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중 문화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대중문화의 두 측면

● 르봉 [군중심리] (1895)

● 가세트 [대중의 반역] (1930)

● 독일의 나치즘

● 리스먼 [고독한 군중] (1950)

● 서구 대중문화가 처음으로 시작된 것은 언제인가? 산업혁명이후

● 대중문화의 보급으로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 일본 대중문화의 출발 : 메이지(明治)시대 (1868)

● 도시화와 대중소비문화 : 다이쇼(大正)시대 (1912)

● 고도성장과 대중문화 : 60년대 (1955~70년대 초 : 고도성장기)

● 정보와 미스미디어

● 영토

● 자연과 풍토

● 다양한 기후 - 사계절이 뚜렷, 지역차 大, 온대, 강수량 多

● 자연 재해

● 지역사회의 구분

● 일본의 역사

● 기모노 = 기루 + 모노

● 음식문화의

본문내용

시대(13~17세기 초반) : 고대 이래 주곡부육시대 재현(무사계급에 의해), 당나라를 모방한 음식문화와 부육시대의 것을 혼합한 근세 음식문화의 바탕을 마련, 지금과 같은 밥으로 발전, 무로마치시대에는 차가 유행,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는 서구식품인 설탕, 과자류 수입, 중국의 만두와 두부도 수입, 조미료로서 된장과 간장이 나오고 청주도 출현
일식의 완성시대(17세기 후반~19세기 전반) : 종래의 음식 문화를 집대성, 중국과 서구의 것을 받아들여 일식을 완성, 간장, 된장, 청주, 설탕의 보급, 남만요리의 수입, 절임의 완성, 회석요리의 발달, 단과자, 메밀국수, 우동, 카츠오부시의 유행, 경음식점과, 요리집의 출현 등, 조리법의 진보, 일반 서민들까지 조리에 심취
일식과 양식의 종존 시대(19세기 후반~현재) : 메이지유신에 의해 봉건체제가 무너지고 서구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풍조 속에서 음식문화의 커다란 변화. (초기 육류권장)양식, 육식, 우유, 커피, 버터, 치즈, 서양식 조리법, 양채의 식용이 성행, 종래의 일본식품의 서양식 조리와 서양식품의 일본식 조리, 서양의 식사예법 침투, 위생지식 보급, 식사 관련 미신 추방
1950년대 이후 고도의 산업성장(55~70년) - 주택형태의 변화 (2DK:2dining kitchen), 외식문화 변화(fast food, 도시락....),
1920년대 후반 외식문화 대중화, 서양요리의 일본화, 도시락 문화 시작(신칸센 발달로)
외식문화 에도시대부터 시작
유명한 음식
회 : 츠쿠리(관서), 사시미(관동)
초밥 : 에도마에 스시(관동), 니기리 스시(대표적), 후도마끼·호소마끼(김밥류), 찌라시스시(회덮밥), 이나리 스시(유부초밥)
라면 : 하카다의 돈코츠(설렁탕), 삿포로의 미소(된장라면), 키타카라의 소유(간장라면), 요코하마 라면(소유와 비슷),하코다테(소금라면), 구마모토(돈코스+마늘), 아사히카와 라면
나베요리 : 샤브샤브(1952년), 스키야키(메이지유신이후, 1870년대, 아사쿠사를 기점으로 유행), 키리탄포 나베(아키타지방에서 유명), 창코나베(스모선수가 好)
예절
숟가락 없이 젓가락 사용
국물에 젓가락을 적시고 국물로 입을 축이고 밥을 한입 먹는다.
밥과 반찬은 번갈아 가며 먹는다.
감자나 무 등으로 만든 반찬을 찔러보면 안된다.
뼈가 있는 생선을 먹을 때에도 젓가락으로 들쑤셔도 안된다.
젓가락에서 젓가락으로 직접 음식을 주고받으면 안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