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는 부모 미는 부모 감상문2 (요점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끄는 부모 미는 부모 감상문2 (요점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킨십을 통한 대화

2) 좋은 습관과 칭찬

3) 육아 과정은 100미터 달리기가 아닌 마라톤

4) 놀이가 곧 학습이다

5) 엄마의 기쁨 지수가 곧 아이의 기쁨 지수

6) 학교는 '작은 사회'다

7) 선생님을 존경하는 마음 갖기

8) 민주적인 교육이 책임감 있는 아이를 만든다

9) 아이는 나비가 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

10) 생명의 소중함을 알려 주자

11) 부모 혹은 아이에게 문제가 있을 때 대화하는 법

12) 아이 입장에서 생각하기

본문내용

으름장을 놓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는 이러한 부모의 말을 맹목적인 것으로 느낄 수도 있다. 한편 어릴 적의 언어 환경이 아이가 평생 사용하게 될 언어 방식을 결정짓는다. 올바른 대화법에 대한 훈련은 아이에게 나쁜 말버릇이 생기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므로 아이가 어릴 때 시작할수록 효과적이다.
나의 의견 : 부모들은 자신이 옳고 아이는 가르쳐야 할 대상이라는 고정관념을 갖고 있다. 자연히 아이에게 권위적으로 대하고 감정교류에도 문제가 생긴다. 아이와 이야기 할 때는 감정, 곧 기분이 나쁘지 않은 상태에서 해야한다. 아무리 아이를 위한 말이라도 아이의 마음을 상하게 한다면 반발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12) 아이 입장에서 생각하기
개인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인간은 누구나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있다. 부모와 자녀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특히 부모들은 기본적으로 아이보다 자신들이 더 많이 경험했고,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이와 대화할 때 자신의 입장만을 주장하고 이를 고수하려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아이를 민주적인 환경에서 키우기를 원한다면 부모는 아이와의 관계에서 아이의 입장을 얼마나 고려하고 있는지 한번쯤 반성해 보아야 한다. 부모는 애정을 바탕으로 아이에게 해도 되는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에 대한 분명한 한계를 정해 주고 그 한계를 일관되게 지켜 나가야 한다. 처벌을 동반한 과도한 통제가 아이에게 모욕감을 주는 반면, 지나친 자유는 의존적이고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며 의지가 약한 사람이 되게 한다. 그러므로 중용을 지키면서 일관성 있는 양육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나의 의견 : 사실 어른들은 흔히 아이들의 세계를 순간적이고 가변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의 경험으로도 아이들 자신만의 세계는 어른 세계 못지않게 중요하다. 내가 초등학교 때 느꼈던 고민들을 지금 생각해 본다면 너무나 가볍고 중요하지 않은 것들이지만 그 당시에는 그 일들이 정말 너무나도 힘이 들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른들은 아이의 행동에 대해, 순간적으로 잘못된 행동이었다고 생각되더라도 다시 한번 아이의 상황과 아이의 심리, 아이의 사고방식을 고려해 봐야 한다. 만일 그 행동들이 아이의 사회성에도 문제를 끼칠 수 있을 정도의 실수라면, 그러한 행동들이 어떻게 해서 실수인가를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설명해야 하고, 부모의 능력의 한계에 의해 그럴 수 없는 경우라면 여러 전문가들의 도움을 청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1.26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31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