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하이테크 건축의 역사적 배경*
*구조 미학과 후기 모더니즘, 그리고 하이테크 건축*
*구조 미학과 후기 모더니즘, 그리고 하이테크 건축*
*하이테크 건축의 7대 특성*
본 문
*구조 미학과 후기 모더니즘, 그리고 하이테크 건축*
*구조 미학과 후기 모더니즘, 그리고 하이테크 건축*
*하이테크 건축의 7대 특성*
본 문
본문내용
), 노르만 포스터 (Norman Foster), 마이클 홉킨스(Michael Hopkins), 그리고 니콜라스 그림쇼(Nicholas Grimshaw)의 4인에 의해 처음 시도되었다.
이외에 이태리에서 렌쪼 피아노(Renzo Piano)가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시도를 하였다.
이들은 서로 번갈아 가며 파트너쉽을 맺기도 하면서 퐁 피두 센터, 홍콩 은행(Hong Kong Bank), 로이드 은행(Lloyd's Bank)등과 같은 대표작을 남겼다.
이들은 최근까지도 하이테크 건축을 이끌며 20세기말에 가장 주목받는 건축가가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하이테크 건축은 1980년대에는 유럽전역에 전파되어 프랑스의 쟝 누벨(Jean Nouvel), 독일의 본 게르칸(von Gerkan), 이태리의 마시밀리아노 푸크사스(Massimiliano Foksas)등과 같이 각국을 대표하는 하이테크 스타들을 낳게 되었다.
특히 1950~60년대 구조주의(Structuralism) 건축의 발상지였던 네덜란드에서는 이것에 하이테크 건축을 접목시켜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징을 형성해 가며 그 어느 나라보다도 활성화된 움직 임을 보이고 있다.
이제 1990년대 들어 하이테크 건축은 세계 현대건축을 주도해 가는 가장 큰 흐름으로 자리잡은 느낌이다.
날렵한 메탈의 각선미와 신비한 유리의 반사 색이 엮어내는 투명하고도 오묘한 빛의 세계는 이제 많은 사람들에 의해 21세기의 건축모델로 정의되고 있다.
*하이테크 건축의 일반적 특성*
하이테크 건축은 공간, 구조, 설비 등의 가변성의 개념과 이것이 극도로 발전된 이동성의 개념을 내포. 이것은 경량의 규격화된 부재를 대량 생산하여 어떤 한 가지 구성체계로서 끼워 맞출 수 있는 system 건축을 실현시킴으로써 가능한 개념이다.
*하이테크 건축의 7대 특성*
① 가변성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공간의 변형, 구조 프레임의 추가에 의한 성장 가능성 그리고 각 부재와 설비 등의 상호 교환성이다. 극도의 개방적인 공간을 지향.
② 이동성
건물의 일부가 해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리키고 있으며 궁극에는 필요한 용도에 따르는
건축물전체의 이동성도 포함한다 .
③ 공업화
부재의 규격화, 표준화로 대량생산과 현장 조립에 의한 건축물의 구성
④ 시스템
골조에서 외부 벽에 이르기까지 시스템 도입에 의한 조립식 구조이므로 구조체 표현의 결과는 표준화된 부품에 의한 시스템에 따라 동일 패턴 연결에 의한 반복적 형태이다.
⑤ 경량성
규격화된 부재의 공업화와 조립식 건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성의 개념으로 경량의 재료를 사용한다.
⑥ 투명성
유리와 금속의 재료를 주로 사용하는 하이테크 건축은 그런 재료 자체가 갖는 투명성 뿐만 아니라 구조와 설비의 노출은 부재의 투명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⑦ 기계미학
기계 미학적 요소에 의하여 디자인 되는 하이테크 건축은 다소 차갑고 비인간적인 형태로 인지되기 쉽다.
참고 자료 : 20세기말 제3의 모더니즘에 관한 소고, daum cafe 건축이야기, naver 지식in
이외에 이태리에서 렌쪼 피아노(Renzo Piano)가 동일한 시기에 동일한 시도를 하였다.
이들은 서로 번갈아 가며 파트너쉽을 맺기도 하면서 퐁 피두 센터, 홍콩 은행(Hong Kong Bank), 로이드 은행(Lloyd's Bank)등과 같은 대표작을 남겼다.
이들은 최근까지도 하이테크 건축을 이끌며 20세기말에 가장 주목받는 건축가가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하이테크 건축은 1980년대에는 유럽전역에 전파되어 프랑스의 쟝 누벨(Jean Nouvel), 독일의 본 게르칸(von Gerkan), 이태리의 마시밀리아노 푸크사스(Massimiliano Foksas)등과 같이 각국을 대표하는 하이테크 스타들을 낳게 되었다.
특히 1950~60년대 구조주의(Structuralism) 건축의 발상지였던 네덜란드에서는 이것에 하이테크 건축을 접목시켜 나름대로의 독특한 특징을 형성해 가며 그 어느 나라보다도 활성화된 움직 임을 보이고 있다.
이제 1990년대 들어 하이테크 건축은 세계 현대건축을 주도해 가는 가장 큰 흐름으로 자리잡은 느낌이다.
날렵한 메탈의 각선미와 신비한 유리의 반사 색이 엮어내는 투명하고도 오묘한 빛의 세계는 이제 많은 사람들에 의해 21세기의 건축모델로 정의되고 있다.
*하이테크 건축의 일반적 특성*
하이테크 건축은 공간, 구조, 설비 등의 가변성의 개념과 이것이 극도로 발전된 이동성의 개념을 내포. 이것은 경량의 규격화된 부재를 대량 생산하여 어떤 한 가지 구성체계로서 끼워 맞출 수 있는 system 건축을 실현시킴으로써 가능한 개념이다.
*하이테크 건축의 7대 특성*
① 가변성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공간의 변형, 구조 프레임의 추가에 의한 성장 가능성 그리고 각 부재와 설비 등의 상호 교환성이다. 극도의 개방적인 공간을 지향.
② 이동성
건물의 일부가 해체,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리키고 있으며 궁극에는 필요한 용도에 따르는
건축물전체의 이동성도 포함한다 .
③ 공업화
부재의 규격화, 표준화로 대량생산과 현장 조립에 의한 건축물의 구성
④ 시스템
골조에서 외부 벽에 이르기까지 시스템 도입에 의한 조립식 구조이므로 구조체 표현의 결과는 표준화된 부품에 의한 시스템에 따라 동일 패턴 연결에 의한 반복적 형태이다.
⑤ 경량성
규격화된 부재의 공업화와 조립식 건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성의 개념으로 경량의 재료를 사용한다.
⑥ 투명성
유리와 금속의 재료를 주로 사용하는 하이테크 건축은 그런 재료 자체가 갖는 투명성 뿐만 아니라 구조와 설비의 노출은 부재의 투명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⑦ 기계미학
기계 미학적 요소에 의하여 디자인 되는 하이테크 건축은 다소 차갑고 비인간적인 형태로 인지되기 쉽다.
참고 자료 : 20세기말 제3의 모더니즘에 관한 소고, daum cafe 건축이야기, naver 지식i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