을 받는 경우에는, 사용자측에게 그 압력을 저지하고 힘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한 대항방위 수단으로 쟁의권을 인정하는 것이 형평의 원칙에 맞는다 할 것이고, 우리 법도 바로 이 같은 경우를 상정하여 사용자의 직장폐쇄를 노동조합의 동맹파업이나 태업 등과 나란히 쟁의행위의 한 유형으로서 규정하고 있는(구 노동쟁의조정법 제3조)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구체적인 노동쟁의의 장에서 단행된 사용자의 직장폐쇄가 정당한 쟁의행위로 평가받기 위하여는, 노사간의 교섭태도, 경과, 근로자측 쟁의행위의 태양, 그로 인하여 사용자측이 받는 타격의 정도 등에 관한 구체적 사정에 비추어 형평의 견지에서 근로자측의 쟁의행위에 대한 대항방위 수단으로서 상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한다 할 것이고, 그 직장폐쇄가 정당한 쟁의행위로 평가받을 때 비로소 사용자는 직장폐쇄 기간 동안의 대상 근로자에 대한 임금지불의무를 면한다 할 것이다. (대법원 2000. 5. 26. 선고 98다34331 판결)
다만, 구체적인 노동쟁의의 장에서 단행된 사용자의 직장폐쇄가 정당한 쟁의행위로 평가받기 위하여는, 노사간의 교섭태도, 경과, 근로자측 쟁의행위의 태양, 그로 인하여 사용자측이 받는 타격의 정도 등에 관한 구체적 사정에 비추어 형평의 견지에서 근로자측의 쟁의행위에 대한 대항방위 수단으로서 상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한다 할 것이고, 그 직장폐쇄가 정당한 쟁의행위로 평가받을 때 비로소 사용자는 직장폐쇄 기간 동안의 대상 근로자에 대한 임금지불의무를 면한다 할 것이다. (대법원 2000. 5. 26. 선고 98다34331 판결)
키워드
추천자료
국제법상 탈북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연구
직장내 성희롱의 실태와 문제점 및 예방대책
국내입양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직장내 성희롱 문제의 심각성과 관련법리 및 사건처리 사례
노동관계법상 사업이전에 따른 단체협약의 효력의 법적 연구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전반에 대한 개정법상 연구
노동법상 각국의 근로자 개념 비교 고찰
우리나라에서의 산별노조의 운영과 관련한 주요 법적 쟁점
노동조합 설립과 가입의 자유 (판례 중심 검토)
직장여성의 의류상품의 인터넷쇼핑에 관한연구
독일 노동조합과 직장평의회 재정에 관한 연구
[교원노조][교원노동조합][교원][교사][교직][노동조합][노조]교원노조(교원노동조합)의 역할...
[직장내 성희롱][성희롱]직장내 성희롱의 개념, 직장내 성희롱의 관련법규, 직장내 성희롱의 ...
단체교섭 전반과 관련한 판례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