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입문 잡병분류 雜病分類上 풍류 두현 한문 및 한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입문 잡병분류 雜病分類上 풍류 두현 한문 및 한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통 해수는 병지표야니라.
두현 두통 기침은 병의 지말이다.
經曰: 治病에 必求其本이라 하니라.
경왈 치병에 필구기본이라 하니라.
내경에서 말하길 병을 치료함에 반드시 그 근본을 추구한다고 하였다.
○通用에 二陳湯이니 七情이면 加丁香 砂仁 白朮하라,
통용에 이진탕이니 칠정이면 가 정향 사인 백출하라.
현훈의 통치에는 이진탕을 사용하니 7감정이면 정향 사인 배출을 가미한다.
風痰이면 加天麻 白附子 荊芥 防風하라,
풍담이면 가천마 백부자 형개 방풍하라.
풍성 담이면 이진탕에 천마 백부자 형개 방풍을 가미하라.
寒痰이면 加乾姜[薑] 良姜[薑]하라,
한담이면 가건강 양강하라.
한성 담이면 이진탕에 건강 양강을 가미하라.
熱痰이면 合解毒湯하라,
열담이면 합해독탕하라.
열성 담이면 이진탕에 해독탕을 합방하라.
濕痰이면 合芎辛湯하라,
습담이면 합궁신탕하라.
습성 담이면 이진탕에 궁신탕을 합방하라.
停水하야 心悸면 合五散하라,
정수하야 심계면 합오령산하라.
수기가 정체하여 심계하면 이진탕에 오령산을 합방하라.
酒食傷이면 加乾生姜[薑]하라.
주식상이면 가건생강하라.
술과 음식 손상이면 이진탕에 건강 생강을 가미한다.
胸中宿痰으로 眼澁 手麻痺 髮脫 健忘者면 用本方 探吐하고 吐後에 宜服 淸上辛凉之藥하야 調之하라.
흉중숙담으로 안삽 수마비 발탈 건망자면 용본방 탐토하고 토후에 의복 청상신량지약하야 조지하라.
가슴 속에 오래된 담으로 눈이 깔깔하고 손이 마비되고 모발이 탈락하고 건망하면 본 처방에 탐색하여 토하게 하고 토한 뒤에 위를 맑게 하고 신미 찬 약을 복용하여 조절케 한다.
氣虛면 倍參하고, 血虛면 倍芎歸하라,
기허면 배삼기하고 혈허면 배궁귀하라.
현훈에 기가 허하면 인삼 황기를 배로 하고 혈허면 천궁 당귀를 배로 한다.
痰盛이면 加竹瀝 羌[薑?]汁하고, 火盛이면 加童便이오.
담성이면 가죽력 강즙하고 화성이면 가동변이오.
담이 왕성하면 죽력과 생강즙을 가미하고 화가 치성하면 동남소변을 가미한다.
如眩暈 氣上衝胸 戰搖者면 只宜 茯桂朮甘草湯을 加減이니라.
여현훈 기상충흉 전요자면 지의 복령계출감초탕을 가감이니라.
만약 현훈과 기가 가슴에 상충하고 떨리고 동요하면 다만 영계출감탕으로 가감해야 한다.
○凡眩暈에 言亂 汗多 下利 時時自冒者는 虛極이니 不治니라.
범현훈에 언란 한다 하리 시시자모자는 허극이니 불치니라.
현훈에 말을 혼란케 하고 땀이 많고 하리하고 때때로 스스로 혼모하면 허증이 지극함이니 불치이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2.16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0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