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오매찰아관방 희연산 통정산 소합향환 허윤종황기방풍탕훈증법 이진탕 사군자탕가죽력강즙방 사물탕가도인홍화죽력즙방 팔미순기산 오약순기산 견정산
본문내용
사용하여 기를 순조롭게 하며 기가 순종하면 담이 운행하니 막히는 근심이 없다.
此標本兼施之治也。
이는 표와 본을 겸하여 시행하는 치료법이다.
烏藥順氣散
오약순기산
麻黃(去節) 陳皮(去白) 烏藥各一錢 枳殼(去,炒二兩) 炙甘草 白芷 桔梗(各一兩) 川芎(洗去土) 白蠶(炒) 乾薑(炒黑,半兩)
마디를 제거한 마황, 백질을 제거한 진피, 오약 각 4g, 속을 제거하며 밀기울로 볶은 지각 80g, 구운 감초, 백지, 길경 각 40g, 씻어 흙을 제거한 천궁, 볶은 백강잠, 검게 볶은 건강20g이다.
中風,遍身麻,語言,口眼斜,喉中氣急有痰者,此方主之。
중풍으로 온 몸이 마비되며 말이 어눌하며 구안와사, 후두의 숨이 급하며 담이 있음에 이 오약순기산을 사용한다.
遍身麻,表氣不順也,故治以麻黃、川芎;
온 몸의 마비로 표기가 순조롭지 못하므로 마황, 천궁으로써 치료한다.
語言,裏氣不順也,故治以烏藥、陳、枳;
말이 어눌하며 속의 기가 순조롭지 못하므로 오약, 진피, 지각으로써 치료한다.
口眼斜,面部之氣不順也,故治以白芷、蠶;
구안와사는 면부의 기가 순조롭지 못하므로, 백지, 백강잠으로써 치료한다.
喉中氣急,甘草可緩;
후두 속의 기가 급하면 감초로 완화할 수 있다.
肺氣上逆,桔梗可下;
폐기가 위로 거역하면 길경으로 내릴 수 있다.
痰之爲物,塞則結滯,熱則流行,佐以乾薑,行其滯也。
담이 물건이 됨은 막히면 결체되며 뜨거우면 유행하니 건강으로 보좌하여 정체를 운행한다.
此治標之劑也,然必邪實初病之人,方可用之。
이는 표를 치료하는 약제이므로 반드시 사기가 실하며 초기 병의 사람에 바로 사용할 수 있다.
若氣虛病久者,則勿與之也,宜以補劑兼之。
만약 기허로 병이 오래되면 투여할 수 없으므로 보제로 겸한다.
牽正散
견정산
白附子 白蠶 全
백부자, 백강잠, 전갈
(生用,爲末,每服酒調下二錢)
위 약재를 함께 생으로 사용하니 가루내어 매번 술로 8g을 연하한다.
中風,口眼斜,無他證者,此方主之。
중풍, 구안와사에 다른 증상이 없으면 이 견정산으로 주치한다.
、防之屬,可以驅外來之風,而內生之風,非其治也;
진교, 방풍은 외래의 풍사를 몰아내며 안에 생기는 풍은 치료할 수 없다.
星、夏之輩,足以治濕土之痰,而虛風之痰,非其治也。
남성, 반하의 종류는 족히 습토의 담을 치료하며 허풍의 담은 치료할 수 없다.
斯三物者,療內主之風,治虛熱之痰,得酒引之,能入經而正口眼。
이 3약물은 내부가 주관하는 풍을 치료하며 허열의 담을 치료함에는 술을 얻어서 인도하니 경락에 들어가서 구안와사를 바로잡는다.
又曰白附之辛,可使驅風;蠶、之鹹,可使軟痰;辛中有熱,可使從風;蠶、有毒,可使破結。
또한 말하길 백부자의 신미는 풍사를 몰아낼 수 있다. 강잠, 전갈의 함미는 담을 연하게 한다. 신미중에 열은 풍을 좇는다. 강잠, 전갈에 독이 있어서 결체를 깰 수 있다.
醫之用藥,有用其熱以攻熱,用其毒以攻毒者,《大易》所謂同氣相求,《內經》所謂衰之以屬也.
의사가 약을 사용함에 열약을 사용하여 약을 공격하며 독약을 사용하여 독을 공격함은 주역에서 이른바 같은 기가 서로 구함이며, 내경에서 이른바 쇠약할 때는 같은 부류로써 함이다.
此標本兼施之治也。
이는 표와 본을 겸하여 시행하는 치료법이다.
烏藥順氣散
오약순기산
麻黃(去節) 陳皮(去白) 烏藥各一錢 枳殼(去,炒二兩) 炙甘草 白芷 桔梗(各一兩) 川芎(洗去土) 白蠶(炒) 乾薑(炒黑,半兩)
마디를 제거한 마황, 백질을 제거한 진피, 오약 각 4g, 속을 제거하며 밀기울로 볶은 지각 80g, 구운 감초, 백지, 길경 각 40g, 씻어 흙을 제거한 천궁, 볶은 백강잠, 검게 볶은 건강20g이다.
中風,遍身麻,語言,口眼斜,喉中氣急有痰者,此方主之。
중풍으로 온 몸이 마비되며 말이 어눌하며 구안와사, 후두의 숨이 급하며 담이 있음에 이 오약순기산을 사용한다.
遍身麻,表氣不順也,故治以麻黃、川芎;
온 몸의 마비로 표기가 순조롭지 못하므로 마황, 천궁으로써 치료한다.
語言,裏氣不順也,故治以烏藥、陳、枳;
말이 어눌하며 속의 기가 순조롭지 못하므로 오약, 진피, 지각으로써 치료한다.
口眼斜,面部之氣不順也,故治以白芷、蠶;
구안와사는 면부의 기가 순조롭지 못하므로, 백지, 백강잠으로써 치료한다.
喉中氣急,甘草可緩;
후두 속의 기가 급하면 감초로 완화할 수 있다.
肺氣上逆,桔梗可下;
폐기가 위로 거역하면 길경으로 내릴 수 있다.
痰之爲物,塞則結滯,熱則流行,佐以乾薑,行其滯也。
담이 물건이 됨은 막히면 결체되며 뜨거우면 유행하니 건강으로 보좌하여 정체를 운행한다.
此治標之劑也,然必邪實初病之人,方可用之。
이는 표를 치료하는 약제이므로 반드시 사기가 실하며 초기 병의 사람에 바로 사용할 수 있다.
若氣虛病久者,則勿與之也,宜以補劑兼之。
만약 기허로 병이 오래되면 투여할 수 없으므로 보제로 겸한다.
牽正散
견정산
白附子 白蠶 全
백부자, 백강잠, 전갈
(生用,爲末,每服酒調下二錢)
위 약재를 함께 생으로 사용하니 가루내어 매번 술로 8g을 연하한다.
中風,口眼斜,無他證者,此方主之。
중풍, 구안와사에 다른 증상이 없으면 이 견정산으로 주치한다.
、防之屬,可以驅外來之風,而內生之風,非其治也;
진교, 방풍은 외래의 풍사를 몰아내며 안에 생기는 풍은 치료할 수 없다.
星、夏之輩,足以治濕土之痰,而虛風之痰,非其治也。
남성, 반하의 종류는 족히 습토의 담을 치료하며 허풍의 담은 치료할 수 없다.
斯三物者,療內主之風,治虛熱之痰,得酒引之,能入經而正口眼。
이 3약물은 내부가 주관하는 풍을 치료하며 허열의 담을 치료함에는 술을 얻어서 인도하니 경락에 들어가서 구안와사를 바로잡는다.
又曰白附之辛,可使驅風;蠶、之鹹,可使軟痰;辛中有熱,可使從風;蠶、有毒,可使破結。
또한 말하길 백부자의 신미는 풍사를 몰아낼 수 있다. 강잠, 전갈의 함미는 담을 연하게 한다. 신미중에 열은 풍을 좇는다. 강잠, 전갈에 독이 있어서 결체를 깰 수 있다.
醫之用藥,有用其熱以攻熱,用其毒以攻毒者,《大易》所謂同氣相求,《內經》所謂衰之以屬也.
의사가 약을 사용함에 열약을 사용하여 약을 공격하며 독약을 사용하여 독을 공격함은 주역에서 이른바 같은 기가 서로 구함이며, 내경에서 이른바 쇠약할 때는 같은 부류로써 함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