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탕이니 칠정이면 가 정향 사인 백출하라.
현훈의 통치에는 이진탕을 사용하니 7감정이면 정향 사인 배출을 가미한다.
風痰이면 加天麻 白附子 荊芥 防風하라,
풍담이면 가천마 백부자 형개 방풍하라.
풍성 담이면 이진탕에 천마 백부자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진탕이니 능사대변으로 윤이소변으로 장이니 우위분도요약이라.
담음 통치에는 이진탕을 사용하니 대변을 윤택케 하고 소변을 잘 나가게 하니 더욱 분도하는 중요한 약이다.
風이면 加南星 角 白附子 竹瀝하라,
풍이면 가남성 조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진탕이니라.
시진탕은 곧 소시호탕에 이진탕을 합방한 것이다.
治痰氣의 胸脅不利와 及痰等證이니라.
치담기의 흉협불리와 급담학등증이니라.
담음기의 가슴과 옆구리가 불리함과 담성 학질 등의 증상을 치료한다.
腹痛의 下寒엔, 黃連乾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천식(Asthma)
폐 속에 있는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진 상태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 때문에 발생
기관지의 염증으로 기관지 점막이 부어 오르고 기관지 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면서 기관지가 막혀서 숨이 참
<<그림>>
천식(Asth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10.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진탕에 가창출하야 조습하고 향부로 행기요.
살찐 사람은 습담이 많으니 이진탕에 창출을 가미하여 습사를 건조케 하고 향부자로 기를 운행케 한다.
瘦人은 多火하니, 宜二陳湯에 加黃連하야 淸熱하고, 蒼朮로 流濕이니, 心神을 不斂者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