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신분제 사회의 귀족과 농민
율령제의 완성과 동아시아 전파
1) 당에서 완성된 율령제
2) 일본, 중앙집권적 관료국가
3) 삼국, 중앙집권국가로의 체제 정비
귀족사회의 성립
1) 중국의 구품중정제와 귀족사회
2) 신라의 골품제도와 일본의 씨성제도
-귀족 문화의 상징, 위진남북조 시대
-균전제 시행의 실제
-부병제의 시행과 과중되는 농민의 부담
-양세법의 시행과 농민의 몰락
-화상전으로 본 농민 모습
-일본 반전수수법을 통해 본 토지문제
3. 참고문헌
2. 신분제 사회의 귀족과 농민
율령제의 완성과 동아시아 전파
1) 당에서 완성된 율령제
2) 일본, 중앙집권적 관료국가
3) 삼국, 중앙집권국가로의 체제 정비
귀족사회의 성립
1) 중국의 구품중정제와 귀족사회
2) 신라의 골품제도와 일본의 씨성제도
-귀족 문화의 상징, 위진남북조 시대
-균전제 시행의 실제
-부병제의 시행과 과중되는 농민의 부담
-양세법의 시행과 농민의 몰락
-화상전으로 본 농민 모습
-일본 반전수수법을 통해 본 토지문제
3.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잡물을 날려 버리는 모습, 바구니에 뽕잎을 따고 있는 모습, 두 마리의 소를 가지고 농사를 짓는 모습, 오른 쪽에는 말을 기르는 모습, 달리는 말 위에서 화살을 날리는 모습, 짐승을 길들이고 있는 모습 등이 그려져 있다.
반면, 강남에서는 수전에 알맞은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습지대가 많고 강의 범람이 잦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제방을 건설하고 수리시설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노력의 댓가는 농민이 아닌 귀족의 경제를 윤택하는 데 활용되었을 뿐이었다.
일본 반전수수법을 통해 본 토지문제
다이카 개신 이래 모든 토지는 천황의 것이란 슬로건을 걸고 실현시켰던 제도가 반전수수법이었다. 6세 이상의 남자와 여자, 노비에게 일정한 토지를 지급하고 사망하면 반납하는 제도였다. 그들에게 부과되는 세는 상당히 무거웠다.
가혹한 세금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구분전을 버리고 도망하는 농민들이 속출하였다. 도망 농민의 피신처는 귀족 등 유력자의 휘하였는데, 귀족들도 농민들을 부려서 토지를 개간하면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에 비합법적으로 농민들을 숨겨 주었다. 따라서 국가의 세금 수입은 계속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공포된 비책이 있었다. 농민의 도망을 방지하고 그들을 토지에 속박시키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으나 그 결과 ‘공지공민’의 원칙이 크게 무너졌다. 또 원래 토지를 개간할 능력이 많았던 귀족과 호족들은 좀더 광대한 사유지를 손에 넣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개간한 사유지가 뒤에 장원으로 발전하였다. 결국 다이카 개신에서 추구했던 중앙집권제의 기본이 무너지게 되었다.
3. 참고문헌
김유철, “균전제와 균전체제”,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
김현구, “대화개신과 중앙집권적 관료국가의 출현”, 東亞史상의 保守와 改革, 신서원, 1995.
박한제,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
유원적, “당 전기의 지배층”,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
강만길 외, 한국사4-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2-, 한길사, 1994.
김택민, 중국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신서원, 2006.
다가시라 겐타로, 교양인을 위한 일본사, 청어람미디어, 2002.
박한제, 중국중세호한체제연구, 일조각, 1997.
박한제 외,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2007.
신성곤윤혜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반면, 강남에서는 수전에 알맞은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습지대가 많고 강의 범람이 잦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제방을 건설하고 수리시설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노력의 댓가는 농민이 아닌 귀족의 경제를 윤택하는 데 활용되었을 뿐이었다.
일본 반전수수법을 통해 본 토지문제
다이카 개신 이래 모든 토지는 천황의 것이란 슬로건을 걸고 실현시켰던 제도가 반전수수법이었다. 6세 이상의 남자와 여자, 노비에게 일정한 토지를 지급하고 사망하면 반납하는 제도였다. 그들에게 부과되는 세는 상당히 무거웠다.
가혹한 세금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자신의 구분전을 버리고 도망하는 농민들이 속출하였다. 도망 농민의 피신처는 귀족 등 유력자의 휘하였는데, 귀족들도 농민들을 부려서 토지를 개간하면 수입이 늘어나기 때문에 비합법적으로 농민들을 숨겨 주었다. 따라서 국가의 세금 수입은 계속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공포된 비책이 있었다. 농민의 도망을 방지하고 그들을 토지에 속박시키기 위한 고육지책이었으나 그 결과 ‘공지공민’의 원칙이 크게 무너졌다. 또 원래 토지를 개간할 능력이 많았던 귀족과 호족들은 좀더 광대한 사유지를 손에 넣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개간한 사유지가 뒤에 장원으로 발전하였다. 결국 다이카 개신에서 추구했던 중앙집권제의 기본이 무너지게 되었다.
3. 참고문헌
김유철, “균전제와 균전체제”,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
김현구, “대화개신과 중앙집권적 관료국가의 출현”, 東亞史상의 保守와 改革, 신서원, 1995.
박한제, “호한체제의 전개와 그 구조”,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
유원적, “당 전기의 지배층”, 강좌중국사Ⅱ, 지식산업사, 1989.
강만길 외, 한국사4-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2-, 한길사, 1994.
김택민, 중국역사의 어두운 그림자, 신서원, 2006.
다가시라 겐타로, 교양인을 위한 일본사, 청어람미디어, 2002.
박한제, 중국중세호한체제연구, 일조각, 1997.
박한제 외, 아틀라스 중국사, 사계절, 2007.
신성곤윤혜영,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신채식, 동양사개론, 삼영사, 1993.
추천자료
위진남조 귀족제의 전개와 성격
귀족 마케팅 사례와 전략(A+레포트)★★★★★
동아시아 귀족사
귀족마케팅
귀족마케팅 책을 읽고 감상문
귀족마케팅 성공전략과 귀족마케팅 성공사례들 - 귀족 마케팅 배경, 소비층의 현황, 귀족 마...
독일크리스챤 귀족들에게 보내는 편지
[귀족마케팅]귀족 마케팅의 개념(정의, 효과, 장점, 특징 등) 귀족마케팅 시장 현황 및 관련 ...
귀족마케팅 & 스타마케팅 & 스포츠마케팅
고려귀족문화의발달 통일신라의 발전
중세시대의 귀족과 기사계층
귀족정치와 국풍문화 [블루 사무라이의 시작][섭관정치]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풍자와 해학미 - 풍자를 띤 해학성(신분제의 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